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중국은 종교신앙의 자유를 보장한 한편으로는 종교정책를 통해 신앙활동을 강력간섭하고 통제하고 있다. 종교로 인한 갈등이나 사건의 발발하는 것은 곧 정권의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종교문제는 개인의 인권문제와 민족 갈등으로 자주 비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성직자의 양성은 중국종교의 미래와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종교 자체의 자율적 방식보다 종교학교를 통한 공적인 시스템을 선호하고 있다. 1949년 사회주의 체제의 국가로 새롭게 출발한 중국의 종교는 보장과 통제라는 기본 지침 아래 통전부가 종교를 중점적으로 관리하였다. 그리고 종교학교의 설립은 이러한 국가 종교정책의 방향에 따라 획일적이고 균등한 방식으로 필요한 성직자를 정부 주도로 양성하기 위한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중국 정부가 인가한 5대종교협회는 각기 불학원(불교), 도교학원(도교), 경학원(이슬람교), 신철학원(가톨릭), 신학원(기독교)을 설립하여 종교인을 양성하고 있다. 이들 종교학교는 정부의 종교정책 방향에 따라 그 역할이 갈수록 중시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 공표된 「종교원교관리판법」은 중국 정부가 종교학교를 통해 종교인 양성을 일원화하고 공식화하려는 의도를 잘 보여주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宋代 文人 사찰시 속 감각 운용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ensitive image in Song poetry related to the temple 이종무 p. 1-22

고계의 시가 특징과 명대 시학의 추향 = Characteristics of Gao Qi's poetry and the trend of poetics in the Ming Dynasty 정보선 p. 43-70

宋詩 속 '一簞食, 一瓢飮'에 대한 인식과 수용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A Simple Bowl of Food, A Ladle of Drink' in Song poetry 金源熙 p. 23-42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노래 = 'Singing woman'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이경미 p. 71-94

영상도식과 그릇도식을 통한 한중 차등 비교문에서의 비교결과 분석 = An analysis of comparison results between differential comparative sentences in Korean and Chinese through image schema and container schema : focusing on expressions in Korean equivalent to '小' in Chinese : 중국어 '小'에 해당하는 한국어의 표현 중심으로 이은민 p. 95-113

1949年以来中国语言政策下方言的记录与继承 = The record and inheritance of speech under China's language policy since 1949 : a case study of Sichuan dialect : 以四川方言为例 韩一, 金炫兑 p. 115-128

『封神演义』动画电影的“封神之路”模式探索 = An exploration of the "roads to the gods" model in animation film adaptations of Fengshen Yanyi : taking Nezha : Birth of the Demon Child, Legend of Deification, and New Gods : Yang Jian as examples : 以『哪吒之魔童降世』、『姜子牙』、『新神榜:杨戬』为例 何柄庆, 朴明真 p. 309-326

喀斯特地区城市化进程中的人口流动特征与影响因素研究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opulation mobility in the urbanization process of karst regions : a focus on Guiyang City of China : 以中国贵阳市为例 徐爽, 金兑植 p. 413-426

新媒体时代下舆论监督导致的“媒体审判” = The "media trial" caused by public opinion monitoring in the new media era 刘磊, 金桂台 p. 473-488

한중 '연속' 표현과 주관량 = The 'continuous' expression and subjective quantity of Korean and Chinese 이선희 p. 129-148

网络语言中模仿现象的模因论特征研究 = A study on the memetics characteristics of imitation in network language 金正勋 p. 149-164

胡適 國語文學觀의 형성 = The formation of Hu Shih's the concept of literature in national language : with a focus on the influence of English literature : 英國文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지연 p. 165-184

台灣「慰安婦」敘事研究 = Study on 'comfort women' narrative in Taiwan : based on 「輸送船」, 「獵女犯」, 「望鄉」, 『櫻』 : 以「輸送船」、「獵女犯」、「望鄉」、『櫻』爲中心 李淑娟 p. 185-210

「아샤오의 슬픔(桂花蒸·阿小悲秋)」에 나타나는 문화적 혼종성 = Cultural hybridity in Ah Xiao's Unhappy Autumn 김윤수 p. 211-227

毕淑敏의 『화관바이러스』에 투영된 인간의 욕구와 이기주의 = Human needs and egoism projected on Bi Shu-Min's "Corolla Virus" 이가영 p. 229-246

쓰여진 것과 쓰여지지 않은 것 = Written and unwritten : rereading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e 1980s. 2, 중국 당대문학사(1978-1984) 다시 읽기 이승희 p. 247-267

在出走与坚守之间 = Between running away and sticking : taking Chen Qian's "Looking at the South Flying Goose" and "Infinity Mirror" as research objects : 以陈谦的『望断南飞雁』、『无穷镜』为研究对象 毕文秀 p. 269-286

홍콩성의 생산과 여성의 늙음에 대한 재인식 = Re-recognition on production of Hongkongness and females' aging : focusing on films of producer Ann Hui : 쉬안화(许鞍华) 감독의 영화를 중심으로 박정희 p. 287-308

중국 자귀현 단오절의 의례적 기능에 대한 탐구 = A study on the ritual function of Dragon Boat Festival in Zigui County, China : focusing on the theories of Van Gennep and Victor Turner : 반 겐넵과 빅터 터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강설금 p. 327-353

대학 중국어교육에서의 온라인 국제협력학습 기반 교수-학습 모형 설계 = Design of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onlin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learning 이효영 p. 355-375

중국어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사례 연구 = Case study of Chinese capstone design curriculum : focusing on China marketing strategy establishment : 중국마케팅 전략수립을 중심으로 유진희 p. 377-397

浅析高校美术教育观念的革新与思考 = A brief analysis of the innovation and thinking of art education concept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刘晓明 p. 399-412

중국의 수출입 동물과 동물제품 위생검역 사례분석 = Analysis of dispute cases on sanitary quarantine of animals and animal products imported and exported in China 손성문 p. 427-445

의미연결망분석과 감성분석을 통한 한국 언론의 중국 이미지 변화 = A study on the change of China's national image through semantic network and sentiment analysis in Korean media 김정희, 이찬우 p. 447-472

현대중국의 종교정책에 따른 성직자 양성 고찰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ystem for clergy according to religious policy in modern China : focused on religious colleges : 종교학교[宗教院校]를 중심으로 박노종 p. 489-509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구 등, 『시진핑시대, 중국 종교정책과 신종교사무조례』, 신아사, 2018. 미소장
2 강경구 등, 『시진핑시대, 종교중국화 공정』, 신아사, 2021. 미소장
3 Fenggang Yang(楊鳳崗), 송재룡·유광석 옮김, 『중국의 종교』, 2017. 미소장
4 박노종, 「중국의 종교교육과 종교학교」, 『중국학』, 61집, 2017.12. 미소장
5 박노종, 「중국 도교학원과 도교 교직자 양성체계 고찰」, 『중국학』, 78집, 2022.03. 미소장
6 강경구, 「중국 불학원의 교육과정 구성과 특징에 대한 고찰」, 『중국학』, 78집, 2022.03. 미소장
7 김경아, 「종교중국화 정책에 따른 이슬람 종교교육의 방향과 전망」, 『중국학』, 78집, 2022.03. 미소장
8 유미경, 「중국기독교 신학원교의 학제와 운영 현황」, 『중국학』, 78집, 2022.03. 미소장
9 안승웅, 「중국천주교의 사제 양성교육 - 종교교육 현황을 통해 본 중국 천주교의 미래」, 『중국학』, 78집, 2022.03. 미소장
10 孙 钢, 「打造宗教人才培养主阵地――《宗教院校管理办法》对做好宗教院校工作的指导意义」, 『中国宗教』, 2021(06). 미소장
11 林曼红, 「初学《宗教院校管理办法》体会」, 『天风』, 2021(10). 미소장
12 韩雪莉, 「学习贯彻《宗教院校管理办法-努力做好伊斯兰教经学院工作」, 『中国宗教』, 2021(08). 미소장
13 肖安平, 「抓实爱国主义教育, 提升教学质量-神学院校爱国主义课程思考」, 『天风』, 2021(10). 미소장
14 裴连山, 「《宗教院校管理办法》与神学院校课程设置」, 『天风』, 2021(11). 미소장
15 孙宏赦, 「加强神学院校管理, 防范宗教极端主义――以河南神学院为例」, 『天风』, 2021(12). 미소장
16 史爱军, 「依法办校, 依规履职-浅谈如何加强神学院校自身管理」, 2021,(12). 미소장
17 本 刊, 「《宗教院校管理办法》的思考与实践(下) 」, 『天风』, 2021(12). 미소장
18 本 刊, 「宗教院校:弦歌复作30年」『中国宗教』, 2011(09). 미소장
19 黄 超·张 珍, 「中国共产党宗教信仰自由政策的百年创新与发展」, 『科学与无神论』, 2021.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