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하이데거의 시간 이해 =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ime / 신승환 1

[목차] 1

1. 들어가는 말 1

2. 『존재와 시간』의 예비적 분석 4

가. 『시간의 개념』에 나타난 시간 이해 4

나.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론에 대한 분석 7

다. 폰 헤르만의 『존재와 시간』 분석 10

3. 『존재와 시간』의 시간 이해 11

가. 실존의 시간과 존재의미 11

나. 순간과 결단의 시간 16

다. 시간의 초월성과 탈자태 19

라. 시간 해명의 숙고적 사유 21

4. 존재와 시간 이후 현대 물리학의 시간 이해 25

5. 맺음말 29

참고 문헌 33

국문 초록 35

Abstract 3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간의 시작과 끝이 있는가? = Does the Old Testament conceptualize a beginning and an end of time? : an exploration of time in the Bible : 구약성경의 시간 이해에 대한 고찰 김영선 p. 9-55

보기
"정신의 연장"으로서의 시간 = Time as "distension of the mind" : the concept of Saint Augustine and its interpretations by Hans Urs von Balthasar and Paul Ricæur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개념과 그에 대한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사르와 폴 리쾨르의 해석 [저]: 이자벨 보쉐 ; 번역: 문명숙 p. 56-123

보기
하이데거의 시간 이해 =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ime 신승환 p. 124-160

보기
동양의 시간관 = The concept of time in East-Asia : 고대 중국문헌에 나타난 시간개념을 중심으로 이향만 p. 161-193

보기
현대물리학의 시간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 Ontological study on time in terms of contemporary physics 이중원 p. 194-228

보기
바룩 2서의 메시아사상 = Messianism in the Second Book of Baruch 송혜경 p. 229-278

보기
기후변화와 인간의 책임에 대한 그리스도교 윤리적 성찰 = Christian ethical reflection on climate change and human responsibility 김정우 p. 279-315

보기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신학에서 영원성과 편재에 관한 삼위일체 개념 로버트 존 러셀 [저] ; 전양환 역 p. 316-365

보기
장 들로르므(Jean Delorme) 저 『마르코에 의한 행복한 알림, 제2복음서 전체읽기』 [서평] 안영주 [평] p. 366-374

보기
≪Le temps comme "distension de l’esprit" : la conception de saint Augustin et son interprétation par Hans Urs von Balthasar et Paul Ricœur≫ Isabelle Bochet p. 91-123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Heidegger, Martin, Sein und Zeit, Tübingen 1927. 미소장
2 Heidegger, Martin, ‘Zeit und Sein’, in: Zur Sache des Denkens, 2. Aufl. Tübingen 1976. 미소장
3 Heidegger, Martin, Prolegomena zur Geschichte des Zeitbegriffs, (Sommersemester 1925) hrsg. von Petra Jaeger, Gesamtausgabe(GA.) Bd. 20, Frankfurt/Main: Vittorio Klostermann. 1994. 미소장
4 Heidegger, Martin, Phänomenologie des religiösen Lebens hrsg. von Matthias Jung, Thomas Regehly, et al., GA. Bd. 60, Frankfurt/Main: Vittorio Klostermann. 1995. 미소장
5 Heidegger, Martin, Einleitung in die Philosophie, hrsg. Otto Saame, Ina Saame-Speidel, et al. GA. Bd. 27, Frankfurt/Main: Vittorio Klostermann. 2001. 미소장
6 Heidegger, Martin, Der Begriff der Zeit, hrsg. von F.-W. von Herrmann, GA. Bd. 64, Frankfurt/Main: Vittorio Klostermann. 2004. 미소장
7 Heidegger, Martin, Phänomenologische Interpretationen ausgewählter Abhandlungen des Aristoteles zur Ontologie und Logiker, hrsg. von Günther Neumann, GA. Bd. 62, Frankfurt/Main: Vittorio Klostermann. 2005 미소장
8 Spinoza, Benedict de, The Ethics: Ethica Ordine Geometrico Demonstrata, Alpha Editions, 2018 미소장
9 Von Herrmann, Friedrich-Wilhelm, Augustinus und die Phänomenologische Frage nach der Zeit, Frankfurt/M: Vittorio Klostermann, 1992. 미소장
10 데만트, 알렉산더, 『시간의 탄생』, 이덕임 옮김, 북라이프, 2018. 미소장
11 로렐리, 카를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이중원 옮김, 쌤앤파커스, 2019. 미소장
12 매크리디, 스튜어트, 『시간의 발견』, 휴머니스트, 2002. 미소장
13 뮬러, 리처드, 『나우 – 시간의 물리학』, 장종훈/강형구 옮김, 바다출판사, 2019. 미소장
14 스몰린, 리, 『시간의 물리학』, 강형구 옮김, 김영사, 2022. 미소장
15 신상희,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시간 이해」, 『현상학연구』, 한국현상학회, 13권, 1999, 323-355. 미소장
16 신상희, 『시간과 존재의 빛 - 하이데거의 시간 이해와 생기사유』, 한길사, 2000. 미소장
17 신승환, 「실재와 실재성의 해석학」, 『신학과 철학』, 42호, 서강대학교신학연구소, 2022 겨울, 33-56. 미소장
18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성염 역주, 경세원, 2016. 미소장
19 애브니, 앤서니, 『시간의 문화사』, 최광열 옮김, 북로드, 2007. 미소장
20 에델만, 제럴드,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황희숙 옮김, 범양사, 2006, 미소장
21 정은해. 「시간과 현존재의 관계에 대한 하이데거 사유의 변천 과정에 대한 고찰」, 『철학사상』, 서울대학교철학연구소, 79호, 2021, 71-98. 미소장
22 폰 헤르만, F.-W.『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신상희 옮김, 한길사, 1997. 미소장
23 하이데거, 마르틴, 『시간의 개념』(Der Begriff der Zeit, 1995), 서동은 옮김, 누멘, 2009. 미소장
24 한상철, 「하이데거의 시간성」, 『철학사상』, 서울대학교철학연구소, 38호, 1992, 99-126. 미소장
25 호킹, 스티븐, 『시간의 역사』, 현정준 역, 삼성출판사, 199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