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인접면 우식증 객체 탐지 의 객체 탐지를 위해 YOLO (You Only Look Once)를 사용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M6 데이터베이스에서 학습자료군으로 2016개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이 선택되었고 이 중 1143 개는 한 명의 숙련된 치과의사가 주석 도구를 사용하여 인접면 우식증을 표시하였다. 표시한 주석을 데이터 세트로 변환한 후 단일 합성곱 신경망(CNN)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YOLO를 데이터 세트에 학습시켰다. 187개의 평가자료군에서 객체 탐지 모델 성능 평가를위해 정확도, 재현율, 특이도, 정밀도, NPV, F1-score, PR 곡선 및 AP를 계산하였다. 결과로 정확도 0.95, 재현율 0.94, 특이도 0.97, 정밀도 0.82, NPV 0.96, F1-score 0.81, AP 0.83 으로 인접면 우식증 탐지에 좋은 성능을 보였다. 이 모델은 치과의사에게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인접면 우식증 병변을 객체 탐지하는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model using You Only Look Once (YOLO) for object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in periapical radiographs of children. A total of 2016 periapical radiographs in primary dentition were selected from the M6 database as a learning material group, of which 1143 were labeled as proximal caries by an experienced dentist using an annotation tool. After converting the annotations into a training dataset, YOLO was trained on the dataset using a sing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Accuracy, recall, specificity, precision,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F1-score, Precision-Recall curve, and AP (area under curve) were calculated for evaluation of the object detection model’s performance in the 187 test datase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NN-based object detection model performed well in detecting proximal caries, with a diagnostic accuracy of 0.95, a recall of 0.94, a specificity of 0.97, a precision of 0.82, a NPV of 0.96, and an F1-score of 0.81. The AP was 0.83. This model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dentists in detecting carious lesions in periapical radiograph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치과의사를 위한 노이즈 필터링 이어플러그의 청력 보호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earing protection effect of noise-filtering earplugs for dentists 조다영, 김익환, 이태양, 신승호, 정진세, 박원서, 송제선 p. 239-251

제퍼슨의 공감 척도를 사용한 치과 대학생의 공감 능력 측정 = Measuring the empathy level of dental students using the Jefferson scale of empathy 김희민, 양연미, 김재곤, 이대우 p. 252-262

유치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에서 딥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델의 인접면 우식증 객체 탐지 능력의 평가 = Assessment of the object detection ability of interproximal caries on primary teeth in periapical radiographs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전홍주, 김선미, 최남기 p. 263-276

(An) in vitro study of the effects of different dentin bonding agents on the prevention of tooth discoloration and the sealing ability of calcium silicate-based cement in regenerative endodontic procedures = 치수재혈관화 술식에서 다양한 상아질 접착제가 치아 변색과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의 밀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실적 연구 Jieun Han, Gimin Kim, Jaesik Lee p. 277-291

Analysis of dental antibiotic prescrip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 소아 청소년에 대한 한국 치과에서의 항생제 처방 분석 Seong Joon Lee, Jihun Kim p. 292-306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수복 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기성금속관의 생존율 비교 평가 =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survival rates of zirconia crown and stainless steel crown for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 a retrospective study : 후향적 연구 정가희, 이난영, 신혜원, 박수현, 지명관 p. 307-317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소아 환자의 구강악안면 외상의 변화 추이 = The trend of change in oral and maxillofacial injuries of pediatric patients in the COVID-19 pandemic :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dental hospital study : 단일 기관 연구 최수빈, 박찬규, 신종현, 정태성, 이은경 p. 318-333

Correlation between serum IGF-1, IGFBP-3 levels, and hand-wrist radiographs in determining skeletal maturity = 골 성숙도 결정 시 혈청 IGF-1, IGFBP-3 농도와 수완부 방사선 사진의 상관관계 Misun Kwak, Yon-joo Mah p. 334-346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s a storage medium for avulsed tooth = 탈구치 저장 매체로서 치주인대 세포에 미치는 Polydeoxyribonucleotide의 효과에 대한 연구 Sang Tae Ro, Yong Kwon Chae, Ko Eun Lee, Mi Sun Kim, Ok Hyung Nam, Hyoseol Lee, Sung Chul Choi p. 347-359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 및 공급 적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and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vered services : 급여 진료 항목을 기준으로 임여원, 채용권, 이고은, 남옥형, 이효설, 최성철, 김미선 p. 360-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