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지영, 「의지의 표상과 모상으로서의 어산불영(魚山佛影)」, 『比較文化硏究』 62,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DOI : 10.21049/ccs.2021.62..85) | 미소장 |
2 | 강진옥, 「『삼국유사』 「보양이목」조 용궁 삽화와 용자파견(龍子派遣)화소의 서사적 실현과정 연구」, 『한국고전연구』 34, 한국고전연구회, 2016. (DOI : 10.20516/classic.2016.34.5) (UCI : G704-001831.2016..34.006) | 미소장 |
3 | 고운기, 『삼국유사 길 위에서 만나다』, 현암사, 2011. | 미소장 |
4 | 김문태, 『현대인의 삶이 투영된 삼국유사 인문학 즐기기』, 페르소나, 2017. | 미소장 |
5 | 김현주, 『토테미즘을 찾아서』, 서강대학교출판부, 2009. | 미소장 |
6 | 김부식, 이우경 편역, 『새로운 삼국사기』 1,2, 한국문화사, 2007. | 미소장 |
7 | 김열규, 『기호로 읽는 한국문화』,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8. | 미소장 |
8 | 김현주, 『토테미즘을 찾아서』,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 미소장 |
9 | 김화경, 『일본의 신화』, 문학과 지성사, 2002. | 미소장 |
10 | 노중국, 「『삼국유사』혜통항룡조의 검토‐질병치료의 관점에서」, 『신라문화제학술발표자료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1. | 미소장 |
11 | 박광식, 「한국인의 곰, 호랑이, 용 숭배와 평창군 설화속의 호랑이와 용」, 『江原民俗學』 29,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5. | 미소장 |
12 | 박다원, 「『삼국유사(三國遺事)』 설화에 나타난 용(龍)의 양상과 그 의미‐「황룡사구층탑(皇龍寺九層塔)」과 「어산불영(魚山佛影)」 설화를 중심으로」, 『국학연구논총』(18), 택민국학연구원, 2016. | 미소장 |
13 | 박다원, 「『삼국유사』 「보양이목(寶壤梨木)」 설화의 서사구조와 그 의미」, 『국학연구논총』 16, 택민국학연구원, 2015. (DOI : 10.22861/tiks.2015..16.101) (UCI : G704-SER000003095.2015..16.010) | 미소장 |
14 | 박유미, 「『三國遺事』 「惠通降龍」 설화의 공간과 인물 관계」, 『한민족어문학』 68, 한민족어문학회, 2014. (UCI : G704-001066.2014..68.017) | 미소장 |
15 | 송봉호, 「전통신앙과 불교의 대립에 관한 연구」, 『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회, 2003. (UCI : G704-001496.2003..7.007) | 미소장 |
16 | 송효섭, 「『삼국유사』 뮈토스의 기호학적 읽기」, 『시학과 언어학』 2, 시학과 언어학회, 2001. | 미소장 |
17 | 신태수,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용왕(龍王)과 용궁(龍宮) 형상(形象)」, 『韓民族語文學』 74, 한민족어문학회, 2016. (UCI : G704-001066.2016..74.010) | 미소장 |
18 | 엄태웅, 「『삼국유사』 「기이」편과 바다」, 『동북아 문화연구』 48,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DOI : 10.17949/jneac.1.48.201609.004) (UCI : G704-001565.2016.1.48.015) | 미소장 |
19 | 여성구, 「삼국유사 鵠島 居陁知 설화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試論」, 『한국학논총』 46,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UCI : G704-SER000013600.2016.46..002) | 미소장 |
20 | 오비디우스, 이윤기 옮김, 『변신1』, 민음사, 1998. (UCI : G701:B-00083994368) | 미소장 |
21 | 윤열수, 『신화 속 상상동물 열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0. | 미소장 |
22 | 윤열수, 「우리문화 속에 나타난 용 신앙」, 『용, 그 신화와 문화』 , 민속원, 2002. | 미소장 |
23 | 이경덕, 『우리 고대로 가는 길 삼국유사』, 미래엔아이세움, 2011. (UCI : G701:B-00 106934674) | 미소장 |
24 | 이동철, 「건국신화에 수용된 용의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7, 한민족문화학회, 2000. | 미소장 |
25 | 이시진, 김오곤 옮김, 『본초강목』, 행복을만드는세상, 2015. | 미소장 |
26 | 이어령, 『이어령의 삼국유사 이야기』, 서정시학, 2006. | 미소장 |
27 | 이재호, 『삼국유사를 걷는 즐거움』, 한겨레출판, 2009. | 미소장 |
28 | 이종호, 『과학 삼국유사』,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1. | 미소장 |
29 |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민음사, 2022. | 미소장 |
30 | 장활식, 「『삼국유사』 신주편 혜통항룡조의 분석」, 『신라문화』 5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6. (DOI : 10.37280/JRISC.2018.08.52.71) | 미소장 |
31 | 전기웅, 「『삼국유사』 설화 속의 龍」, 『지역과 역사』 27, 부경역사연구소, 2010. (UCI : G704-001416.2010..27.008) | 미소장 |
32 | 최광식, 『삼국유사의 신화 이야기‐신화인가? 역사인가?』, 세창출판사, 2018. | 미소장 |
33 | 최종성, 「용과 기우제」, 『용, 그 신화와 문화』, 민속원, 200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