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와 토론〉 교과를 이수한 학습자의 성찰일지 내용분석을 통해 토론실습의 교육적 의미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토론과정을 통해 개인적으로 무엇을 배웠는지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토론을 통해 공적 말하기 상황에 부담을 갖고 소극적이었던 태도에서 벗어나 자신감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는 학생들이 많았다. 토론을 하면서 비판적 사고가 중요하고 경청능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논리적 근거에 바탕을 둔 설득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고 협력적 태도 및 협업의 중요성을 배웠다고 하였다. 토론활동에 대한 피드백이 중요하다는 점과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성찰일지 메타 분석을 토대로 대학 토론수업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제중심에 기반한 토론수업의 설계와, 둘째 동료들과 협력을 통해 토론학습을 할 수 있는 커뮤니티 구축, 셋째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 제공, 넷째 교수자의 코칭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토론교육의 중요 기제임을 강조하였다. 챗GPT로 상징되는 인공지능 시대에는 비판적 사고와 토론 교육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대학 토론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이 토론실습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했는지를 살펴본 본 연구 결과가 토론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인기⋅김슬옹⋅정성현, 『토론교육,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한우리북스, 2014. | 미소장 |
2 | 박재현, 『교육토론의 원리와 실제』,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 미소장 |
3 | 송수지, 「성찰일지 적용 학습이 예비교사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학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교육정보』 35, 2012, 199-227. | 미소장 |
4 | 송연주⋅이은주⋅김민정, 「성찰일지 분석을 통한 협동학습 경험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2), 한국콘텐츠학회, 2023, 548-563. | 미소장 |
5 | 신희선, 「유튜브 플랫폼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학습자중심 토론교육의 중요성 연구」, 『교양교육실천연구』 6(1), 2022, 101-118. | 미소장 |
6 | 신희선⋅서정혁⋅황영미⋅김지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대학 토론수업의 방향 모색」, 『화법연구』 54, 2021, 47-99. | 미소장 |
7 | 이세희⋅이윤선, 「성찰일지가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방법연구』 34(4),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873-900. | 미소장 |
8 |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33(2), 2017, 239-267. | 미소장 |
9 | 장민정, 「대학생 발표에서 동료 피드백의 가치에 대한 연구: 동료 피드백과 자기성찰일지 분석」, 『한국언어문화』 62, 2017, 357-387. | 미소장 |
10 | 전제응⋅신애경⋅고전⋅장승희, 「교육대학 토론 수업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좋은강의 실천 모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2(2), 2011, 301-316. | 미소장 |
11 | 테레사편⋅김수영, 「팀 프로젝트 기반 다문화교육 수업 성찰일지에 나타난 대학생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2016, 1137-1164. | 미소장 |
12 | Brookfield, S. D. & Preskill, S., 『토론-수업을 위한 도구와 기법』,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옮김, 학이당, 2008. | 미소장 |
13 | Couch, J. & Towne, J., 『공부의 미래』, 김영선 옮김, 어크로스, 2019. | 미소장 |
14 | Edwards, R. E., 『토론, 어떻게 하는가: 경쟁적 토론을 위한 공식 가이드』, 전은주⋅김수란⋅김성민⋅이선주⋅한연희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미소장 |
15 | Paul, R. & Elder, L., 『왜 비판적으로 사고해야 하는가』, 원만희 옮김, 궁리, 2013. | 미소장 |
16 | Prensky, M., 『디지털 네이티브: 그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정현선⋅이원미 옮김,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 미소장 |
17 | Schunk, D. H., Pintrich, P. P., & Meece J. L., 『학습동기: 이론, 연구 그리고 지원』, 서울대학교 인지학습연구회 옮김, 학지사, 2013. | 미소장 |
18 | Snider, A. C. & Schnurer, M., 『수업의 완성 교실토론』, 민병곤⋅박재현⋅이선영 옮김, 사회평론, 2015. | 미소장 |
19 | S대학 <비판적 사고와 토론> 교과의 「공통 강의계획서」, https://oz.sookmyung.ac.kr/oz/smoz_vh.jsp?ozrcat=CM&ozrname=zcmw2100_new&ozrkey=484602155934. 검색일자 2023.06.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