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가희, 「가짜 뉴스 규제 방안: 허위사실 표현의 헌법적 보호 여부 및 과잉금지원칙에 따른 규제 합헌성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미소장 |
2 | 김병준, 「Modern It Trend」, 2023.0509, 숙명여자대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특강. | 미소장 |
3 | 김상민,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교양학연구』 20, 2022, 7-33. | 미소장 |
4 | 노들⋅옥현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비교 분석: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5), 2020, 103-129. | 미소장 |
5 |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56(2), 2019, 113-155. | 미소장 |
6 | 안미애,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3, 2021, 277-302. | 미소장 |
7 | 이미숙⋅진형익, 「가짜뉴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불편비용 추정 연구」, 『팩트체크동향리포트 ‘FACT(팩트)’』 6, 시청자미디어재단, 2022, 153-173. | 미소장 |
8 | 이창봉⋅윤영⋅한승규,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리터러시 연구의 동향」, 『리터러시 연구』 12, 2021, 121-163. | 미소장 |
9 | 일연, 『삼국유사』, 김원중 옮김, 민음사, 2001. | 미소장 |
10 | 조남민,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 2018, 195-215. | 미소장 |
11 | 최양지, 「 |
미소장 |
12 | 최영준, 「국내외 가짜뉴스(Fake News)에 대한 뉴스 공정성 연구논의 탐색: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40(1), 2018, 22. | 미소장 |
13 | 최재봉,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 미소장 |
14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수행형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 Keris, 2022. | 미소장 |
15 |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 미소장 |
16 | Baudrillard, J.,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01. | 미소장 |
17 | Carr, N.,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20. | 미소장 |
18 | Chayko, M., 『초연결사회』, 배현석 옮김, 한울, 2018. | 미소장 |
19 | Hobbs, R.,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윤지원 옮김, 학이시습,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