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I 시대의 대학 교양교육 패러다임 탐색 = Navigating the paradigm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age of AI 박남기 p. 7-41
대학의 교양 교육과 탈능력주의 =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and postmeritocracy 서정혁 p. 43-73

토론실습에 대한 학습자 경험과 인식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learne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debate practic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 content : '성찰일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신희선 p. 77-114

'인터넷 밈'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eaching critical thinking with 'internet memes' :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edia literacy :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김병구 p. 115-147
프로젝트 제작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양 함양과 창의적 활동 연구 = The study of fostering digital literacy through project production and creative activities :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of <fake news> discriminatory tool production : <가짜뉴스> 판별 도구 제작의 비판적 사고를 중심으로 표정옥 p. 149-176
팔레스타인 여성을 재현하는 내러티브 전략 = The narrative strategies to represent Palestinian women : a study on Sahar Khalifeh’s The Image, the Icon and the Covenant : 사하르 칼리파의 『형상, 성상, 그리고 구약』 연구 김인숙 p. 177-209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가희, 「가짜 뉴스 규제 방안: 허위사실 표현의 헌법적 보호 여부 및 과잉금지원칙에 따른 규제 합헌성 검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2 김병준, 「Modern It Trend」, 2023.0509, 숙명여자대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특강. 미소장
3 김상민, 「디지털 리터러시의 위기와 교양교육의 새로운 과제」, 『교양학연구』 20, 2022, 7-33. 미소장
4 노들⋅옥현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비교 분석: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5), 2020, 103-129. 미소장
5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 56(2), 2019, 113-155. 미소장
6 안미애,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3, 2021, 277-302. 미소장
7 이미숙⋅진형익, 「가짜뉴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불편비용 추정 연구」, 『팩트체크동향리포트 ‘FACT(팩트)’』 6, 시청자미디어재단, 2022, 153-173. 미소장
8 이창봉⋅윤영⋅한승규,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리터러시 연구의 동향」, 『리터러시 연구』 12, 2021, 121-163. 미소장
9 일연, 『삼국유사』, 김원중 옮김, 민음사, 2001. 미소장
10 조남민, 「비판적 인지와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12(6), 2018, 195-215. 미소장
11 최양지, 「의 인터뷰 <조선일보 100주년 기념, 조선일보 역대 가짜뉴스 총정리」, 2020.03.04., http://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6&seq_800=10380224, 검색일자 2023. 06.30. 미소장
12 최영준, 「국내외 가짜뉴스(Fake News)에 대한 뉴스 공정성 연구논의 탐색: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40(1), 2018, 22. 미소장
13 최재봉,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미소장
1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수행형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평가도구 개발 연구」, Keris, 2022. 미소장
15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미소장
16 Baudrillard, J., 『시뮬라시옹』,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01. 미소장
17 Carr, N.,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최지향 옮김, 청림출판, 2020. 미소장
18 Chayko, M., 『초연결사회』, 배현석 옮김, 한울, 2018. 미소장
19 Hobbs, R.,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윤지원 옮김, 학이시습,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