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10년대 소설에서 부상한 여성 SF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초래한 새로운 현실 속에서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을 다채롭게 상상하는 서사적 성과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에 대한 연구도 포스트휴먼의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연구 경향은 크게 여성과 과학 간의 결합을 긍정하는 테크노페미니즘과 비장애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연구로 대별된다. 그런데 이들 연구에서 인간과 비인간을 포괄하는 동물성에 관한 관점이 미진하다. SF에 대한 논의는 불가피하게 과학기술이 발달할수록 증대된다고 볼 수 있는 생명 경시 및 도구주의적 착취와 정면으로 맞닥뜨리는 일이다. 따라서 인간-비인간의 소수자성, 취약성, 동물성의 문제는 포스트휴먼 사회의 궁극적 과제가 될 수밖에 없으며 SF 논의에서도 핵심이 된다. 포스트-휴머니즘이 ‘더 나은’ 인간 이후를 꿈꾸는 것이라면 응당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초점을 맞추어야 마땅하다. 그리하여 본고는 교양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토론 주제 마련을 위한 사유의 범주를 생성하고자 기존 논의에 동물의 축을 더해, 천선란의 소설 『천 개의 파랑』에 나타난 소수자성과 취약성 그리고 동물성이라는 세 개념 간 상관관계를 논한다. 살펴본바, 이 소설의 교육적 함의는 장애로써 인간과 동물을 연결하고, 오늘의 연장선상에서 근미래에 도래할 과학기술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포스트휴먼의 사회가 가장 낮은 자리에서부터 설계되어야 함을 지적하는 데 있다. 또한, 이 소설은 단지 바람직한 인간-동물 간 관계를 설정하여 문제의 지점을 봉합하기보다는 논쟁의 지점을 열어둔다는 점에서 토론할 거리를 생성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소설을 통해 포스트휴머니즘 논의에 종의 축을 더해 사고함으로써 사회를 어떻게 재설계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럽의 Liberal Arts&Science 모델을 접목한 학부 교양교육의 개선 가능성 탐색 = Exploring improvement possibility of undergraduate liberal arts education inspired by European liberal arts and science model 민춘기 p. 11-31

대학생 필자의 글쓰기 과정에서 챗GPT에 대한 질문 양상 연구 = Aspects of questioning ChatGPT in the writing process of college student writers :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writers groups by writing level : 쓰기 수준별 필자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윤빈 p. 35-52

토론-논증적 글쓰기 통합모형 수업사례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model integrating debate and argumentative writing : focusing on face-to-face debates and online debates : 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이란 p. 53-70

고전읽기 교과목의 토론 방식 고찰 = A study on the discussion method of classics reading : based on <Masterpiece Reading> learners' perception analysis : <명저읽기>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토대로 임연정 p. 71-85

2010년대 한국 여성 과학소설의 교양교육적 함의 = Lib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women's science fiction in the 2010s : focusing on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 : 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을 중심으로 송다금 p. 87-101

비대면 수업 및 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영어학습 능력 =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english learning ability i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이수림 p. 125-142

대학의 교양수학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general mathematics at universities :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 :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심상길 p. 143-158

역할극 중심 교양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changing multicultural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role-playing oriented liberal arts classes 문희진, 김영순, 손효한 p. 159-178

대학생의 코칭주제에 관한 주관성 연구 = A subjectivity study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issues 이송이, 김경미 p. 179-190

웹 콘텐츠와 파이썬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프로세스 자동화 수업 설계 및 학습자 반응 분석 = Analysis of learner's response to process automation class design using web content and Python Library 홍희경 p. 191-199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college students' field experienc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 대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바탕으로 강향숙 p. 201-219

(The) use of CANVAS LMS in remote academic EFL writing classes = 비대면 학술 영어 글쓰기 수업에서 CANVAS LMS의 사용 사례연구 : 유용성과 제한점 : its benefits and limitations Cho, Youngsang, Andrew Richards, Stuart Jones p. 103-124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eon, S. (2020). A thousand blue. Hubble. [천선란. (2020). 천 개의 파랑. 허블.] 미소장
2 Bak, J. (2023). Vulnerable bodies beyond meritocracy education:Through hatred, disability, and animal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37(2), 123-143. https://doi.org/10.17283/jkedi.2023.37.2.123 [박지원. (2023). 취약한 몸들과 능력주의 교육 너머: 혐오, 장애, 동물을 경유하여. 교육사상연구, 37(2), 123-143.https://doi.org/10.17283/jkedi.2023.37.2.123] 미소장
3 Choi, A., & Sohn Nagyung. (2023). An invitation to the future society depicted by science fiction: The contact point between awareness of problems and education in Korean-English science fiction.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43, 45-82. https://doi.org/10.24008/klle.2023..43.002 [최애순, 손나경. (2023). SF가 그리는 미래사회로의 초대-한⋅영 SF에서 나타난 문제의식과 교육과의 접점. 한국어문교육, 43, 45-82. https://doi.org/10.24008/klle.2023..43.002] 미소장
4 Choi, B. E. (2020). A study on the dystopia of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since the 2000s.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26(1), 103-132. https://doi.org/10.18856/jpn.2020.26.1.004 [최배은. (2020).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 대중서사연구, 26(1), 103-132. https://doi.org/ 10.18856/jpn.2020.26.1.004] 미소장
5 Heo, Y. (2021). Feminist SF’s imagination for ‘Disabled Body’- On Kim Bo-young’s novels. Journal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52, 10-35. https://doi.org/10.15686/fkl.2021..52.10 [허윤. (2021). ‘일할 수 없는 몸’을 전유하는 페미니스트 SF의상상력-김보영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52, 10-35. https://doi.org/ 10.15686/fkl.2021..52.10] 미소장
6 Hwang, J. (2022). Disability-cyborg : The imagination of discord and the eof typing-being. The Journal of Korean Literary Creative Writing, 21(3), 179-202. https://www-earticle-netssl. access.yonsei.ac.kr:8443/Article/A423709 [황지선. (2022). 장애-사이보그: 불화의 상상력과 타자-되기의 윤리. 한국문예창작, 21(3), 179-202. https://www-earti cle-net-ssl.access.yonsei.ac.kr:8443/Article/A423709] 미소장
7 Jin, S. Y. (2022). SF bildungsroman and human-nonhuman ensemble from a technolog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 -Focusing on Cheon Seon-ran's a thousand blue. Journal of Korean Fiction, 87, 541-567. https://doi.org/10.20483/JKFR.2022. 09.87.541 [진선영. (2022). 기술철학적 관점에서 본 SF 성장소설과 인간-비인간의 앙상블-천선란의 『천 개의 파랑』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87, 541-567. https://doi.org/10.20483/JKFR.2022.09.87.541] 미소장
8 Kim, M. Y. (2021). Posthuman and disabled children's physicality -Focusing on the SF narrative. The Korea Association of Literature for Children and Young Adult, 29, 269-299. https://doi.org/10.24993/JKLCY.2021.12.29.269 [김민령. (2021). 포스트휴먼과 장애 아동의 신체성-아동청소년 SF 서사를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9, 269-299. https://doi.org/10.24993/JKLCY.2021.12.29.269] 미소장
9 Kim, S. (2014). Human vulnerability and its relevant virtues:Focused on Alasdair MacIntyre’s dependent rational animals. Bioethics Policy Studies, 8(1), 81-100. https://scholar-kyob obook-co-kr-ssl.access.yonsei.ac.kr:8443/article/detail/4010025012429 [김수정. (2014). 인간 몸의 취약성과 그에 관련된 덕목들:알라스디어 매킨타이어의『의존적인 이성적 동물』을 중심으로. 생명윤리정책연구, 8(1), 81-100. https://scholar-k yobobook-co-kr-ssl.access.yonsei.ac.kr:8443/article/deta il/4010025012429] 미소장
10 Kim, Y. J. (2021). Posthumanism and disability in Kim Cho-yeop’s novel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54, 77-107. https://doi.org/10.15686/fkl.2021..54.77 [김윤정. (2021). 김초엽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휴머니즘과장애. 여성문학연구, 54, 77-107. https://doi.org/10.15686/fkl.2021..54.77] 미소장
11 Kim, Y. J. (2021). Disorder in female SFs and disability of posthumanism. Journal of Ehw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8, 83-119. https://www-earticle-net-ssl.access. yonsei.ac.kr:8443/Article/A422128 [김윤정. (2022). 여성 SF 문학에 나타난 장애와 포스트휴머니즘의 불구성(不具性). 이화어문논집, 58, 83-119. https://w ww-earticle-net-ssl.access.yonsei.ac.kr:8443/Article/A422128] 미소장
12 Oh, H. (2016). A study on dystopia in Korean science fiction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in the 2000s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ttps://www -riss-kr.access.yonsei.ac.kr:8443/search/detail/DetailView. 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02836bd3534fd49ffe0bdc3ef48d419 [오혜림. (2016). 2000년대 한국 어린이⋅청소년 SF에 나타난디스토피아 공간 연구: 인물의 인식과 실천 양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s://www-riss-kr.access.yonsei.ac.kr:8443/search/detail/Deta 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 =102836bd3534fd49ffe0bdc3ef48d419] 미소장
13 Sohn, N. (2019). Learning narrative drive through science fiction - Designing and review of the SF-related course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3(5), 103-128. https://www. 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 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16240 [손나경. (2019). 과학소설(SF)을 통해 배우는 서사적 추진력-과학소설(SF) 대상 교양교육 과목의 설계와 검토. 교양교육연구, 13(5), 103-128. https://www.kci.go.kr/kciportal/c 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 hBean.artiId=ART002516240] 미소장
14 Yang, Y., & Cha, M. (2021). The possibility of non-human in Cheon Seon-ran's fictions - Focusing on alliance between feminism and science fiction. Journal of Korean Fiction, 84, 233-263. https://doi.org/10.20483/JKFR.2021.12.84.233 [양윤의, 차미령. (2021). 천선란 소설에 나타난 ‘비인간’의가능성-페미니즘과 SF의 동맹에 주목하여. 현대소설연구, 84, 233-263. https://doi.org/10.20483/JKFR.2021.12.84.233] 미소장
15 Yeon, N. K. (2020). Time and space of female science fiction and posthumanism perspective-Focusing on Yihyung Yun, Choyup Kim, Boyung Kim. Journal of Korean Fiction, 79, 105-139.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105 [연남경. (2020). 여성 SF의 시공간과 포스트휴먼적 전망-윤이형, 김초엽, 김보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79, 105-139. https://doi.org/10.20483/JKFR.2020.09.79.105] 미소장
16 Adams, C. J. (2018). The sexual politics of meat: A feministvegetarian critical theory (Ryu H., Trans.). Imagine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캐럴 제이 애덤스. (2018). 육식의 성정치 (류현, 역). 오월의봄. (원서출판 1990)] 미소장
17 Kim C. Y., Kim, W. (2021). Becoming a cyborg. sakyejul. [김초엽, 김원영. (2021). 사이보그가 되다. 사계절.] 미소장
18 Taylor, S. (2020). Beasts of burden: Animal and disability liberation (Y. Imazu, Trans.). May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수나우라 테일러. (2020). 짐을 끄는 짐승들-동물해방과 장애해방(이마즈 유리, 장한길, 역). 오월의봄. (원서출판 201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