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성인을 대상으로 한 비폭력대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 The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adults / 차미영 ; 김진숙 1
[요약] 1
[머리글] 2
방법 4
결과 8
논의 13
참고문헌 18
[요약] 2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미숙 (2014).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부부의 부부이해도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강민수, 김용희 (2022).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의 음주갈망 감소와 금주 자기효능감과 마음챙김 및자기자비 증진을 위한 마음챙김-인지도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교육치료연구, 14(1), 81-98. | 미소장 |
3 | 구슬이, 김진숙 (2017). 분노조절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및 심리치료 29(1), 55-77. | 미소장 |
4 | 구효민 (2020). 비폭력대화 모델을 활용한 통합적의사소통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국립국어원. http://www.korean.go.kr. | 미소장 |
6 | 권정윤, 황인주 (2013). 유아를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프로그램이 또래유능성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33(1), 361-387. | 미소장 |
7 | 김동일, 임정은 (2021). 국내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을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22(6), 167-189. | 미소장 |
8 | 김명연, 김장회 (2019). 교류분석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R 메타분석. 교류분석상담연구, 9(2), 75-96. | 미소장 |
9 | 김유리 (2020).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대인관계향상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윤희, 김진숙 (2015).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4), 1-21. | 미소장 |
11 | 김원순 (2023). 국내 외 청소년 비폭력 대화 중재프로그램 후향적 동향분석과 고찰(2010-2022). 청소년학 연구 30(2), 69-88. | 미소장 |
12 | 김은영, 김진숙 (2022). 성인대학생의 핵심역량모형개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8(6), 389-395. | 미소장 |
13 | 김은철, 김효정, 이상희 (2022). 불안정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4(3), 453-470. | 미소장 |
14 | 김정미 (2012). 독서치료적 접근에 의한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미치는효과.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혜경, 김진숙 (2019). 청소년의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의 메타분석 연구. 청소년학연구, 26(4), 113-139. | 미소장 |
16 | 김희은, 이미현, 김인규 (2014). 국내 대학생 집단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상담학연구, 15(4), 1441-1456. | 미소장 |
17 | 남수현 (2022). 수평적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를 위한 비폭력대화 기반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문은주 (2015). 감사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6(4), 111-129. | 미소장 |
19 | 문은주 (2017). 주장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5(1), 135-154. | 미소장 |
20 | 문은주 (2018). 스트레스 대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26(1), 147-171. | 미소장 |
21 | 문은주 (2019). 격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7(1). 19-44. | 미소장 |
22 | 백정호 (2015).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와 공감능력향상을 위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박슭 (2021). 의료인 대상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체계적인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박신혜 (2014).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의사소통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박은혜 (2014).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성지은 (2020). 간호대학생을 위한 순환적 공감모형기반 비폭력대화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손수진 (2022). 비폭력대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삼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송은주 (2020). 지역사회 재활 준비를 위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공감, 대인관계능력, 사회적 무쾌감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4(1), 48-59. | 미소장 |
29 | 심봉희, 이영숙, 안성아 (2016).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9), 375-386. | 미소장 |
30 | 양영화 (2020). 상담대학원생을 위한 비폭력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정서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효과. 인문사회 21, 11(1), 247-262. | 미소장 |
31 | 양정운, 김성재 (2016). 비폭력대화를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통합적 고찰. 간호학의 지평13(1), 36-47. | 미소장 |
32 | 원주연, 성귀복 (2021).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 837-851. | 미소장 |
33 | 이동천 (2014). 내면아이와 비폭력대화를 접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이미화 (2015). 부모교육제도 도입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육아정책포럼 제45호(pp. 19-28).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 미소장 |
35 | 이민자 (2010).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이민주, 정연진, 강지연, 나현주 (2019). 비폭력대화훈련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 21, 10(2), 425-440. | 미소장 |
37 | 이상영 (2013). 한국사회의 갈등 및 병리현상의 원인. 보건복지 Issue & Focus, 219, 1-8. | 미소장 |
38 | 이선미 (2005). 노년기 부부의 외로움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5(1), 37-54. | 미소장 |
39 | 이은숙 (2022). 비폭력대화기반 의사소통향상 코칭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자기수용, 공감, 의사소통능력, 신앙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이종임, 박진우, 이선민 (2021). 청년 세대의 분노와혐오 표현의 탄생: 온라인 커뮤니티<에브리타임> 의 ‘혐오-언어’표현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2(2), 5-37. | 미소장 |
41 | 이현복 (2018).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폭력대화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이형득, 김성회, 설기문, 김창대, 김정희 (2007). 집단상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미소장 |
43 | 임선희, 김경미 (2022).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4(3), 519-536. | 미소장 |
44 | 장성호, 김서희, 오성은, 황분홍, 신성만 (2022). 대학생 커플의 갈등 원인 및 반응에 대한 합의적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9(2), 209-232. | 미소장 |
45 | 장용언, 김미애 (2019).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학생의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1), 1039-1047. | 미소장 |
46 | 장은하, 김은비, 정홍인, 김대영, 조대연 (2022). 미래사회의 한국 성인에게 필요한 역량 탐색과 평생교육 정책을 위한 제언. 평생교육· HRD 연구, 18(2), 91-121. | 미소장 |
47 | 장정윤, 전우용 (2021). 예비유아교사의 일상대화 및갈등언어 사용 습관 실태. 생태유아교육연구, 20(4), 75-105. | 미소장 |
48 | 정경진, 최한나 (2011). 비폭력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32(1), 1-16. | 미소장 |
49 | 정경화 (2020). 비폭력대화를 활용한 부모교육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정순둘, 이아영, 박민선 (2022). 사기업 직장인들의 조직 내 세대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동시장에서의 세대연대 모색. 노인복지연구, 77(4), 195-226. | 미소장 |
51 | 정신영, 이동귀 (2012). 자살시도 병사의 위험요인과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상담학연구, 13(1), 113-133. | 미소장 |
52 | 정희심 (2010). 병원 간호관리자에게 적용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의 효과.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최분이 (2016).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심리적요인 및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공감대화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최은경 (2006).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의 의사소통 효과.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홍천덕, 유영달 (2015). 국내 비폭력대화(NVC)연구의동향분석. 학생생활연구, 35, 387-404. | 미소장 |
56 | 황성동 (2016). 메타분석에 있어서 출간오류: 의미와분석. 인간발달연구, 23(1), 1-19. | 미소장 |
57 | 황성동 (2020). R을 이용한 메타분석 2판.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58 |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John Wiley and Sons, Ltd. | 미소장 |
59 | Bucata, G., & Rizescu, A. M. (2017). The role of communication in enhancing work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Land Forces Academy Review, 22(1), 49-57. | 미소장 |
60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미소장 |
61 | Cook, D. A., & Artino Jr, A. R. (2016). Motivation to learn: an overview of contemporary theories. Medical Education, 50(10), 997-1014. | 미소장 |
62 | Fonagy, P., & Bateman, A. (2012). 정신화 중심의 경계성인격장애의 치료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노경선정신치료연구회 역). 서울: NUN(원전은 2006년에출판). | 미소장 |
63 | Gable, S. L., Gonzaga, G. C., & Strachman, A. (2006). Will you be there for me when things go right? Supportive responses to positive event disclo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5), 904-917. | 미소장 |
64 | Girma Shifaw, Z. (2022). Marital communication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resolu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12. | 미소장 |
65 | Harbour, R., & Miller, J. (2001). A new system for grading recommendations in evidence based guidelines. Bmj, 323(7308), 334-336. | 미소장 |
66 |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 미소장 |
67 | Hedges, L. V., & Vevea, J. L. (1998). Fixed-and random-effects models in meta-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3(4), 486-504. | 미소장 |
68 | Higgins, J., Thomas, K., Chandler, J., Cumpston, M., Li, T., Page, M., & Welch, V. (202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6.2. London: The cochran collaboration. Retrieved from https://training.cochrane.org/ | 미소장 |
69 | Islam, S., & Naher, R. (2017). Effectiveness of nonviolent communication (NVC) workshop on marital adjustment. Dhaka University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6(1), 69-75. | 미소장 |
70 |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71 | Marlow, E., Nyamathi, A., Grajeda, W. T., Bailey, N., Weber, A., & Younger, J. (2012). Nonviolent communication training and empathy in male parolees. Journal of Correctional Health Care, 18(1), 8-19. | 미소장 |
72 |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51(4), 264-269. | 미소장 |
73 | Museux, A. C., Dumont, S., Careau, E., & Milot, E. (2016). Improving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The effect of training in nonviolent communication. Social Work in Health Care, 55(6), 427-439. | 미소장 |
74 | Nafise, H. M., & Ghazal, Z. (2018).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its impact on suicidal ideations and coping with stress styles. Journal of Behavioral and Brain Science, 8(4), 147-159. | 미소장 |
75 | Proctor, C. R. (2014). Effectiv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ffects employee attitude,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Southern Utah University. UT. USA. | 미소장 |
76 | Rosenberg, M. B. (2017). 비폭력대화, 일상에서 쓰는평화와 공감의 언어 [Nonviolent communication:A language of life(3nd ed)]. (캐서린한 역). 서울: 한국NVC센터(원전은 2015년에 출판). | 미소장 |
77 | Rusu, O., & Chirița, M. (2017). Verbal, non-verbal and paraverbal skills in the patient-kinetotherapist relationship. Timisoara Physic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Journal, 10(19), 39-45. | 미소장 |
78 | Yalom, I. D., & Leszcz, M. (2008). 집단정신치료의 이론과 실제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5nd ed.)]. (최해림, 장성숙 역). 서울: 하나의학사(원전은 2005년에 출판). | 미소장 |
79 | Zandkarimi, G., Kamelifar, L., & Heshmati-Molaee, N. (2019). Nonviolence communication to reduc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young iranian women: a randomized experiment.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36(5), 549-55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