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로버트 윌슨은 기존의 플롯 중심의 전통적인 연극에서 탈피하여 시청각적 연극언어를 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이미지 연극을 통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방식의 공연을 선보였다. 기호학과 연극은 특정한 약속과 규칙 속에서 배우와 관객이 무대를 통해 관계하고 소통함으로써 즉흥적으로 완성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자는 이미지연극에서 무대 위의 비언어적 표현요소들은 기호로써 작용하며, 이러한 시청각적 기호들이 공간화되어 만들어낸 의미효과가 관객과의 소통 수단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적 관점에서 로버트 윌슨의 대표작 『해변의 아인슈타인』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시각적 연극언어의 기호유형별 분석 틀을 마련하고, 공간을 통한 효과적인 의미 전달과 수신자와의 소통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ᅠ(연구방법) 문헌 고찰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현대 기호학의 흐름을 돌아보고 연극기호의 요소들을 정리하여 범주화한 후, 이들의 관계를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기호의 유형을 분류한다. 기호의 유형별 특성 요소들을 세분화하고, 이들을 세부 항목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해변의 아인슈타인』의 시각적 연극언어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로버트 윌슨의 표현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한 효과적인 공간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첫째, 수직선, 수평선, 대각선 등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시간성과 공간성을 강화한다. 둘째, 윌슨은 단순성, 중첩성, 상징성, 반복성, 대비성이 돋보이도록 장면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셋째, 상징적이거나 상상을 자극하는 오브제를 제시하여 관객에게 상상의 여지를 주고 작품에 참여를 유도한다. 넷째, 배우의 움직임이 기호로써 다양하게 활용된다. 다섯째, 배우가 내뱉는 소리는 말로써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오브제로 작용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호학적 분석 틀을 바탕으로 로버트 윌슨의 『해변의 아인슈타인』 시각적 연극언어들을 바라볼 때, 형태적으로 기하학적인 조형미를 확보하고, 단순하고 상징적인 오브제들을 반복시키거나 대비시키는 등 중첩되도록 제시하며, 그 이미지를 보고 듣는 관객이 의미를 유추하고 상상하여 감상을 완성하고 작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공간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공간 스토리텔링으로 소통하기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비언어적 기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기호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참신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의 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obert Wilson helped the modern theatre audience escape the traditional plot-based theatre and led them to an innovative way of theatre performance, the Image Theatre, which uses non-verbal theatre language as a method of expression. Semiotics and theatre have a strong connection since both are completed spontaneously by the sender (actors), and the receiver (audiences)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certain rules and commitments. With the idea that nonverbal expressional elements on the stage work as signs in Image Theatre, the semantic effects created by nonverbal signs being spatialized are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cenic designer and audience. Hence, this study is for developing the framework of semiotic analysis of Image Theatre and inferring the effective manner of spatial communication by analyzing scenography of “Einstein on the Beach.” (Method) Theater semiotic elements have been categorized from the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reviews, and looking into the flow of modern semiotics.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igns, the types of signs were classified from Pierce's semiotic perspective. After r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ymbol type, a framework for analysis was created using them as the analyzing factors. This was used to understand Wilson's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as a means of achieving a new perspective for communicating through space. (Results) First, space is constructed using geometric shapes such as vertical lines, horizontal lines, and diagonals to reinforce temporality and spatiality. Second, Wilson expressed the image of the scene so that simplicity, overlap, symbolism, repetition, and contrast could stand out. Third, symbolic or imaginative objects are presented that allow the audience to imagine and participate in a scene. Fourth, actors’ bodies and movements are used as symbols in various ways. Finally, the sounds uttered by the actors do not function as words but work as auditory objects. (Conclusions) To analyze the visual theatrical languages that appear in Robert Wilson's "Einstein on the Beach," considering the semiotic analysis framework derived from this study, novel spatial experiences can be provided by having geometric shapes in structure, presenting simple and symbolic objects to be overlapped, repeated, and contrasted. In addition, by seeing and listening to the image provided by the empty space that could be filled with the audience’s imagination, the audience could participate in the moment and complete their own apprec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esent a framework for analysis to evaluate spac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to suggest a way to utilize nonverbal symbols in constructing a spac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rough spatial storytelling, and ultimately, to help derive better spatial communi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료 활용 웹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material utilization web design for sustainable space 하숙녕 p. 11-19

온라인 홈퍼니싱 플랫폼에서 공간콘텐츠의 전략적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trategic elements of spatial content in online home furnishing platform : focused on Today's House's spatial coordination channel : 오늘의 집 공간코디네이션 채널을 중심으로 조혜진, 이정교 p. 21-34

태화강 국가정원 시설물 이용행태 분석 = An analysis of the usage behavior on Taehwa River national garden facilities 최정원, 이현성, 김주연 p. 35-44
서비스스케이프에 기반한 공공도서관 구성요인 및 가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value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servicescape :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Public Library : 부산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양디, 김철수 p. 45-59

중국 전통 서원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traditional academies 공경군, 이상해, 최경란 p. 61-72

서울시 1인 청년주택의 공간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of single-person youth housing in Seoul 강성묵, 윤재은 p. 73-84

교육시설 복합단지 마스터플랜 설계연구 = Masterplan for multi-functional education complex : focus on the 5-1 neighborhood unit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 행정중심복합도시 5-1생활권을 중심으로 백한열, 이희재 p. 85-96
재생건축 카페 서비스스케이프의 MZ세대 소비자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eneration MZ's consumer experiences with servicescapes of adaptive reuse caf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adaptive reuse cafes and franchise cafes : 프랜차이즈 카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심가인 p. 97-109

문학관 정보 디자인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to improve the information design of literature museums : focu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유진 p. 111-120

근대 건축의 개방성 추구와 관련한 사나토리움 건축의 영향 = Influence of the sanatorium on the pursuit of spatial openness in modern architecture 권혜주 p. 121-133
작업장 내 공간 사용성에 따른 안전색채 적용 표지물 제안 = A proposal for the signal of safety color according to space usability in the workplace 강민구, 이현성, 김주연 p. 135-144

친환경 녹색학교 조성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ophilic design for the eco-friendly green schools 이상교, 최익서 p. 145-158
전문대학 프로덕트디자인 트랙의 직무역량 중심 환경디자인 교과목 개발 = A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design subject centered on job-competency for the product design track of junior college 이한나 p. 159-172

Kano 모델 및 AHP를 활용한 야간경관조명 요인의 중요도 분석 = Analysis of importance factors in nighttime landscape lighting using the Kano model and AHP 정원영, 이진숙, 박지영 p. 173-183

성수동 코스메틱 팝업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공간 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marketing spac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eongsu-dong cosmetics pop-up store 김채겸, 김주연, 양지윤 p. 185-196

공간구문론을 통한 천안시 성환읍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Seonghwan-eup, Cheonan-si 황의현 p. 197-204
사회적 처방 및 디자인 사업의 지역사회 공공가치 실현 방법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ization methodology of community public value in social prescribing and design project 주하나, 이현성, 김주연 p. 205-216

가상공간에서의 장소애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lace attachment in virtual space : focusing on metaverse usage behavior : 메타버스 이용행태를 중심으로 박변갑 p. 217-228

소규모 공공건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small-scale public architecture : based on research perspectives and types : 연구 관점에 따른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김성희, 이진숙 p. 229-237

서사적 공공공간을 위한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types of design subjects in narrative public space 노욱, 서동진, 김주연 p. 239-250

소규모 가구 공동주택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용공간 특화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specialized plan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of small households apartment housing 최우중, 장주영, 김주연 p. 251-262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알파룸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alpha room in apartment according to lifestyle 강수영, 장주영, 김주연 p. 263-274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 모터쇼 전시디자인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criteria for motor show exhibition based on smart mobility 조성웅, 최익서 p. 275-286

로버트 윌슨 『해변의 아인슈타인』 무대의 기호학적 시각언어에 관한 연구 = A semiotic study on the visual language in Robert Wilson’s scenography of <Einstein on the Beach> 백경민, 김주연 p. 287-297

디지털 전환시대 중소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공간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smart factor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MEs in a digital transformation era : focus on Taelim Industrial Co., Ltd., a manufacturer of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 전기 및 전자부품 제조업 태림산업(주)을 중심으로 이영주 p. 299-309

실내 공공 공간(Interior Public Space)에서의 섬유 설치미술의 표현 형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ve forms of fiber installation art in interior public spaces 한지에, 이수영 p. 311-324

공간디자인 마케팅 관점에서의 복합상업공간 플랜테리어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design marketi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ommercial space planterior design 양채원, 김지현 p. 325-336

베이비 스키마 조형 요소와 비경계(非警戒) 특성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by schema formative elements and non-alertness characteristics 황정석, 조택연 p. 337-346

도시방재디자인의 리좀 이론 도입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rhizome theory in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for focus on civil defense shelters : 민방위 대피소를 중점으로 김가현, 이돈일 p. 347-359

역사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한 공공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ublic sculpture expressing the identity of historic cities 정석환, 안진근, 김주연 p. 361-371

언캐니 숭고미와 연관된 건축물 디자인 특성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architectural design features evoking the uncanny sublime beauty 박성진 p. 373-383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lderly friendly design of community public space for aging in place : centered on around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entral area of Shanghai :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라결여, 김경숙 p. 385-398

관광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s of tourism metaverse 김주영, 임선희, 김주연 p. 399-409

호텔의 브랜드 경험요소를 바탕으로 한 무지호텔(MUJI Hotel)의 브랜드 경험 전략 연구 = Research on Muji Hotel's brand experience strategy based on the elements of hotel brand experience 김부미, 권영재, 김주연 p. 411-422

산업유산 장소브랜딩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의 참여적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ory elements of public design applied to industrial heritage place branding 서모아, 이현성, 김주연 p. 423-434

몰링형 상업시설의 F&B브랜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F&B brand in malling type commercial facilities 노혜정, 김지현, 김주연 p. 435-444

공동주택 지하 주차 공간의 셉테드 관점에서의 색채 모형 감성 평가 = Emotional evaluation of color models in underground parking spaces of apartment houses from a CPTED perspective 이은경, 이진숙 p. 445-454

지역브랜드 디자인 요인의 중요도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local brand design factors 김은경, 이진숙 p. 455-463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eco-friendly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avilions 이민철, 권영재, 김주연 p. 465-476

빨래(세탁(洗濯)) 장소와 행위의 변천, 그리고 공간경험의 변화 = Transition in a laundry activity and place, and changes in spatial experience : laundry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hang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 기술의 발전과 주거환경의 변화에 따른 빨래 이재호 p. 477-488

안전교육 강화를 위한 종합안전체험관 공간디자인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directio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for the enhancement of safety education 엄소원, 김연정 p. 489-501

디자인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연합감각 조형생성 연구 = Research of the creation of formative design based on sensory associa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 a focus on sweetness : 단맛을 중심으로 황정석, 조택연 p. 503-512

VMD기법에 의한 팝업 스토어 공간구성 요소가 브랜드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VMD-based pop-up store space design on brand experience : focusing on the case of luxury POP-up stores in China : 중국 내 명품 POP-UP Store 사례를 중심으로 이흔영, 김경숙 p. 513-525

중국 커뮤니티형 쇼핑센터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design elements of community shopping center in China 마려죽, 임선희, 김주연 p. 527-541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 건축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library architecture with user-oriented : focused on the Johnson Favaro architect works : 미국 존슨 파바로 아키텍츠 작품을 중심으로 김희근 p. 543-554

AIP를 위한 노후화된 주택의 안전손잡이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safety handles in aging houses for AIP : focusing on user requirement survey : 사용자 요구사항 조사를 중심으로 김기원 p. 555-568

스마트 도시 외부 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smart urban open space : focusing on Guri Hangang riverside urban development project : 구리시 한강변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전진현 p. 569-582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oi, Hyeseong, (2017). A review of methodology of convergence in arts by Lessing's theory of art sign.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미소장
2 Choi, Sangmin, (2013). Space-theory & Prospect in Drama. The 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 0(52), 183-206. 미소장
3 Holmberg, Arthur, (1996). The Theatre of Robert Wil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 Im, Iljin, (2021). A study on space utilization in image theater. Journal of Korean Theatre Education, 39(-), 149-173. 미소장
5 In, Sungki, (2004). Die performative Funktion der Signifikanten im postmodernen Theater.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 33(-), 299-328. 미소장
6 Jo, Seounghoo, & Yun, Yeankyung, (2017). A Study on the Space Plan of the Complex Performing Arts Center by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 Appearing in Directing Aesthetics of Robert Wilson"s Image Theat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19(3), 89-94. 미소장
7 Lee, Jihee, (2020). A study on the semiot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ance. Han 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미소장
8 Lee, Sunhyung, (2015). Etude sur l influence de la semiologie du theatre dans le theatre coreen. 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1(55), 123-148. 미소장
9 Paek, Rora, (2005). The Structure of Image and Authorial Desire in the Theater of Robert Wilson. Korean Theatre Studeis Assiociation, 0(25), 39-69. 미소장
10 Park, Haekyeong, (1994). Reasearch on Robert Wilson’s image theatre. Chung 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미소장
11 Quadri, F., Bertoni, F., & Stearns, R., (2001). Robert Wilson. Paris: Plume. 미소장
12 Song, Jinwon,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social desig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Degree. 미소장
13 백선기, (2015). 미디어 기호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4 위베르스펠드, 앤, (신, 현숙 역), (1994). 연극기호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 / Anne, Ubersfeld, (1977). Lire le theatre. Paris: Editions sociales. 미소장
15 엘람, 케어, (이기한 & 이재명 역), (1998). 연극과 희곡의 기호학. 서울: 평민사 / Elam, Keir, (1980). The semiotics of theatre and drama. London: Methuen & Co. Lt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