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봉산탈춤〉에 내재된 불교용어와 언어표현 속에 내재된 다양한 문화요소를 분석한 논문이다. 불교문화는 한국문화를 구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문화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봉산탈춤〉과 같은 민속극은 많은 종류의 불교용어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으로 〈봉산탈춤〉과 같은 민속극은 민중들 사이에서 전승되었기 때문에 민속극의 대사 속에는 위선적인 지배층과 타락한 종교인에 대한 풍자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부적절하고 올바르지 못한 종교인의 행위에 대한 풍자는 또한 간접적으로 전통적인 한국사회에서 이상적인 종교인의 이미지를 반영해주며, 나아가서는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민중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바람직한 불교문화를 보여준다. 이러한 의미에서 〈봉산탈춤〉의 대사에 나오는 불교용어는 민중들의 생활불교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언어인류학적 시각에서 〈봉산탈춤〉에 기술되어 있는 불교용어는 불교 승려, 불교의례와 음악, 불교의 사찰과 불상, 불교의 여러 신(神)과 명호(名號), 불교의 세계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특히 불교의 승려와 관련한 불교용어는 지위, 역할, 능력, 외모, 젠더, 하대(下待) 등의 의미적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봉산탈춤〉에서 불교용어를 활용한 재담도 주목할 수 있는데 불교음악과 관련한 ‘법고’와 불교복식과 관련한 ‘송낙’ 등의 불교용어가 재담의 소재로서 민중들의 창의적인 언어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민속극인 〈봉산탈춤〉은 전통사회에서 민중들의 문화를 대변하면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 왔는데, 특히 1967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현재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2022년에 〈봉산탈춤〉>은 〈하회별신굿탈놀이〉, 〈강릉관노가면극〉, 〈강령탈춤〉 등 다른 한국의 대표적인 탈춤과 함께 유네스코(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에 등재되었다. 따라서 〈봉산탈춤〉과 같은 민속극의 불교용어를 비롯해서 불교용어 속에 숨어있는 독특하고 미세한 한국문화인 불교문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하는 것은 중요하며 학술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various cultural components embedded in Buddhistic terms and language expressions found in the 〈Bongsan Mask Dance〉. Buddhist culture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of Korean culture. Some folk plays like 〈Bongsan Mask Dance〉 therefore provide a variety of Buddhistic terms. Traditionally the folk play 〈Bongsan Mask Dance〉 was performed among grassroots people and thus theatrical lines often showed criticism against the hypocritical elite and depraved monks. Yet criticism of inappropriate behaviors of monks indirectly also reflects ideal images of monks and show general daily practices of Buddhists in former traditional Korean society. In that sense Buddhistic terms found in the folk play 〈Bongsan Mask Dance〉 contain quite a number of everyday life descriptions of Buddhists as well.
From the linguistic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the major themes of Buddhistic terms inside 〈Bongsan Mask Dance〉 can be divided into the themes Buddhist monks, Buddhist rituals and music, Buddhist temples and statues, Buddhist gods and holy words, world view of Buddhism, etc. In particular, Buddhistic terms with the theme of Buddhist monks consist of several semantic components, such as their status, role in Buddhist temples, competence, appearance, gender, disrespectful manner to name a few. Some language expressions concerning Buddhism inside 〈Bongsan Mask Dance〉 provide witticism. For instance, Beopgo Drum, a kind of musical instrument in Buddhism is used for pun and ridicule.
Furthermore the folk play 〈Bongsan Mask Dance〉 has been transmitted and kept its importance till today, especially since it was designated a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67. Also 18 Korean Mask Dances including 〈Bongsan Mask Dance〉 were listed as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22. Hence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into unique as well as subtle Korean culture inside 〈Bongsan Mask Dance〉, particularly Buddhistic term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광해, 『국어 어휘론 개설』, 집문당, 2015. | 미소장 |
2 | 서대석, 『한국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미소장 |
3 | 손태도, 「민속연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구비문학연구』 16권, 한국구비문학회, 2003, 355- 411쪽. | 미소장 |
4 | 박전열, 『봉산탈춤』, 화산문화, 2001. | 미소장 |
5 | 박환영, 「판소리에 반영된 불교어휘의 문화언어학적 연구」,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24권 제2호, 2018, 67-81쪽. | 미소장 |
6 | 박환영, 「속담 속에 반영된 불교어휘의 언어인류학적 연구」,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26권 제1호, 2020, 147-164쪽. | 미소장 |
7 | 오출세, 『불교민속문학연구』, 집문당, 2008. | 미소장 |
8 | 용하,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1961. | 미소장 |
9 | 윤광봉, 「민속극과 불교 – 스님 과장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2집, 비교민속학회, 1995, 227-264쪽. | 미소장 |
10 | 윤광봉, 『한국연희예술사: 유사한 중국ㆍ일본의 연희를 살피며』, 민속원, 2016. | 미소장 |
11 | 이기문, 『속담사전』, 일조각, 1997. | 미소장 |
12 | 이두현, 『의민 이두현 저작집: 02 한국의 가면극』, 민속원, 2013. | 미소장 |
13 | 이익환, 『의미론개론』, 한신문화사, 1986. | 미소장 |
14 | 이정일, 「국어 어휘 속의 불교용어」, 『불교어문논집』 제7집, 한국불교어문학회, 2002, 145- 193쪽. | 미소장 |
15 | 이훈종, 『민족생활어사전』, 한길사, 1992. | 미소장 |
16 | 임혜정, 「본산대놀이의 음악에 관한 추론 – 1930년대 채록본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제34집, 한국문학과 예술연구소, 2020, 67-90쪽. | 미소장 |
17 | 전경욱, 「가면극」, 『한국민속의 세계 6: 민속예술ㆍ공예』,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187-278쪽. | 미소장 |
18 |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90. | 미소장 |
19 | 정형호, 「가면극에 나타난 중의 성격 고찰」, 『한국민속학』 27집, 한국민속학회, 1995, 461- 492쪽. | 미소장 |
20 | 조만호, 『한국가면극, 창조적 복원을 향하여: 봉산가면극 이두현본ㆍ김일출본』, 보고사, 2017. | 미소장 |
21 | 채완, 「불교용어의 일상어화에 대한 고찰」, 『이기문 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신구문화사, 1996, 754-773쪽. | 미소장 |
22 |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편), 『한국민속대사전』, 민중서관, 1998. | 미소장 |
23 | 홍석모(저) 정승모(풀어씀), 『동국세시기』, 풀빛, 2009. | 미소장 |
24 | 홍철기, 「불교어휘 연구: 차용(借用)상의 유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 미소장 |
25 | Palmer, F. R, Seman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 미소장 |
26 | Salzmann, Z, Language, Culture & Society: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Anthropology, Oxford: Westview Press, 199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