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지속가능발전지향 근면·자조·협동 기반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 증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personality-center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diligence, self-help, and cooperation on preschoolers' self-efficacy and sense of community / 민하영 ; 조우미 1

Abstract 1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 3

2. 연구절차 4

3. 측정도구 6

4. 자료분석 7

Ⅲ. 연구결과 7

1. 지속가능발전지향 근면·자조·협동 기반의 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7

2. 지속가능발전지향 근면·자조·협동 기반의 인성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공동체의식 증진에 미치는 효과 8

Ⅳ. 논의 및 결론 9

REFERENCES 1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 = CHildren growing together : storie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children from community child center participating in a choir program : 합창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소속 다문화 및 비다문화 가정 아동 이야기 홍수민, 한세영, 유다정 p. 337-352

보기
지속가능발전지향 근면·자조·협동 기반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 증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personality-center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diligence, self-help, and cooperation on preschoolers' self-efficacy and sense of community 민하영, 조우미 p. 353-364

보기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 A study of creative teaching behaviors : focusing on empathy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공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김영민, 민하영 p. 365-374

보기
결혼안정성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marital stability in Korea 박인아, 전세송 p. 375-392

보기
기혼남녀의 자녀 발달단계에 따른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of married men and women 류민영, 정현숙 p. 393-407

보기
중국 온라인 쇼핑몰의 챗봇 서비스에 대한 혜택, 희생,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가치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benefits, sacrifice, and social presence of chatbot services in Chinese online shopping malls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모온가, 류미현 p. 409-423

보기
소비자사회화 요인과 환경의식이 제로 웨이스트(Zero-Waste)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consumer socialization agents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on zero-waste consumption behavior 최경숙 p. 425-440

보기
장 폴 고티에의 게스트 디자이너 프로젝트 작품에 나타난 표현 특성 =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Jean Paul Gautier's guest designer project works 김선영 p. 441-455

보기
추출 방법에 따른 홍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ed ginseng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김경아, 한인화, 금경숙, 안예빈, 이지영, 정수지, 조진아 p. 457-465

보기
대전 지역 대학생의 배달음식 이용 빈도에 따른 배달음식 이용 행태 및 코로나 이후 식생활 실태 = Food delivery services usage and post COVID-19 dietary lif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ood delivery services use among college students in Daejeon 윤은영 p. 467-479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진, 심성경, 류경희(2013). 신체 및 표현활동 중심의 실외놀이를 통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5), 5-30. 미소장
2 강민정, 이성희, 김윤태, 이상원(2018).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4 영역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29(1), 81-99. 미소장
3 곽희선, 김미애(2020). 실외 밧줄놀이 활동이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9(3), 25-53. 미소장
4 교육부(2020). 인성교육진흥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20857#0000에서 인출. 미소장
5 교육부, 보건복지부(2020). 2019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미소장
6 김아영 차정은, 이다솜, 임인혜, 탁하얀... 송윤아(2008).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교육, 35(4), 3-24. 미소장
7 김영옥(2008).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딩슈잉, 한유진, 조부경(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7(3), 247-273. 미소장
9 류지선, 김지은(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나눔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이타성 및 공동체의식에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11(2), 85-111. 미소장
10 박춘성(2010).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0(2), 61-72. 미소장
11 서현정, 조부경, 김경철, 최현주, 최연철(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8(2), 173-203. 미소장
12 신은수, 박은혜(2012).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 설정. 육아지원연구, 7(1), 27-49. 미소장
13 양진희(2022).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자연친화놀이 활동이유아의 생명존중 인식과 공동체 의식 및 세계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4), 1881-1895. 미소장
14 유구종, 함은지, 가신현(2016). 지속가능발전 교육활동이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배려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1(2), 491-516. 미소장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2014).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그리다. 「유엔지속가능발전 10년」최종보고서. 서울:유네스코한국위원회. 미소장
16 이유나, 이연승(2020).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척도개발 및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40(5), 61-84. 미소장
17 이종향(2013). 만 5세 유아의 공동체의식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7(3), 131-152. 미소장
18 장진영, 정계숙(2018).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숲놀이활동의 효과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269-292. 미소장
19 전인옥(1996). 교사의 교육신념과 자아효능감이 유아의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논문집, 22, 493-528. 미소장
20 조영철, 이상원(2020).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9~12영역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 한국초등교육, 31(1), 191-211. 미소장
21 지옥정(2014).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종이 프로젝트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연계 주체들에게미친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3(3), 199-225. 미소장
22 지옥정, 허미화, 백은주, 정미라(2015). 우리나라 유치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실태 조사. 한국영유아보육학, 90, 23-52. 미소장
23 최연철, 김경철, 조부경, 서현정, 최현주(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 생애주기별연수모형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379-407. 미소장
24 최외출(2013). 새마을운동 연구경향과 새마을학 정립에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7(1), 61-93. 미소장
25 Albrecht, S. L., & Marty, A. (2020).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job resour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employee engagement,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31(5), 657-681. 미소장
26 Amran, A., Jasin, I., Satriawan, M., Perkasa, M., & Satriawan, M. (2019). Develop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character learning model for Indonesian golden generation. Asian Social Science, 15(12), 87-93. 미소장
2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미소장
28 Berk, L. E. (2022).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7th). Boston: Pearson 미소장
29 Chatterjee, R., & Correia, A. P. (2020). Online students’ attitudes toward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nse of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4(1), 53-68. 미소장
30 Gough, S., & Scott, W. (2006).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political analysis. Educational Review, 58(3), 273-290. 미소장
31 Hägglund, S., & Samuelsson, I. P. (2009).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lear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itizenship.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1, 49-63. 미소장
32 Hedefalk, M., Almqvist, J., & Östman, L. (2015).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1(7), 975-990. 미소장
33 Heslin, P. A., & Klehe, U. C. (2006). Self-efficacy. Encyclopedia Of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 pp.705-708). Thousand Oaks: Sage. 미소장
34 Koivula, M., & Hännikäinen, M. (2017). Buildi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in a day care centre through small groups in play. Early Years, 37(2), 126-142. 미소장
35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미소장
36 Rogala, A., Szczepaniak, M., Michalak, N., & Andersson, G. (2020). Internet-based self-help intervention aimed at increasing social self-efficacy among internal migrants in Poland: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et Interventions, 21, 100322. 미소장
37 Tennent, L., Farrell, A., & Tayler, C. (2006). Social Capital and Sense of Community: What do They Mean for Young Children's Success at School. AARE 2005 Education Research(p. 1-13), Sydney, Australi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