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정부가 산림 관련 중요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지방자치단체 이전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에서 사용되는 인과관계 맵 분석과 피드백 루프 분석을 활용한다. 산림행정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하는 것을 전제로 파급효과에 대한 피드백 루프를 탐색한 결과 총 12개의 피드백 루프가 발견되었다. 산림행정권의 지방이양 문제는 강원특별자치도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지방자치단체가 별도의 권한과 특별권한을 요구할 경우 더욱 첨예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산림행정권이 지방으로 이양되면 장단점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방안과 산림행정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어느 정도까지 이양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시스템 다이내믹스에 의한 인과관계도 분석과 피드백 고리 탐색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사이의 권한이양 문제가 제기될 때 산림행정 권한을 보다 객관적으로 논의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자춘 외. (2022).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2 | 국립산림과학원. (2020). 「산림의 공익기능 평가 보고서」. | 미소장 |
3 | 금창호·최영출. (2016). 제주특별자치도의 특별행정기관 운영현황과 중앙정부의 역할방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0(4): 437-456. | 미소장 |
4 | 김도훈·문태훈·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5 | 김종호 외. (2010). 「산림의 공익기능 계량화 연구」. 국립산림과학원. | 미소장 |
6 | 김종호·김래현·윤호중·이승우·최형태·김재준·박찬열·김기동. (2012). 산림공익기능의 경제적가치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6(4): 9-18. | 미소장 |
7 | 산림청. (2022a). 「산림르네상스 추진 전략」. | 미소장 |
8 | 산림청. (2022b). 「제주특별자치도 산림관리 및 특행기관 사례조사 결과 보고」. | 미소장 |
9 | 석현덕·박소희. (2013). 「협력적 산림관리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미소장 |
10 | 안경섭. (2009).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이관에 대환 실증분석: 산림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1(2): 101-122. | 미소장 |
11 | 양영철·민기. (2008). 「제주특별자치도의 이해」.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12 | 염종호. (2006). 「산림행정 거버넌스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정책과정에서의 시민 참여에 관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장지현. (2010). 교육ODA 사업의 주요 이슈 및 피드백 구조 탐색. 「한국비교정부학보」, 24(4):1-19. | 미소장 |
14 | 장지현·기영화. (2019).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한 외국인유학생 생활만족도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121-143 | 미소장 |
15 | 장지현. (2017a).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사회적 기업 지속가능성 시나리오 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1):63-86. | 미소장 |
16 | 장지현. (2017b).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피이드백 루프 탐색과 정책시뮬레이션. 「사회적경제와정책연구」, 7(3): 109-144. | 미소장 |
17 | 전국시도지사협의회. (2009). 「주요 선진국 국가관리지방청 특별지방행정기관 운영 연구」. | 미소장 |
18 | 정재운·김현수·최형림. (2008). 「시스템다이내믹스 활용의 실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춘계학술대회. | 미소장 |
19 | 조윤숙. (2014). 산림자원 및 산림의 공익기능량 추정을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개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5(3): 5-36. | 미소장 |
20 | 주효진·이석환·조주연. (2009). 산림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산림행정조직 발전방안 모색. 「한국공공관리학보」, 23(1): 65-87. | 미소장 |
21 | 최영출. (2019). 공적개발원조에 있어서 효과성 측정 방법론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23(4):1-27. | 미소장 |
22 | 최영출. (2017). ODA 사업추진의 효과성 강화를 위한 정책 시뮬레이션: 시스템다이내믹스 방법론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1(3): 25-53. | 미소장 |
23 | 최영출. (2020).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공공부문 사업의 사회적 가치 측정.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1(2): 111-150. | 미소장 |
24 | 최영출. (2012). 한국의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과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3(1): 105-158. | 미소장 |
25 | 채미옥·이길용·전은선·송하승. (2015). 산림휴양기능의 거시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과학회지」, 104(2): 267-276. | 미소장 |
26 | 한국정책학회. (202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상생협력을 위한 산림거버넌스 구축 및 발전 방안. 산림청 정책보고서」 | 미소장 |
27 | 홍형득·우수영 외.(2022). 「산림정책의 쟁점과 과제」. 서울: 대영문화사」. | 미소장 |
28 | Government of Canada (https://www.nrcan.gc.ca/our-natural-resources/forests/state-canadasforests-report/forest-industry-contribute/16517). | 미소장 |
29 | Hardin, G. (1978). Political Requirements for Preserving our Common Heritage. In H. P. Bokaw(ed), Wildfire and America. Washington, D. C.: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 미소장 |
30 | Hovmand, P. & Pitner, R. (2005). Combining system dynamics, social network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proceedings of the 2005 International System Dynamics Conference, System Dynamics Society. Boston, MA. | 미소장 |
31 | Johansson, Johanna & Rolf Lidskog. (2020). Constructing and justifying risk and accountability after extreme events: public administration and stakerholders’ responses to a wildfire disaster. Published online: 15 Mar, 353-365. | 미소장 |
32 | Loncar, Ljiljana, Marko Hell, Vesna Dusak. (2006). A System Dynamics Model of Forest Management. 2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Interfaces ITI 2006, Croatia. | 미소장 |
33 | Metsähallitus(https://www.metsa.fi/en/lands-and-waters/planning-of-state-owned-areas/). | 미소장 |
34 |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of Finland (https://mmm.fi/en/forests/strategies-andprogrammes). | 미소장 |
35 | National Council for Air and Stream Improvement (https://www.ncasi.org/resource/canadianforestry-regulations-and-standards/). | 미소장 |
36 | UN. (2019). Germany’s Voluntary National Contribution towards achieving the Global Forest Goals and targets of the United Nations Strategic Plan for Forests. | 미소장 |
37 | UN. (2020). Canada FRA 2020(https://fra-data.fao.org/CAN/fra2020/forestPolicy/). | 미소장 |
38 | Waugh, William L. & Gregory Streib. (2006). Collaboration and Leadership for Effective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December: 131-140. | 미소장 |
39 | Welch, W. P. (1983). The Political Feasibility of Full Ownership Property Rights: The Case of Pollution and Fisheries. Policy Sciences. 16. | 미소장 |
40 | Welsh Assembly Government. (2009). Woodlands for Wales. | 미소장 |
41 |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https://databank.worldbank.org/source/world-developmentindicator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