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의 안정적 애착관계형성을 위한 음악치료 사례연구이다. 연장입양 아동이란, 임시적인 돌봄 환경에서 지내다 태어난 지 12개월이 지나 입양된 아동으로 본 사례에서는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와 3쌍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12월 주 2회 40분씩 총 8회기 음악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와 자료조사를 토대로 음악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의 단계는 애착척도(IPPA-R)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애착행동관찰을 위한 애착평가 도구는 Q-set의 하위요소 질문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음악적 행동으로 수정한 후 음악치료 박사 2인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아 사용하였다. 아동과 주양육자와의 애착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의 수집은 부모-유아 애착척도 사전-사후 검사 및 아동애착행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 아동들의 애착행동은 5가지 하위 영역으로 자료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음악적-비음악적 애착관련 변화를 정성적으로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유아 애착척도 사전-사후 검증에서 참가자 전체 평균 5점이 향상되었다. 참여아동의 애착행동의 변화는 순응, 도움요구, 안전기반행동, 정서공유, 신체접촉의 5개 하위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그 중 신체접촉과 도움요구하기 항목에서 가장 큰 상승 폭이 있었다. 또한 애착행동 변화에 대한 음악적-언어적 정성적 평가 결과는 음악중재가 입양연장아동과 주 양육자에게 애착형성을 위한 긍정적인 장(場)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입양연장 아동들은 음악적 환경에서 안전한 대상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받았으며, 주 양육자들은 음악활동을 통해 양육 태도와 정서적 조율의 방법을 습득하고 연습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장입양아-주 양육자 대상 국내 첫 음악중재 사례로 그 의의가 있으며, 추후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가 상호 건강한 애착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음악중재 및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고 사료된다.

This is a case study of music therapy for the development of a secure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Extended adoption children refer to children who have spent at least 12 months in temporary care before being adopted. In this case study, three pairs of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were provided eight sessions of music intervention session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1. The researcher developed the music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program consisted of three steps based on the sub-factors of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IPPA-R) attachment scale. For attachment behavior observation, the researcher modified the Q-set sub-factors into music-related behaviors, which were then validated for reliability by two music therapists. Data were collected to analyze changes in attachment between the children and primary caregivers using the attachment scale pre- and post-tests in children attachment behavior. The children's attachment behavi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five sub-domains, and changes in both music-related and non-music-related attachment behaviors were qualitatively described. The results showed an overall improvement in attachment as an average score on the Parent-Child Attachment Scale increased by 5 points after intervention. The children's attachment behaviors improved in the sub-domains of compliance, help-seeking, secure-base behavior, emotional sharing, and physical contact, with the most significant increase observed in physical contact and help-seeking.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music-related and verbal behaviors indicated that music intervention provided a positive environment for attachment formation between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The children experienced secure interactions with caregivers in the musical environment, while caregivers acquired and practic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music activities. This case study holds significance as the first music intervention study targeting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It provides a foundation for future music interventions and research to promote healthy attachment relationships between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primary caregiv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혼합연구 = A mixed-methods study of online group art therapy using photography for Chinese students in Korea-focusing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왕붕, 김현미 p. 1-24

발달과정을 중심으로 본 석사과정생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미술치료 실습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art therapy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 of master's students in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s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이도연, 이홍숙 p. 25-51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연속적 표현치료(ETC)기반 슬라임 매체 미술치료 사례연구 =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a case study of ETC-based slime art therapy for verbal and non-verbal emotional expression 김현주, 임나영 p. 53-79

연장입양 아동과 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을 위한 음악중재 사례 = A case study of music intervention for attachment formation between extended adoption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전예은, 김경숙 p. 81-98

집단 음악 활동이 통합어린이집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group music activit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i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박태은, 문지영 p. 99-118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빈나 (2014). 밴드 활동이 입양 성인 남성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권지성 (2003). 공개입양가족의 적응. 서울: 나눔의 집. 미소장
3 권지성, 변미희, 안재진, 최운선 (2018). 입양부모의 입양관련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입양가족캠프, 자조모임, 입양합창단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5(2), 57-82. 미소장
4 김향은 (2002). 입양 부모들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 공개입양 자조집단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가족복지학, 7(2), 35-50. 미소장
5 김혜수 (2013). 입양 아동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대한사회복지회 (2015). 예비양부모 교육 자료집. 미소장
7 동방사회복지회 (2015). 예비입양부모 교육 자료집. 미소장
8 민성혜, 이영 (2006). 이야기를 통한 유아 내적 표상과 행동억제. 아동학회지, 27(3), 81-100. 미소장
9 박영옥 (2019). 집단연주활동을 통한 유방암 생존자의 불안 및 자아존중감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 19(2), 63-83. 미소장
10 백경숙, 변미희 (2001). 공개입양부모를 위한 사전· 사후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아동과 권리, 5, 81-95. 미소장
11 서선옥, 심미경 (2015). 만 5 세 애착측정도구로서의'애착 Q-set'예비 타당도 연구. 아동학회지, 36(3), 175-194. 미소장
12 신혜원, 민성혜 (2008). 가정위탁유아, 연장입양유아와 일반유아의 내적표상에서의 차이. 아동학회지, 29(3), 157-174. 미소장
13 신혜원, 정익중, 민성혜, 권지성 (2011). 연장입양 아동 가족의 부모-자녀 애착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2), 85-95. 미소장
14 안재진, 권지성, 변미희, 최운선 (2009). 국내 입양 아동의 문제행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공개입양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9), 187-219. 미소장
15 양애경. (2006).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유아-부모,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5(4), 197-212. 미소장
16 임경수 (2015). 애착이론과 역기능 발달 상담. 서울:학지사. 미소장
17 전효정. (2003). 어머니-유아 애착의 세대간 전이의 메커니즘: 어머니의 내적 실행모델과자녀양육행동이 유아의 애착유형에 미치는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3), 159-174. 미소장
18 정소라 (2016). 한국 입양법 변화의 사회적 의미: 1967년 입양법과 2012년 입양법을 중심으로. 민족연구, (65), 46-62. 미소장
19 정익중 (2009). 청소년비행 발달궤적의 다양한유형. 한국청소년연구, 20(3), 253-280. 미소장
20 정지나, 이영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 내적 표상의 매개 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7(4), 65-80. 미소장
21 최경희, 심교린 (2020). 밴드 음악활동을 통해회복된 위기청소년의 음악경험 연구: 소년보호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치료학회지, 20(1), 125-242. 미소장
22 최리라, 권현수 (2018). 한 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심리치료 사례연구.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8(2), 23-45. 미소장
23 최세민 (2016). 구조화된 악기중심 음악활동이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반사회적 행동에 미친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16(1), 59-71. 미소장
24 최슬기 (2019). 공개입양가정의 가족레질리언스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최운선, 안재진, 변미희, 권지성 (2011). 국내입양 아동의 입양됨에 대한 인식 연구. 인간발달연구, 18(4), 169-182. 미소장
26 Abad, V., & Williams, K. E. (2007). Early intervention music therapy: Reporting on a 3-year project to address needs with at-risk families. Music Therapy Pers pectives, 25( 1), 52-58. 미소장
27 Ainsworth, M. S. (1979). Infant–mother attachment. American psychologist, 34(10), 932. 미소장
28 A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erenceSand their reationshipStopSychological Wel-being in adoleSceTCe. CLr712 Cf YOLh Crid AdoleSCarica, 16-427. 미소장
29 Bohman, M., & Sigvardsson, S. (1980).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children registered for adoption: A 15‐year follow‐up.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1(4), 339-355 미소장
30 Edwards, J. (2011). The use of music therapy to promote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infants. The Arts in psychotherapy, 38(3), 190-195. 미소장
31 Edwards, J. (2014). The role ofthe music therapist in promoting parent infant attachment. Canadi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1), 28‐38. 미소장
32 Humphrey, R. T. (2020). Social pedagogy, music making and adopte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edagogy, 9(1). 미소장
33 Levy, T. M., & Orlans, M. (2000). Attachment, Trauma, and Healing: Understanding and Treating Attachment Disorder in Children and Families. Adolescence, 35(140), 821. 미소장
34 Wang, S., & Oldfield, A. (2018). The effect of music therapy session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how to measure it, with reference to attachment theory. Psychiatria Danubina, 30(7), 546-554. 미소장
35 Zanders, M. L. (2015). Music Therapy Practices and Processes with Foster-Care Youth: Formulating an Approach to Clinical Work, Music Therapy Perspectives, 33(2), 97–107 미소장
36 Zanders, M. L. (2012). THE MUSICAL AND PERSONAL BIOGRAPHIES OF ADOLESCENTS WITH FOSTER CARE EXPERIENCE. Qualitative Inquiries in Music Therapy, 7. 미소장
37 Zimmermann, P. (1999).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d their role for emotion regulation.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1(3), 291-3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