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은 한대(漢代)의 제례 기념물인 화상석(畫像石)의 제작 의도, 화상석에서 표현되는 이야기와 그 의미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해 화상석에 나타나는 유교 사상과 신화적 사유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한대의 독특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신화적 사유와 유교와의 접점과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 모색한다.
Ⅱ장에서는 무량사(武梁祠)의 효행고사를 중심으로 효 이데올로기를 드러내고자 하는 외적 의도를 검토하였다. 그중 증자(曾子)의 화상에는 『효경』 제작자로 널리 알려진 그의 상징성을 통해 효를 선양하려는 의도를 비롯하여 『전국책』 고사를 인용하여 군주와 신하의 신의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정란(丁蘭)의 화상에서는 실정법을 넘어서는 효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으며, 안국(安國)의 화상에서는 죽은 이가 아닌 산 자의 공적을 드러내려는 의도를 확인하였다. 더욱이 일반적인 부모와 자식 사이의 효를 넘어서 열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풍토를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화상석의 신화적 제재로서 서왕모(西王母)와 관련한 불사의 관념과 이를 통해 구현되는 죽은 이의 영원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특히 누각배례도를 통해 마차를 타고 출행한 묘주가 후손의 제사를 받는 장면을 재연함으로써 선계로 상승할 가능성을 표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무덤과 사당에서 반복하여 거행하는 제사를 통해 조상의 영원함이 실현되기를 기원하는 후손의 염원이 조상 배례의 형상과 서왕모를 비롯한 선계의 형상으로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곧 『중용』의 ‘사사여사생((事死如事生)’의 진정한 의미로서 조상의 영원함을 현세에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 | 미소장 |
2 | 『中庸』 | 미소장 |
3 | 『莊子』 | 미소장 |
4 | 『鹽鐵論』 | 미소장 |
5 | 『潛夫論』 | 미소장 |
6 | 『山海經』 | 미소장 |
7 | 『淮南子』 | 미소장 |
8 | 『太平御覽』 | 미소장 |
9 | 『列女傳』 | 미소장 |
10 | 『戰國策』 | 미소장 |
11 | 『史記』 | 미소장 |
12 | 『漢書』 | 미소장 |
13 | 김 근,『한자는 중국을 어떻게 지배했는가-한대 경학의 해부』, 서울: 민음사, 1999. | 미소장 |
14 | 미르치아 엘리아데, 심재중 옮김,『영원회귀의 신화』, 서울: 이학사, 2003. | 미소장 |
15 |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은봉 옮김,『종교형태론』, 파주: 한길사, 2008. | 미소장 |
16 | 傅惜華外,『山東漢畫像石汇编』, 濟南: 山東畫報出版社, 2010. | 미소장 |
17 | 信立祥, 김용성 역,『한대 화상석의 세계』, 서울: 학연문화사, 2005. | 미소장 |
18 | 우 훙, 김병준 역,『순간과 영원』, 서울: 아카넷, 2003. | 미소장 |
19 | 유강하,『도상, 문명의 이동을 말하다』, 서울: 심포지움, 2010. | 미소장 |
20 | 전호태,『중국 화상석과 고분벽화 연구』, 서울: 솔출판사, 2007. | 미소장 |
21 | 하야시 미나오, 김민수·윤창숙 역,『돌에 새겨진 동양의 생활과 사상』, 서울:두남, 1996. | 미소장 |
22 | 구성희, 「한대후장풍속과 박장론」,『성대사림』 15권, 수선사학회, 2001. | 미소장 |
23 | 김선자, 「도상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한대 화상석-서왕모 도상을 중심으로-」,『중국어문학논집』 제21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2. | 미소장 |
24 | 김용천 「전한시대 군국묘 치페논의」,『동국사학』 37,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2. | 미소장 |
25 | 김정렬, 「산 자를 위한 죽은 이의 그릇-중국 상주시대 청동예기의 성격과 그 변화-」,『미술사학』 27권,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미소장 |
26 | 이성구, 「한대의 사후세계관」,『중국고중세사연구』 38권, 중국고중세사학회, 2015. | 미소장 |
27 | 汪小洋, 「漢畫像石中西王母中心的形成如宗敎意義」,『南方文物』, 2004年第 3期. | 미소장 |
28 | 조정래, 「중국『이십사효』와『삼강행실도』에 나타난 효 관련 도상서사 연구」,『중국문화연구』 28권, 중국문화연구학회, 2015. | 미소장 |
29 | 최정운,『동아시아의 이십사효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미소장 |
30 | 허명화, 「한대의 조선제사」『CHINA 연구』 2집,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07. | 미소장 |
31 | 허명화, 「漢代畵像石에 반영된 祭祀藝術樣式-武梁祠堂樓閣拜禮圖를 중심으로-」,『중국사연구』 65권, 중국사학회, 2010. | 미소장 |
32 | 허명화, 「한대화상석에 반영된 조상제례연구」,『역사와 세계』 58권, 효원사학회, 20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