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한국 지방행정의 역사적 변천을 조선 초기 태조실록과 정종실록을 대상으로 특징을 포괄적으로 살폈다. 조선의 초기 지방행정은 중앙(조정)과 지방 관원이 함께했다고 볼 수 있다. 중앙에서 관찰사와 수령을 파견하고 이를 보좌하는 향리가 있었으며 지역을 중심으로 향청 등이 있었다. 세조 때 완성된 경국대전은 조선의 기틀을 다진 법전이면서도 정치적으로는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의미도 있었다. 조정에서 파견된 수령은 막강한 권한을 가졌으나 지역 세력을 무시하지 못했다. 또한 행정 구역은 고려 말기 제도를 수용하면서도 조선 초기 조정은 강력한 중앙집권을 이루고자 노력했다.

경국대전과 조선왕조실록을 분석한 결과로 첫째, 수령과 관원의 임면은 매우 중요했고 장기근속과 배치 방법에 신경을 썼다. 이는 당시 조정에서 지방 세력을 아울러서 통치 안정화를 시도하는 차원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정은 지방 수령과 관원을 감찰하고 기강을 확립하려고 했다. 둘째, 행정 구역 개편은 수시로 나타났으며 마을 명칭을 바꾸거나 토지를 다시 정해서 중앙의 지배력을 확립하려고 했다. 셋째, 민생 안정은 질병 치료와 기근 구제가 대표적이다. 또한 민정 시찰을 하더라도 농사에 방해되는 시기를 피하고 불편을 끼치지 않으려고 했다는 사실은 특징적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대 정부별 통일교육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nification education policies across different administrations 나인길, 전일욱 p. 1-38

한국 공공임대주택 공급 유형들의 분절화 연구 = A study on the fragmentation among supply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in South Korea : from Roh Tae-woo administration to Park Geun-hye administration : 노태우 행정부부터 박근혜 행정부까지 박종석, 배관표, 박정훈 p. 39-75

조선중기 지방 수령의 부임 및 인계과정 분석 = An analysis of the appointment and replacement process of local leaders in the mid-Joseon period : focusing on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of Lee Yu-gan as the head of Cheonan area : 이유간의 천안군수직 차정과 체직을 중심으로 심재권 p. 77-101

한국의 지방교육자치제도 변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ansi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이충렬, 임동완 p. 103-127

한국의 노인복지행정 제도화 과정과 발전방안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nd development of welfare administration for the elderly in Korea : centering on the Korea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 대한노인회를 중심으로 조경식 p. 129-158

한국 지방행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of local administr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Gteongguk Daejeon and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 경국대전과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하상군 p. 159-177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영길(2016). “조선시대 지방행정에 있어서 수령과 향청의 관계 변화와 의미”, 「한국행정사학지」 38, 미소장
2 권영길(2017). “조선시대 향리의 행정활동이 현대 지방행정에 주는 의미”, 「한국행정사학지」 40. 미소장
3 김기옥(2001). “조선 지방행정구역과 지방관료제도에 관한 고찰”, 「중앙행정논집」 15(1). 미소장
4 김은지(2019).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기의 지방자치제 시행과 지방행정관청 운영”, 「역사와 담론」 91. 미소장
5 김인규(2018). “경국대전의 성립과 주례 이념”, 「동방학」 38. 미소장
6 명경일(2011). “조선초기 계목 연구”, 「고문서연구」 38. 미소장
7 문재우(1997). “조선조의 지방행정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지」 5. 미소장
8 박동서(1987). “역사 속에서 본 오늘의 시대적 좌표”, 「국가발전과 지방행정」, 대한지방행정공제회. 미소장
9 박준호(2006). “경국대전 체제의 문서 행정 연구”, 「고문서연구」 28. 미소장
10 신서원 편집부(2005). 『경국대전』, 윤국일 옮김. 신서원. 미소장
11 이병갑(2008). “조선중기 지방행정기관의 정책과정 분석”, 「지방정부연구」 11(4). 미소장
12 이상엽(2001). “조선후기 지방행정에 있어서 이서의 역할”, 「동방학」 7. 미소장
13 임승빈(2015). “우리나라 지방자치제도의 연속과 단절”,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3). 미소장
14 정성식(2013). “경국대전의 성립배경과 체제”, 「동양문화연구」 13. 미소장
15 최봉수(1995). “한국 중세의 행정구역 정비와 중앙집권화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지」 4. 미소장
16 최봉수(2006). “고려-조선시대의 지방행정구역의 등급제와 승강제를 통한 중앙통제”, 「한국공공관리학보」 20(1). 미소장
17 최봉수(2008). “조선시대의 관찰사를 통한 중앙통제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지」 22. 미소장
18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21). 「지방자치 30년 평가와 자치분권 미래 비전 및 추진 전략」. 미소장
19 행정안전부(2015). 『한반도 지방행정의 역사』. 미소장
20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https://sillok.history.go.kr (검색일: 2023.06.01.-2023.08.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