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리메이크와 같은 스토리 리텔링의 제작 방식은 매체 전환 및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과 함께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제작 방식의 토대가 되는 각색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종 매체에서 원작을 각색하는 리메이크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원작 영화와 리메이크 영화의 비언어적 표현을 비교하여, 원작 각색 스토리텔링을 위한 실용적 방안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화횡단적 각색에서의 미장센과 같은 표현을 논의하고, 미장센의 구성 요소로서의 비언어 행위를 살펴보았으며, 비언어 행위의 문화적 차이를 고찰하였다. 서사 도식의 네 가지 단계 및 분노와 질투의 정념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비언어적 표현은 응시, 공간, 접촉, 의상, 자세였다.
연구 결과, 응시는 시각적 및 접촉적인 특성에 따라 고맥락의 접촉 문화에서는 유혹, 저맥락의 비접촉 문화에서는 부추김으로 해석되었다. 접촉의 필수 조건은 공간의 근접성이었다. 집단주의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변화했을 때, 친밀한 공간적 특징은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원조자 역할의 인물은 분리되었고, 지식, 능력, 믿음의 양태성은 접촉 및 의상과 관계되었다. 주체가 질투와 분노의 정념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치심은 명예나 자아상의 훼손을 발생시켰다. 이와 관련하여 정체성의 회복은 의상을 통해 명시적으로 드러났고, 원조자는 인물의 외형적 특성과 관련된 부분에서 도움을 주었다. 도덕화된 정동으로서의 수치심은 죄책감과 관계되었다. 이러한 자기 평가 정서가 자세로 나타났는데, 수치심 및 죄책감의 반대 정서인 자부심도 자세를 통해 발견되었다. 이러한 자세는 주체가 수행에 성공했음을 인정 받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작 영화와 리메이크 영화의 비언어적 표현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스토리 리텔링의 제작 방식을 다루고, 다양한 기호학적 접근 방법의 적용을 시사하는 연구 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oduction method of story-retelling like remakes is on the rise as media conversion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ttract more interest recently. However, there is very insufficient research on adaptation, which is the basis of such a production method.
Remakes are produced through the adaptation of originals in the same media, and out of them, this study focused on remake movies and attempted to come up with practical measures for original-adapted storytelling by comparing nonverbal expressions between original films and remake films.
Thus, this study discussed expressions like mise-en-scéne from trans-cultural adaptation, examined nonverbal behaviors as a component of mise-en-scéne and even contemplated cultural differences of nonverbal behaviors. While considering the four phases of narrative schema and the passion of anger and jealousy, this study intensively focused on four kinds of nonverbal expressions, gaze, space, touching behavior, clothing and pos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According to visual and tactile characteristics, gaze was interpreted as temptation in high-context contact culture and seduction in low-context non-contact culture. One of the essential conditions for touching behavior was proximity of space. When a collectivist culture turned into an individualistic culture, the intimate characteristics of space was reduced.
As a result, the character playing a role as a helper was separated, and the modality of knowing, being able and believing came to be related to clothing. Shame was generated while the subject was experiencing the passion of jealousy and anger, and it caused damage to honor or self-image. At the same time, restoring the identity was explicitly exposed through clothing, and the helper offered assistance related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s a moralized emotion, shame came to be related to guilt. Such a self-appraisal emotion appeared as posture. Pride was an emotion opposite to shame and guilt, but it was discovered through posture as well. Such posture appeared in the process of the subject being recognized with his or her successful performa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nquiring the production method of story retelling, while comparing nonverbal expressions between original films and remake films, and implying various approach methods in terms of semiotic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부응, 「제3영화로서의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문학과 영상』 8(1), 문학과영상학회, 2007, 35~59쪽. | 미소장 |
2 | 권재웅, 「유튜브 애니메이션 리뷰 채널의 특성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69),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301~342쪽. | 미소장 |
3 | 권재웅,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의 한국 애니메이션 사례 연구: <고스트 메신저>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6(4),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7~38쪽. | 미소장 |
4 | 김훈순, 김은영, 「모성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경합: 멜로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 시리즈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15,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121~153쪽. | 미소장 |
5 | 목혜정, 「김기영 <하녀>와 임상수 <하녀>의 사운드 비교분석」, 『씨네포럼』(11),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0, 61~96쪽. | 미소장 |
6 | 박기수,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전환 연구」, 『한국언어문화』 (44), 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155~176쪽. | 미소장 |
7 | 박찬효, 「인도의 한국 영화 수용 현황과 리메이크 작품에 나타난 현지화 양상 - <국제시장>과 <바라트(Bharat)>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 95, 국제어문학회, 2022, 681~710쪽. | 미소장 |
8 | 서성은, 「스토리텔링 전환 유형에 관한 시론(試論)」, 『인문콘텐츠』 (55), 인문콘텐츠학회, 2019, 91~118쪽. | 미소장 |
9 | 안숭범, 「이중의 ‘문화번역’ 과정에 나타난 사회적 함의 -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장화, 홍련>, <안나와 알렉스: 두 자매 이야기> -」, 『국제어문』 78, 국제어문학회, 2018, 347~379쪽. | 미소장 |
10 | 이문행, 「국내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 간 스토리 이동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5(1), 문화방송, 2014, 51~81쪽. | 미소장 |
11 | 이정국, 「<케이프 피어>의 리메이크 영화 비교 연구」, 『영화연구』 (35), 한국영화학회, 2008, 259~281쪽. | 미소장 |
12 | 이현주, 「한국영화 원작과 할리우드 리메이크작에 나타난 색채비교 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9(2)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305~316쪽. | 미소장 |
13 | 한혜원, 「온라인 팬픽에 나타난 스토리 리텔링 연구」, 『인문콘텐츠』 (27), 인문콘텐츠학회, 2012, 117~128쪽. | 미소장 |
14 |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미소장 |
15 | 김우룡, 장소원,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 | 미소장 |
16 | 래리 A. 사모바, 리처드 E. 포터,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정현숙, 김숙현, 최윤희, 김혜숙, 박기순 역, 커뮤니케이션스, 2007. | 미소장 |
17 | 래리 A. 사모바, 리처드 E. 포터, 에드윈 R. 맥대니얼, 캐럴린 S. 로이, 『문화 간커뮤니케이션』, 이두원, 이영옥, 김숙현, 김혜숙, 박기순, 최윤희 역, 커뮤니케이션스, 2015. | 미소장 |
18 |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박만준, 진기행 역, K-Books, 2012. | 미소장 |
19 | 류철균, 한혜원, 서성은, 안진경, 이동은, 권보연, 이진, 김은정, 윤현정, 윤혜영, 김유나, 이영수, 박은경,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 미소장 |
20 | 린다 허천, 『각색 이론의 모든 것: 무엇을 누가 왜 어떻게 어디서 언제』, 손종흠, 유춘동, 김대범 역, 앨피, 2017. | 미소장 |
21 | 마크 냅, 주디스 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최양호, 민인철, 김영기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미소장 |
22 | 마크 냅, 주디스 홀, 테런스 호건,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최양호, 김영기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미소장 |
23 |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미소장 |
24 | 박인철, 『영화 이야기 분석 방법』,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8. | 미소장 |
25 | 박인철, 『파리 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2003. | 미소장 |
26 | 서성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a. | 미소장 |
27 | 서성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b. | 미소장 |
28 | 송낙원, 『시나리오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미소장 |
29 | 안 에노, 『서사, 일반기호학』, 홍정표 역, 문학과지성사, 2003. | 미소장 |
30 | 알지르다스 J. 그레마스, 자크 퐁타뉴, 『정념의 기호학: 물적 상태에서 심적 상태로』, 유기환, 최용호, 신정아 역, 강, 2014. | 미소장 |
31 | 에드워드 홀, 『침묵의 언어』, 최효선 역, 한길사, 2013a. | 미소장 |
32 | 에드워드 홀, 『숨겨진 차원』, 최효선 역, 한길사, 2013b. | 미소장 |
33 | 에드워드 홀, 『문화를 넘어서』, 최효선 역, 한길사, 2013c. | 미소장 |
34 | 이종승, 『미장센: 영화 창작 논리의 해부』, 아모르문디, 2016. | 미소장 |
35 | 줄리어스 파스트, 『신체언어란 무엇인가』, 이수일 역, 한마음사, 1983. | 미소장 |
36 | 한성지, 김이영,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2016. | 미소장 |
37 | 홍정표, 『정념 기호학』, HUEBOOKS, 2014. | 미소장 |
38 | Bordwell, D., & Thompson, K., 『영화예술』, 주진숙, 이용관 역, 2011. | 미소장 |
39 | Hofstede, G., Hofstede, G. J., & Minkov, M., 『세계의 문화와 조직: 정신의 소프트웨어』, 차재호, 나은영 역, 학지사, 2014. | 미소장 |
40 | Keltner, D., Oatley, K., & Jenkins, J. M., 『정서의 이해』, 김현택 역, 학지사, 2021. | 미소장 |
41 | Niedenthal, P. M., & Ric, F., 『감정과학』, 이동훈, 양현보, 김해진 역, 학지사, 2022. | 미소장 |
42 | Reeve, J., 『동기와 정서의 이해』, 김아영, 도승이, 신태섭, 이우걸, 이은주, 장형심 역, 박학사, 2018. | 미소장 |
43 | Shiota, M. N., & Kalat, J. W., 『정서심리학』, 민경환, 이옥경, 이주일, 김민희, 장승민, 김명철 역,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5. | 미소장 |
44 | Fontanille, J., “Modalisations et modulations pasionnelles”, Revue internationale de philosophie 48:189, 1994, pp.341~362. | 미소장 |
45 | Knapp, M. L., Hall, J. A., & Horgan, T. G.,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Wadsworth Cengage Learning, 2014. | 미소장 |
46 | Mehrabian, A., Public Places and private spaces. Basic Books, 1976. | 미소장 |
47 | Remland, M. S., Nonverbal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SAGE, 2017. | 미소장 |
48 | Gloria, DVD, directed by Sebastian Lelio (2013; ㈜케이디미디어 [제작/판매]: 판씨네마(주) [제공], 2014) | 미소장 |
49 | Gloria Bell, DVD, directed by Sebastian Lelio (2019; 마루기획(주) [제작/판매]: 소니 픽쳐스 [제공], 2019) | 미소장 |
50 | 문동열, “영화⋅드라마, 리메이크⋅리부트 열풍 왜?”, 한겨레, 2022년 8월 13일,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54606.html (2023년 7월 22일 검색). | 미소장 |
51 | 박은해, “영상화 바람 탄 웹소설⋅웹툰, 관건은 수퍼 IP”, 뉴시스, 2022년 3월 27일,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25_0001807663&cID=10601&pID=10600 (2023년 7월 22일 검색). | 미소장 |
52 | 양성희, “[양성희의 퍼스펙티브] “옛것도 새롭다” 디지털 창고에서 보물 찾는 쾌감“, 중앙일보, 2023년 1월 5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1334 (2023년 7월 22일 검색). | 미소장 |
53 | 이주형, “[씨네멘터리] 올해 어떤 영화가 흥행했나 살펴봤더니...”, SBS 뉴스, 2022년 7월 10일,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16167 (2023년 7월 22일 검색). | 미소장 |
54 | 홍성윤, “리마스터, 리메이크, 리부트.. 꺼진 작품도 다시 보다”, 매일경제, 2018년 12월 12일, https://www.mk.co.kr/news/culture/8595360 (2023년 7월 22일 검색).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