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은희, 김은정 (2015a). 우울, 주의집중의 어려움, 인터넷사용빈도 및 교사/친구관계가 청소 년 사이버비행에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2(3), 1-26. |
미소장 |
2 |
고은희, 황성현 (2015b). 청소년의 부정적인 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7(3), 3-26. |
미소장 |
3 |
고혜주 (2017). 사회자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2). 2022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5 |
구주영, 신은혜, 이진향 (2020). 청소년의 지위비행 유형에따른 영향 요인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9-49. |
미소장 |
6 |
기광도 (2011). 청소년비행에 대한 연령효과 분석. 형사정책, 23(1), 127-152. |
미소장 |
7 |
김성훈 (2015). 청소년 최초 비행 요인에 대한 다층생존분석연구. 제5회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338-359. |
미소장 |
8 |
김준호, 노성호 (1993). 학교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미소장 |
9 |
김준호, 정혜원 (2009). 부모애착과 비행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분석. 형사정책연구, 20(2), 125-148. |
미소장 |
10 |
김중곤 (2018). 청소년의 비행 발달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청소년학 연구, 25(11), 259-287. |
미소장 |
11 |
김지연, 이인숙 (2008). 가정폭력 직간접 경험이 청소년의비행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와 농촌의비교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1), 199-228. |
미소장 |
12 |
김희영, 권혜진, 김경희, 김수강, 염순교 (2005). 중학생의 지위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2), 77-99. |
미소장 |
13 |
남부현, 김연이 (2011).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다문화교육, 2(3), 19-58. |
미소장 |
14 |
남재성 (2011).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강원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5(1), 199-226. |
미소장 |
15 |
노성호 (2006). 비행친구와 비행행동의 인과성에 대한 검증. 형사정책연구, 68, 297-332. |
미소장 |
16 |
노언경, 정송, 홍세희 (2014).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5(4), 211-240. |
미소장 |
17 |
노언경, 홍세희 (2010).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변인 검증. 조사연구, 11(3), 81-101. |
미소장 |
18 |
문선영 (2015).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방임과비행 간 관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박선숙 (2022).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가 비행에미치는 영향: 심리적 부적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79, 1-31. |
미소장 |
20 |
박성훈, 전영실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특성에 관한 연구: 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 구성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1(3), 55-76. |
미소장 |
21 |
박영수, 임안나 (2017).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49, 59-85. |
미소장 |
22 |
박용한, 이신동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초⋅중 전환기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발달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5(4), 1-19. |
미소장 |
23 |
박준호, 성용은 (202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변용수준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18(3), 73-95. |
미소장 |
24 |
박진우, 장재홍 (2014).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적 요인. 청소년학연구, 21(4), 133-154. |
미소장 |
25 |
서미정 (2009).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와 비행, 우울/불안 및 학업성취감: 잠재 성장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0(2), 141-167. |
미소장 |
26 |
서봉언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경험 실태 및 비행 참여요인 탐색. 현대사회와 다문화, 9(2), 123-150. |
미소장 |
27 |
송경일, 안재억 (2006). 생존분석. 한나래. |
미소장 |
28 |
송진영, 배미경 (2015). 다문화가정청소년의 비행경험 수준에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교정복지연구, 39, 29-58. |
미소장 |
29 |
여성가족부 (2021). 2021 청소년백서. |
미소장 |
30 |
이경상, 박현수 (2018). 학교부적응이 우울을 매개로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6(2), 79-91. |
미소장 |
31 |
이덕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3), 77-96. |
미소장 |
32 |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2007).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14, 9-42. |
미소장 |
33 |
이상균 (2012). 청소년기 비행행동과 부모양육행동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 157-185. |
미소장 |
34 |
이석형 (2007).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보호요인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이성식, 전신현 (2009). 학업성적과 청소년 비행: 청소년패널자료를 통한 비행이론들의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2), 91-111. |
미소장 |
36 |
이완희, 유완석 (2014).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분석적 연구: 청소년 비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217-239. |
미소장 |
37 |
이원기, 유효은, 이창한 (2019). 다문화청소년의 비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1(1), 65-90. |
미소장 |
38 |
이정우 (201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특성. 시민교육연구, 45(2), 257-291. |
미소장 |
39 |
이종원 (2013).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비행, 비행친구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40 |
전신현 (2019). 학교적응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자아존중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초, 중, 고 세학령별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57, 73-98. |
미소장 |
41 |
전영실, 신동준, 박상희, 김일수 (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
미소장 |
42 |
정상희, 이정윤 (2016). 청소년의 최초 흡연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7(4), 263-284. |
미소장 |
43 |
정익중 (2009). 청소년비행 발달궤적의 다양한 유형. 한국청소년연구, 20(3), 253-280. |
미소장 |
44 |
조영선, 조영일 (2019).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집단에 대한 종단적 변화 유형 및 심리사회적 특성. 인문사회21, 10(5), 325-340. |
미소장 |
45 |
주영선, 정익중 (2020). 지역사회 범죄 수준과 부모 양육태도가 비행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1(2), 179-204. |
미소장 |
46 |
최선화 (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연구: 대전 충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7 |
최선희, 김희수 (2006). 아동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생태체계적 요인들의 다차원 상호 작용. 한국아동복지학, 21, 233-258. |
미소장 |
48 |
최지영, 김재철 (2016). 청소년의 오프라인 비행과 온라인비행의 발달궤적유형 및 영향요인 탐색. 아동교육, 25(1), 49-67. |
미소장 |
49 |
한상철, 이수연 (2006).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들의 집단간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3(1), 1-14. |
미소장 |
50 |
현다경, 김형모 (2018).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 교육환경 및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 에 미치는 영향: 자아인식 및 정서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5(4), 1-26. |
미소장 |
51 |
홍세희, 김지연 (2006). 비연속시간 사건사 분석을 적용한청소년의 최초의 문제행동 발생시점에 대한 부모영향과 성별의 상호작용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37-154. |
미소장 |
52 |
Loeber, R., Atouthamer-Loeber, M., Van Kammen, W., & Farrington, D. P. (1989).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of self-reported antisocial behavior for young children:Prevalence and reliability. In M. Klein (Ed.). Cross-national research in self-reported crime and delinquency (pp. 203-226).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
미소장 |
53 |
Singer, J. D., Willett, J. B., & Willett, J. B.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4 |
Tolan, P. H. (1987). Implications of age of onset for delinquency risk.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 47-65. |
미소장 |
55 |
Tolan, P. H., & Thomas, P. (1995). The implications of age of onset for delinquency risk II: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3(2), 157-181. |
미소장 |
56 |
Vassallo, S., Smart, D., Sanson, A., Dussuyer, I., McKendry, B., Toumbourou, J., ... Oberklaid, F. (2002). Patterns and precursors of adolescent aantisocial behaviour. Melbourne: Crime Prevention Victoria.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