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기술 학습열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desire of learning AI : focusing on the 5,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5, 6학년 중심으로 안화실 p. 1-13
초기성인기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김소현, 이은희 p. 15-26
특수학급에서의 역통합 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reverse inclusion play in special class on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a case study : 사례연구 이성용 p. 27-35
코로나 3년, 일상회복 단계에서 학생의 인식과 교육적 과제 탐색 = Corona 3 years, in the daily recovery stage exploring student perceptions and educational challenges 신경희 p. 37-60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profile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fluence factors 하문선 p. 61-74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인식 유형화와 교육포부, 직업결정수준과의 관계 분석 =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elf-awareness and educational aspiration, job decision level of general high-school students : analysing KCYPS data 변주영, 조은혜 p. 75-91
아동의 사회성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사이버폭력 감수성의 차이 = Differences in cyber violence susceptibility by latent profile of children’s sociability : the effects of father’s neuroticism and emotional dysregulation : 아버지의 신경증과 정서조절곤란의 영향력 검증 성정혜, 허무녕 p. 93-106
중국의 2022 개정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2022 in China 학원상, 김지민 p. 107-121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전문성 지원환경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their play support practices 이자정, 김경숙 p. 123-143
특수 초등 국어과 교과서 삽화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llustrations in special elementary school 이성용 p. 145-160
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성과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establis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school arts instructor support business 유지선, 홍후조 p. 161-184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과 융합학습 방안 연구 = A study of convergence learning method using metaverse : focused on a Jeju folk tale, Cheonjiwangbonpuri : 제주 설화 천지왕본풀이를 중심으로 임은정, 이근영, 강스텔라, 김지연, 박정우 p. 185-199
유아교사를 위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K-MUSPI-S)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music self-perception inventory(K-MUSPI-S) in Kore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김지언, 김성수 p. 201-212
사이버 대학교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mentoring experiences of cyber university 김명화, 송지희, 김윤주 p. 213-235
상담사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방안 제안 = Education plan for the formation of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practical reflection : 실천적 성찰을 중심으로 최서윤 p. 237-253
학습 공간으로서 온라인 독서실의 특징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studying room as a learning space : focusing on second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 중학생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강경리 p. 255-278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 a focus on worker perception : 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조미솔 p. 279-299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Explor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using PDCA in university education 이민효, 남창우 p. 301-317
대학 진로교육⋅서비스 경험 유형 분석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탐색 = Latent classes of career education/service experience in universities and their effect on career indecision : focusing on latent class analysis : 잠재계층분석(LCA)을 중심으로 이솔비, 신안나, 양현경 p. 319-335
증강현실(AR) 음악활동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 Children's experiences in augmented reality (AR) music activities 안지령, 김근혜 p. 337-349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perceived achievement in non face to face and face to face classes :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 학습만족도의 매개효과 김지연, 김기홍 p. 351-362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flipped learning-based design thinking : focusing on horticultural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성인 발달장애인의 원예교육을 중심으로 국윤정, 장은정 p. 363-384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ropout intentio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신애리, 하명옥, 심형순 p. 385-396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Aesop's Fables in moral education : focusing on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곽영근 p. 397-415
유아교사의 놀이학습공동체 참여가 놀이지원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lay learning community on play support practice competency 김수진, 김보현, 이수진 p. 417-429
능력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interest, and mathematical attitudes based on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by ability 안종수 p. 431-450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한국어 발음 연구 동향 분석 = Trend analysis of Korean pronunciation research based on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조남현, 장경완 p. 451-468
아동⋅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and play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신지환, 이상희 p. 469-482
훈련된 동료 평가자를 활용한 과학 구술평가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 The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assessment of science oral presentations by trained peer evaluators 전원미, 노아름, 최혁준 p. 483-495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로봇에 대한 태도, 행동특성, 로봇 외양에 대한 인식의 차이 =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between mothers and fathers with young children on attitud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of robot 곽경화 p. 497-510
미용과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출제경향 및 문항분석 = Question trends and item analysis of the secondary school beauty teacher recruitment test : focusing on beauty pedagogy part in 2014-2023 : 2014-2023학년도 교과교육학 중심으로 이상원, 이종숙 p. 511-522
내용기준과 수행기준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nt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standards 한혜정 p. 523-536
성 지향성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sexual orientation beliefs scale : 20대 이상 성인 대상으로 신미경, 김희수 p. 537-551
유아의 신체활동태도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young children’s attitude toward physical activity on their leadership : mediated by playfulness :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진, 김경숙 p. 553-564
수학 교사의 경제 수학 교수 실행 의도와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inten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mathematics teachers' implementation of economic mathematics teaching :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박민영 p. 565-584
청소년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Factors influencing obesity in adolescents : analysis of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data 2018-2021 : 2018~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하여 박희선, 지은선 p. 585-595
COVID-19 상황에서 Z세대 대학생들의 변화된 생활양상과 의미 = Changes and meaning of generation Z college students' lifestyle in the COVID-19 박선미, 윤창국 p. 597-615
다문화청소년의 최초 비행요인에 대한 비연속시간 생존분석 =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onse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tatus delinquency 윤홍주 p. 617-627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주도적 성격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initi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in China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왕분, 김주경 p. 629-642
팬데믹 상황에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업 지원 실태 = Class support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eaf and hard-of-hearing in a pandemic situation 김은하 p. 643-655
개념 학습 개선을 위한 게이미피케이션 교수학습모형 설계와 수업 적용에 따른 학생 만족도 평가 = Design of gamifi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concept learning and evaluation of student satisfaction in this class 이성하 p. 657-667
초등학생을 위한 LightFM 기반의 개인별 맞춤 도서 추천 엔진 개발 및 성능평가 =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personalized book recommendation engine based on LightF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덕기 p. 669-679
'과학을 통한 교육'을 기반으로 하는 탐구 모형 개발 = Developing an inquiry model for ‘education through science’ 안태수, 황휘, 이주연, 정인선, 허현, 홍훈기 p. 681-699
공부하는 엄마 대학원생의 다중역할 수행경험 = Studying mother graduate student’s multiple role performance experience : a cas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doctor course graduate students : 체육계열 박사과정 사례 연구 김수연, 박휴경, 원영신 p. 701-717

감사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감사성향, 회복탄력성, 학교 및 사회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atitude program on the grateful disposition, resilience, school and social adaptability of children utilizing community child centers 조영아, 한건수 p. 719-735
유아의 성취동기, 인지능력, 갈등해결능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cognitive ability,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empathy ability 정진화, 민가혜 p. 737-749
Exploring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roughout the pandemic = 팬데믹 상황에서 국제 대학원생의 온라인 학습 경험에 대한 탐색 Xu, Wei, Lee, Jiyon p. 751-768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in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gender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은주, 정효빈, 김보배 p. 769-782
지역 대학 혁신에 있어 학습자 ‘지역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learner ‘local experience’ in local university innovation 오현규, 서경화, 박은진 p. 783-803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행에 필요한 역량에 대한 대학생의 교육요구도 탐색 = Explor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project based learning 윤회정, 방담이 p. 805-819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ye movement modeling example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 of shadow formation 양일호, 최하나 p. 821-831
(A) study on the music major stu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in China under the COVID-19 situation = COVID-19 상황에서 중국 음악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Wang Xia, Lee, Jiyon p. 833-853
정보활용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이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온라인 학습효과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online learning effectiveness perceived by adult learners 백아롱, 김혜빈, 조일현 p. 855-868

한 상담자의 자기수용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a counselor's experience of self-acceptance 김채원, 김명찬 p. 869-888
초등교사의 학교폭력사안처리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of handling school violence cases : focusing on the school principal's self-solving system : 학교장자체해결제를 중심으로 권정현 p. 889-912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 Exploring daycare teachers' experiences of supporting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김서현, 주현정, 김방울 p. 913-934
중학교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process-oriented assessment : focusing on the best pract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 서울시교육청 우수사례를 중심으로 조용, 김소영, 박상현 p. 935-955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은희, 김은정 (2015a). 우울, 주의집중의 어려움, 인터넷사용빈도 및 교사/친구관계가 청소 년 사이버비행에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2(3), 1-26. 미소장
2 고은희, 황성현 (2015b). 청소년의 부정적인 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7(3), 3-26. 미소장
3 고혜주 (2017). 사회자본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2). 2022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5 구주영, 신은혜, 이진향 (2020). 청소년의 지위비행 유형에따른 영향 요인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29-49. 미소장
6 기광도 (2011). 청소년비행에 대한 연령효과 분석. 형사정책, 23(1), 127-152. 미소장
7 김성훈 (2015). 청소년 최초 비행 요인에 대한 다층생존분석연구. 제5회 한국 아동청소년패널 학술대회 자료집, 338-359. 미소장
8 김준호, 노성호 (1993). 학교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미소장
9 김준호, 정혜원 (2009). 부모애착과 비행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검증: 성별간 다집단분석. 형사정책연구, 20(2), 125-148. 미소장
10 김중곤 (2018). 청소년의 비행 발달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대한 종단분석. 청소년학 연구, 25(11), 259-287. 미소장
11 김지연, 이인숙 (2008). 가정폭력 직간접 경험이 청소년의비행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와 농촌의비교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1), 199-228. 미소장
12 김희영, 권혜진, 김경희, 김수강, 염순교 (2005). 중학생의 지위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2(2), 77-99. 미소장
13 남부현, 김연이 (2011).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다문화교육, 2(3), 19-58. 미소장
14 남재성 (2011).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 -강원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5(1), 199-226. 미소장
15 노성호 (2006). 비행친구와 비행행동의 인과성에 대한 검증. 형사정책연구, 68, 297-332. 미소장
16 노언경, 정송, 홍세희 (2014).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5(4), 211-240. 미소장
17 노언경, 홍세희 (2010).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청소년의 최초 폭력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변인 검증. 조사연구, 11(3), 81-101. 미소장
18 문선영 (2015).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방임과비행 간 관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박선숙 (2022).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가 비행에미치는 영향: 심리적 부적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79, 1-31. 미소장
20 박성훈, 전영실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특성에 관한 연구: 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 구성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1(3), 55-76. 미소장
21 박영수, 임안나 (2017).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49, 59-85. 미소장
22 박용한, 이신동 (201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초⋅중 전환기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발달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5(4), 1-19. 미소장
23 박준호, 성용은 (202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변용수준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치안행정논집, 18(3), 73-95. 미소장
24 박진우, 장재홍 (2014).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에영향을 미치는 환경⋅심리적 요인. 청소년학연구, 21(4), 133-154. 미소장
25 서미정 (2009).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와 비행, 우울/불안 및 학업성취감: 잠재 성장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0(2), 141-167. 미소장
26 서봉언 (2019). 다문화 청소년의 비행경험 실태 및 비행 참여요인 탐색. 현대사회와 다문화, 9(2), 123-150. 미소장
27 송경일, 안재억 (2006). 생존분석. 한나래. 미소장
28 송진영, 배미경 (2015). 다문화가정청소년의 비행경험 수준에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교정복지연구, 39, 29-58. 미소장
29 여성가족부 (2021). 2021 청소년백서. 미소장
30 이경상, 박현수 (2018). 학교부적응이 우울을 매개로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봉사활동시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6(2), 79-91. 미소장
31 이덕희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3), 77-96. 미소장
32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2007).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14, 9-42. 미소장
33 이상균 (2012). 청소년기 비행행동과 부모양육행동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6, 157-185. 미소장
34 이석형 (2007). 청소년비행 예방을 위한 보호요인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이성식, 전신현 (2009). 학업성적과 청소년 비행: 청소년패널자료를 통한 비행이론들의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2), 91-111. 미소장
36 이완희, 유완석 (2014).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분석적 연구: 청소년 비행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217-239. 미소장
37 이원기, 유효은, 이창한 (2019). 다문화청소년의 비행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1(1), 65-90. 미소장
38 이정우 (201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특성. 시민교육연구, 45(2), 257-291. 미소장
39 이종원 (2013). 청소년의 학업성적과 비행, 비행친구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40 전신현 (2019). 학교적응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자아존중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초, 중, 고 세학령별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57, 73-98. 미소장
41 전영실, 신동준, 박상희, 김일수 (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미소장
42 정상희, 이정윤 (2016). 청소년의 최초 흡연 발생시점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7(4), 263-284. 미소장
43 정익중 (2009). 청소년비행 발달궤적의 다양한 유형. 한국청소년연구, 20(3), 253-280. 미소장
44 조영선, 조영일 (2019). 다문화청소년의 비행집단에 대한 종단적 변화 유형 및 심리사회적 특성. 인문사회21, 10(5), 325-340. 미소장
45 주영선, 정익중 (2020). 지역사회 범죄 수준과 부모 양육태도가 비행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1(2), 179-204. 미소장
46 최선화 (2009). 다문화가정 아동의 내재화 문제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연구: 대전 충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7 최선희, 김희수 (2006). 아동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생태체계적 요인들의 다차원 상호 작용. 한국아동복지학, 21, 233-258. 미소장
48 최지영, 김재철 (2016). 청소년의 오프라인 비행과 온라인비행의 발달궤적유형 및 영향요인 탐색. 아동교육, 25(1), 49-67. 미소장
49 한상철, 이수연 (2006).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들의 집단간 비교. 미래청소년학회지, 3(1), 1-14. 미소장
50 현다경, 김형모 (2018). 청소년의 가정환경, 친구관계, 교육환경 및 지역사회환경이 비행행동 에 미치는 영향: 자아인식 및 정서문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5(4), 1-26. 미소장
51 홍세희, 김지연 (2006). 비연속시간 사건사 분석을 적용한청소년의 최초의 문제행동 발생시점에 대한 부모영향과 성별의 상호작용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37-154. 미소장
52 Loeber, R., Atouthamer-Loeber, M., Van Kammen, W., & Farrington, D. P. (1989).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of self-reported antisocial behavior for young children:Prevalence and reliability. In M. Klein (Ed.). Cross-national research in self-reported crime and delinquency (pp. 203-226).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미소장
53 Singer, J. D., Willett, J. B., & Willett, J. B.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4 Tolan, P. H. (1987). Implications of age of onset for delinquency risk.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5, 47-65. 미소장
55 Tolan, P. H., & Thomas, P. (1995). The implications of age of onset for delinquency risk II: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3(2), 157-181. 미소장
56 Vassallo, S., Smart, D., Sanson, A., Dussuyer, I., McKendry, B., Toumbourou, J., ... Oberklaid, F. (2002). Patterns and precursors of adolescent aantisocial behaviour. Melbourne: Crime Prevention Victoria.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