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선형 (2015). 성인의 자아존중감, 외모관리행동 및 신체이미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미선 (2018).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불확실성, 자기개념명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통찰력 간의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0(1), 151-177. |
미소장 |
3 |
김경남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영향요인. 대한스트레스학회지, 22(2), 55-65. |
미소장 |
4 |
김미영, 변은경 (2019).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동기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 376-383. https://doi.org/10.5762/KAIS.2019.20.1.376 |
미소장 |
5 |
김순혜, 김정원 (2004). 대학생의 심리적 분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2), 83-97. |
미소장 |
6 |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
미소장 |
7 |
김애실, 배한주, 김연하 (2022).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임상추론역량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 149-157. https://doi.org/10.5762/KAIS.2022.23.1.149 |
미소장 |
8 |
김종임 (2020). 간호대학생의 정서인식명확성, 공감능력이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286-295. https://doi.org/10.5762/KAIS.2020.21.6.286 |
미소장 |
9 |
김현주, 김지현 (2021). 간호대학생의 그릿, 긍정심리자본, 임상실습 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2), 152-162. https://doi.org/10.5762/KAIS.2021.22.12.152 |
미소장 |
10 |
도복늠 (2016).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5판, pp. 1-405). 정담미디어. |
미소장 |
11 |
문선모 (1980).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연구. 경상대학교 논문집, 19, 195-204. |
미소장 |
12 |
박현주, 장인순 (2010).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14-23. |
미소장 |
13 |
박효선, 이경미, 신나연 (2020). 임상간호사의 그릿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정. 간호행정학회지, 26(1), 55-64.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1.55 |
미소장 |
14 |
선순자 (2021).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그릿,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심선숙, 방미란 (2016). 간호대학생의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2), 634-642. http://doi.org/10.5762/KAIS.2016.17.12.634 |
미소장 |
16 |
심희숙, 안성윤 (2015). 간호대학생의 자아상태가 대인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복합연구, 13(12), 269-275. https://doi.org/10.14400/JDC.2015.13.12.269 |
미소장 |
17 |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
미소장 |
18 |
윤순영, 민신홍 (2014).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398-403. http://doi.org/10.14400/JDC.2014. 12.12.395 |
미소장 |
19 |
이경순, 이미경, 김경희 (2012).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pp. 103-129). 현문사. |
미소장 |
20 |
이경주, 김나은, 곽소영 (202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유능성이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2), 218-227. https://doi.org/10.5762/KAIS.2021.22.12.218 |
미소장 |
21 |
이미라, 전현숙 (2015).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성격유형, 자아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 8861-8869. http://doi.org/10.5762/KAIS.2015.16.12.8861 |
미소장 |
22 |
이선영, 이정숙, 김윤영 (2017).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401-409. |
미소장 |
23 |
이수란 (2014).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이승철 (2019).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 성장마인드셋, 정서지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간의 구조적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영옥, 전윤화, 김미선 (2018).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자아탄력성, 셀프리서십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5(3), 336-345. http://doi.org/10.21086/ksles.2018.06.25.3.336 |
미소장 |
26 |
이인숙, 전민경, 이미영 (2020).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그릿, 간호전문직관에 관한 연구. 근관절건강학회지, 27(3), 298-306. https://doi.org/10.5953/JMJH.2020.27. 3.298 |
미소장 |
27 |
임승주, 박은영 (2013). 사티어 의사소통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2), 151-162.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51 |
미소장 |
28 |
정미라, 정은 (2018).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6), 414-423.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414 |
미소장 |
29 |
조은희, 김현숙, 황순정 (2020).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3), 290-298. http://doi.org/10.5977/jkasne.2020.26.3.290 |
미소장 |
30 |
채명옥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5), 95-103. http://doi.org/10.5762/KAIS.2016.17.5.95 |
미소장 |
31 |
최숙희 (2018).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능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1), 148-156.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148 |
미소장 |
32 |
한수정 (2013).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5(5), 559-566. https://doi.org/10.7475/kjan.2013.25.5. 559 |
미소장 |
33 |
Block, J., & Block, J. H.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p-resilience in the organization of behavoir.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
미소장 |
34 |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
미소장 |
35 |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
미소장 |
36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
미소장 |
37 |
Schlein, A., & Guerney, B. G.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 (pp. 349-354). San Francisco, CA: Josey-Bass. |
미소장 |
38 |
Tusaie, K., & Dyer, J. (2004).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18(1), 3-8. https://doi.org/10.1097/00004650-200401000-00002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