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민균 (2021).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의 팀기반 학습의 의미.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7(1), 29-45. |
미소장 |
2 |
김경철, 김안나 (2010). 예비 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한수업분석의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4(1), 399-424. |
미소장 |
3 |
김경철, 박혜정 (2014).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에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어려움. 유아교육학논집, 18(3), 309-334. |
미소장 |
4 |
김고은 (2020).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협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5(2), 105-131. |
미소장 |
5 |
김은심 (2021).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4판). 서울:창지사. |
미소장 |
6 |
김은아, 고경미, 이선경 (2015).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 경험_유아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3), 245-269. |
미소장 |
7 |
김은정 (2016).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은정, 김경철 (2017). 반성적 모의수업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능력에 주는 의미. 유아교육연구, 37(1), 257-285. |
미소장 |
9 |
노승희 (2021). 예비유아교사 관련 유아음악교육 연구동향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3(3), 142-463. |
미소장 |
10 |
박성혜 (2020).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유아 신체활동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401-416. |
미소장 |
11 |
박수정 (2014).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강의의 설계⋅운영과정 및평가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2(4), 51-78. |
미소장 |
12 |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미소장 |
13 |
서윤희 (2015).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0(3), 19-47. |
미소장 |
14 |
신유정, 임선아 (2021).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좋은 유아교사’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8(3), 149-169. |
미소장 |
15 |
안은솔, 정이수, 백승우, 윤재석 (2021). IoT 웨어러블 손목밴드와 피드백 장치를 활용한 유아용 바른 생활 습관형성을 위한 시스템.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27(11), 531-542. |
미소장 |
16 |
오선아 (2023). 수업컨설팅 질적자료의 의미연결망분석을통해서 본 원격수업 설계 및 운영. 대학 교수-학습 연구, 16(1), 1-24. |
미소장 |
17 |
오지은, 채진영 (2022).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신체활동 관련 국내 연구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4), 709-723. |
미소장 |
18 |
이경선 (2021). 코로나 19 시대 빅데이터에 나타난 유아안전의미연결망 분석. 아동교육, 30(4), 197-213. |
미소장 |
19 |
이은희 (2016). 유아동작교육수업의 팀기반학습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843-860. |
미소장 |
20 |
이은희 (2017). 유아동작교육의 팀기반학습 수업단계 사례 및적용의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651-673. |
미소장 |
21 |
이정애 (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동작교육관련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42(3), 85-106. |
미소장 |
22 |
임재걸, 이강재, 김행선 (2013). 키넥트를 이용한 VOD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375-378. |
미소장 |
23 |
정혜승, 김경철 (2018). 예비유아교사의 팀 기반 수업활동을지도한 교수자의 경험 이야기. 유아교육연구, 38(4), 289-321. |
미소장 |
24 |
조혜영 (2023). TBL 현장중심 유아동작 교과의 효과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5), 307-321. |
미소장 |
25 |
최동연, 김민정 (2019). 의미연결망분석을 통한 가상 환경기반 대화 시뮬레이션에서의 학습경험 탐색. 교육공학연구, 35(2), 107-137. |
미소장 |
26 |
최승연, 성은영 (2018). 예비유아교사 대상 아동수학교육 교과목의 팀 기반 학습(team-based learning) 적용에서 나타나는 영향 및 의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3(1), 281-303. |
미소장 |
27 |
최윤지, 신은정, 유연옥 (2020). 지속가능한 유아 환경교육에서 교사 발화의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사회과학연구, 39(3), 39-61. |
미소장 |
28 |
한종화 (2020). 수학교사교육 강좌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경험: 모의수업과 유아 대상 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4(5), 51-76. |
미소장 |
29 |
Abril, C. R. (2011). Music, movement, and learning. In R. Colwell, & P. R. Webster (Eds.). The MENC handbook of research in music learning (Vol. 2, pp. 92-129).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0 |
Andersen, E., Strumpel, C., Fensom, I., & Andrews, W. (2011). Implementing team based learning in large classes: nurse educators'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8(1), Article 28. https://doi.org/10.2202/1548-923X.2197 |
미소장 |
31 |
Brannan, L. R. (2022).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nse of efficacy for literacy instruction. The Reading Professor, 45(1), Article 7. https://scholar.stjohns.edu/thereadingprofessor/vol45/iss1/7 |
미소장 |
32 |
Daniels, K. (2021). Movement, meaning and affect and young children’s early literacy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9(1), 41-55. |
미소장 |
33 |
Freeman, L. C. (1977). A set of measures of centrality based on betweenness. Sociometry, 40(1), 35-41. |
미소장 |
34 |
Olsson, L. M. (2009). Movement and experimentation in young children's learning: Deleuze and Guattari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London: Routledge. |
미소장 |
35 |
Papazachariou-Christoforou, M. (2022). Movement experiences in preschool music classes. Journal of General Music Education, 36(1), 13-20. |
미소장 |
36 |
Pica, R. (2010). Linking literacy and movement. Young Children, 65(6), 72-73. |
미소장 |
37 |
Pica, R. (2012). Experiences in movement and music: Birth to age 8. Belmont, CA: Wadsworth Cengage Learning. |
미소장 |
38 |
Werner, P. H., & Burton, E. C. (1979). Learning through movement: Teaching cognitive content through physical activities. St. Louis, MO: The C. V. Mosby Company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