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간호대학생의 그릿, 자아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rit,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nursing students 김경남 p. 1-11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향상을 위한 학습조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Improving online-ba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e science teachers through the learning assistant program 이지원, 문수진, 김중복 p. 13-27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 군집유형에 따른 코칭역량 차이 분석 = Differences of co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clusters of mothers’ media literacy 최은혜, 황혜정 p. 29-47
Math story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lasses using the math story program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interest 안종수 p. 49-70
창업역량이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apability on entrepreneurial behavior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xperience⋅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 창업교육과 창업⋅창업활동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p. 71-80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개발 = Desig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unit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 focusing on ‘discussing’ : ‘토의하기’를 중심으로 유정오 p. 81-100
팀기반학습으로 운영된 유아동작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Analyzing the semantic network of simulated teaching demonstrations in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through team-based learning 윤현숙 p. 101-115
간호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전공만족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alling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진로결정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연이 p. 117-127
의과대학 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지연 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of medical school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approval motivation : 인정욕구의 매개효과 조민아 p. 129-138
자기이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elf-understand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children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박완성, 박득남 p. 139-152
네트워크텍스트분석을 통한 숲 체험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forest experiences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영환, 이채영 p. 153-173
대학생의 자기이해도 집단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lf-understanding group type of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BL classes : PBL 수업 참여 학생을 중심으로 신주랑, 윤가영 p. 175-189
IB MYP 학교 교육적 실행 양상과 과제 = IB MYP school educational implementation aspects and challenges : focusing on teachers IB program application experience : IB 프로그램 적용 후,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신경희 p. 191-213
간호대학생의 그릿,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it,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al valu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양승경, 양유정, 구어진 p. 215-224
생태공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감 관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cological empathy program on ecological perspec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희석, 백성혜 p. 225-239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집단상담과 대면 집단상담이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and face-to-face group counseling on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심규성 p. 241-252
대학생이 인식한 메타인지 전략과 그릿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eta cognitive strategies and gri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college life adjustment 김수진 p. 253-26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mother’s play belief on the children’s playfulness 전효진, 문혁준 p. 263-276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 temperament and character,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on problem behaviors in preschoolers 배문경, 이수진 p. 277-295
초심상담자 수퍼비전 모델 개발 = Supervision model development of beginner counselors : application of development theory and backward design theory : 발달이론과 백워드 설계 이론의 적용 장재희 p. 297-324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들의 실내 놀이 공간 활용 탐색 = Exploring the use of indoor play space bt infants based o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박서연, 이숙희, 권미량 p. 325-345
애니메이션 영상매체를 활용한 여성건강간호 사례기반학습의 효과 =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using animation media in women’s health nursing 안나원 p. 347-361
선메디 VR자연명상 프로그램이 팬데믹으로 등교중지를 경험한 대학생의 심박변이도, 지각된 스트레스,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 SEONMEDI VR natural medit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ring the pandemic : effects on heart rate variability, perceived stress, and self-compassion 한해영, 조한익 p. 363-381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Finland 이진경 p. 383-400
일반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이 정신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n psychiatric nursing competency among general ward nurses 이혜수, 전원희 p. 401-414
파이썬을 적용한 <인공지능 수학>의 군집분류 교수⋅학습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he clustering in <Mathema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pplying Python 박지영, 윤종국 p. 415-432
목표로서의 수학사를 위한 이차곡선의 교수⋅학습 자료개발 = A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history of mathematics as a goal focusing on quadratic curve 김재현, 윤종국 p. 433-448
명사의 특질역할 관점으로 본 한⋅중 한자어 형태소 차이의 특징 = A study on features of morphemes’ differences between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words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a roles : focused on ‘two-syllable partial heteromorphic and synonymic nouns’ : ‘2음절 명사 부분이형동의어’를 중심으로 정호 p. 449-462
대학생의 개별성-관계성의 하위집단에 따른 갈등해결전략이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on college students'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sub-groups by individuality and relatedness 류정화, 정남운 p. 463-483
대학 무용 관련 강좌 수강 대학생들의 심리적 유연성, 진로통제소재 및 레질리언스의 관계 = The 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flexibility, the career locus of control, and the resili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aking on the university dance-related curriculum 김지나, 원혜인, 김수연 p. 485-498
국내 간호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in mentoring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in Korea 박초롱 p. 499-508
융복합 교양교과목 시행과 학습자의 견해 분석 = A study on the convergent liberal arts and lerners’ opinions 허선영 p. 509-520
대학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capabil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structo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experiences : 교⋅강사 만족도와 창업교육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p. 521-530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자기효능감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multicultural self-efficacy on cultural competency of health care college students 전인희 p. 531-543
하이브리드 러닝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hybri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utilizing ChatGPT and case-based learning : 챗GPT 활용 학습과 사례기반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지은 p. 545-555
임상간호사의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 윤리풍토,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thical leadership, ethical sensitivity, ethical climate, and nursing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황경미, 정민영 p. 557-573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인증 체계 재정립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reestablishment of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ccreditation system : the case of H university : H대학의 사례 차정민 p. 575-603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선택속성이 공동체의식과 사회적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choice characteristics of sport center users on community spirit and social interactions 임승현, 남경완 p. 605-620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of bullying on life satisfaction : the parallel dual mediation effects of parent support and friend support : 부모지지와 친구지지의 병렬 이중매개효과 이유리, 김춘경 p. 621-631
소방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격려로 조절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anxiety regulated by self-encouragement in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resilience of firefighters 송윤조, 최기현, 하정희 p. 633-650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 mediating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 job crafting : 유아교사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김유미, 부성숙 p. 651-666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보건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prospecti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practicum 윤석주 p. 667-680
Lasso 회귀모형과 랜덤 포레스트 분석 기법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학업 부진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lump in college freshmen using Lasso regression model and random forest analysis technique 이승형, 백은주 p. 681-694
학생성공 교육혁신 단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방안 = A plan to build a customized support system of education innovation level for student success : focusing on non-subject education support at C university : C대학 비교과 교육지원을 중심으로 이남희, 임진혁 p. 695-712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과 진로 선택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out-of-school youth withdrawal and career choice 홍승기, 김창현 p. 713-726
의과대학 역량중심교육과정 평가준거 구안 =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for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n medical schools 이소영, 이승희, 신좌섭 p. 727-755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아동의 미디어 활용 유형 전이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 The analysis of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tial factors of children's media usage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신안나, 이솔비 p. 757-772
화상상담 내담자의 상담 성과 탐색을 위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to explore counseling outcomes of video counseling clients : focusing on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 대학상담센터를 중심으로 이성원, 정은선, 하정희, 조인경 p. 773-79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f the infant and young child observatio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한유진, 우수경 p. 793-813
국내 노인상담 연구 동향 = Research trends on older adult counseling : focusing on journal papers(2000-October 2022) : 2000-2022년 10월까지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박명주, 박은경 p. 815-831
대학생들의 진로탐색 활동을 통한 관점과 인식의 변화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anging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through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신민주 p. 833-851
다문화아동의 언어능력증진을 위한 음률활동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music and movement activities for enhancing language abilities of multicultural children 송정미, 문혁준 p. 853-867
대학의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imulation practical education on new nurses' clinical competence 전선미, 김민영 p. 869-879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 The needs analysis for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이연옥, 최보영 p. 881-896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제시 = Analysis on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textbook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5th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5~6학년을 중심으로 고아라, 남영숙 p. 897-9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performance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자본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Zheng, Xin, Xu, Qi, Kou, Heung p. 913-929
대학생의 성인애착, 거부민감성, 정서표현 양가성, 사회불안 간의 구조관계분석 =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rejection sensitivit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이유정 p. 931-947
노인 당뇨병 환자들의 신체활동이 우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Analyzing the impact of psychological activity on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and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diabetics patients group 김옥진, 박지연, 최보영 p. 949-960
한국판 비합리적 수행신념 척도(iPBIK)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rrational Performance Beliefs Inventory (iPBIK) 조화준, 박경애 p. 961-978
(A) study on the potential of UGC new media platforms for art education = UGC 뉴미디어 플랫폼 예술교육 잠재력에 관한 연구 : 위키백과와 삐리삐리의 사례 비교 : a case comparison based on Wikipedia and Bilibili Zhang, Yunhe p. 979-990

참고문헌 (7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노의, 임은정 (2013).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척도 개발 및 분석. 한국초등교육, 24(4), 183-201. 미소장
2 곽민옥, 이경님 (2017). 만 2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정서표현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171-190. 미소장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미소장
4 권대희 (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4. 미소장
6 김미숙 (2001). 교사가 지각한 5세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김미연 (2012). 아버지의 유아놀이신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여름 (2014). 부모의 성격특성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영희 (1995).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미소장
11 김영희 (2013). 유아 및 어머니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4(3), 17-240. 미소장
12 김우석 (2004). 정서표현성, 자기방어기제 및 대처방식간의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김윤숙 (1991). 어머니의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와놀이 활동성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은주 (2009). 유아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참여수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정선 (2000). 유아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김진영 (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및 리더십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김현지, 전경아 (2011). 어머니의 정서표현력, 양육효능감,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73-299. 미소장
18 나은영 (2016).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정서표현 양가성, 유아의 정서조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문성영, 심성경 (2020).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63-190. 미소장
20 박상미 (2013). 어머니 양육행동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미소장
22 보건복지부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742018_A073&conn_path=I2에서 2021년 4월 20일 인출. 미소장
23 신말예 (1994). 유아기 부모의 놀이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신선희, 우수경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정저능력 및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12(11), 244-245. 미소장
25 신혜경 (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심미영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심윤희 (2011).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여은진 (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사사회화행동 및 유아 정서 조절간의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오정미 (2014).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정서지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우남희, 김유미, 신은수 (2009). 조기교육/사교육. 한국아동학회지, 30(6), 249–265. 미소장
31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유애열 (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윤연정, 이미숙 (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미소장
34 이경님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질 및 자아존중감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6), 1209-1219. 미소장
35 이미선 (2011).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이숙재 (2005).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미소장
37 이영환, 임영옥, 오가영 (2006).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9(1), 15-24. 미소장
38 이한별 (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이현주 (2019).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0 이현지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1 임혜진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의또래유능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2 장미령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3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4 장정윤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전유진 (2019). 유아 기징, 모 애착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정경자 (2018). 부모의 놀이 신념, 사교육의 실시 현황 및유아의 불만족도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7 정은주 (2007).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8 조송림, 문혁준 (2013).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6), 125-138. 미소장
49 천지혜 (2012). 어머니의 유아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0 최혜정 (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1 통계청 (2020). 생활시간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019_121_1TM4021X&conn_path=I2에서 2021년 4월 25일 인출. 미소장
52 허자연 (2017).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3 허혜경 (2013).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83-102. 미소장
54 홍정유 (2007).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5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ing,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4), 319-336. 미소장
56 Damast, A. M.,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6). Mother-child play: Sequential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4), 1752-1766. 미소장
57 Denha, S. A., & Burton, R. (1996). A social-emotional intervention for at-risk four-year old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3), 225-245. 미소장
58 Dunsmore, J. C., & Halberstadt, A. G. (1997). How does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schema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77, 45-68. 미소장
59 Dunsmore, J. C., & Karn, M. A. (2004).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and maternal socialization on kindergartners'developing emotion knowledg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5(1), 39-56. 미소장
60 Eisenberg, N., Valiente, C., Morris, A. S., Fabes, R. A., Cumberland, M. R., Reiser, M., ... Losoya, S. (2003).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children's regulation and quality of socioemotion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9(1), 3-19. 미소장
61 Farver, J. M., & Howes, C. (1993). Cultural differences in American and Mexican mother-child pretend play. Merrill-Palmer Quarterly, 39(3), 344-358. 미소장
62 Fiese, B. (1990). Playful relation ship: A contextual analysis of mother-toddler inter action and symbolic play. Child Development, 61(5), 1648-1656. 미소장
63 Fogle,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s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le Hill, USA. 미소장
64 Fogle, L., & Mendez, J.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미소장
65 Fröbel, F. (1887). The education of man. New York: Appleton. 미소장
66 Ginsburg, K.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es, 119(1), 182-191. 미소장
67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r,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ment, 7(1), 93-103. 미소장
68 Lewis, J. (1979). The relation of individual temperament to intial social behavior. In R. C. Smart, & M. S. Smart (Eds.). Reading in child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pp. 45-77).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69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An investiga 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9-224. 미소장
70 Manosevitz, M., Prentice, N. M., & Wilson, F. (1973). Individual and family correlates of imaginary companions in presc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8(1), 72-79. 미소장
71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ren. New York: Norton. 미소장
72 Saarni, C. (1989).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PACES). Unpublished Manu script, Sonoma States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73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