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실 공간으로서의 벽면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참여적 전시의 의미 =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participatory displays on the wall as a classroom space : making displays of the rainbow tree on the wall together : 함께 만드는 무지개나무 벽면 전시 강진주 p. 677-702

연결된 시대의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서 커넥티드 러닝(Connected Learning)방법론에 대한 탐색 = The exploration research o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nnected learning methodology in the connected age 정다애 p. 1-14
실천적 지혜에 기반한 대학 PBL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 = The role of the professor in a university problem-based-learning class based on the phronesis 김지수, 유영만 p. 15-28
청소년의 시민의식 개인별 변화궤적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and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the trajectory of individual changes in civic consciousness in adolescence 이남수 p. 29-43
IB MYP 월드스쿨 교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teacher experience at the IB MYP World School 신경희 p. 45-68
학령인구 감소 연구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national research trends on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 2000년~2022년 8월 국내 학술논문 대상으로 이보람 p. 69-82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우울이 대인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김신향, 임종미 p. 83-91
202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 A fact-finding survey on freshman of 2022 : focusing on K university : K대학을 중심으로 조보람 p. 93-110
심미적 체험 기반의 과학관 전시기획 프로세서 제안 = Suggestion for exhibition planning processor of science museum based on aesthetic experience 이남주, 백성혜 p. 111-123
대학생의 우울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현혜순, 김윤영 p. 125-135
유아기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어려움과 바람 = Mothers’ difficulties and hopes for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최춘영 p. 137-150
장애인을 그린 우수 그림책 특성 검토 =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outstanding picture book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I talk like a river : 《나는 강물처럼 말해요》를 중심으로 위종선, 강현영 p. 151-163
예비사회복지사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f preliminary social workers as mature-are students on participation continuance intention : focusing on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사회복지전공 재학생을 중심으로 서보준 p. 165-176
영유아교사의 성격 6요인(HEXACO)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x personality factors(HEXACO) and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손연주, 채진영 p. 177-191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SW⋅AI교육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SW and AI education research trends for digital talent development : using the subject scope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심태은, 예철해 p. 193-209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코로나 19 이후 경호 관련 학과의 사회적 인식 분석 =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f security-related departments after COVID-19 using big data analysis 김건희, 황성용 p. 211-223
초등학생의 집행기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희진 p. 225-238
건강 문해력이 낮은 노인을 위한 약물 교육이 약물 지식 및 약물 오⋅남용 행위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medication education for elderly with low health literacy on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 abuse behavior 한정화 p. 239-248
과정적 실재로서의 R&D기획 전문성 육성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D planning expertise as processing reality 류재훈, 유영만 p. 249-266
어머니의 놀이신념 군집에 따른 어머니-유아 어휘 상호작용과 창의적 가정환경 차이 분석 = Differences in mother-child lexical interaction and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clusters of mothers' beliefs in play 최은혜, 황혜정 p. 267-283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strength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박정연, 이정희 p. 285-298
중등 양자물리학 교육 동향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secondary quantum physics education 이태경, 윤현주 p. 299-314
그들은 왜 교차지원을 했는가? = Why did they cross-apply?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erience of cross-applican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국내 고등학생 교차지원자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황효정, 신세인, 이준기 p. 315-327
실생활 활동지를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수학적 창의성과 성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learning to create problems using real-life learning materials 안종수 p. 329-350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유형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 Class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ypes and ver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서요한, 문한나, 정미현 p. 351-364
고등학생 대상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alisys of domestic reasearch trends on multicutural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배선희, 손은령 p. 365-383
웹 기반 쓰기 평가 기준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b-based writing rating criteria 백유진 p. 385-398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내용 및 교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최혜윤, 권윤지 p. 399-422
코로나19 시대에 원격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사회지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social intellig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distance learning in COVID-19 강석정 p. 423-431
부부관계 유대감과 유아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 mediation effect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 부모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선형, 남은영 p. 433-448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자해’관련 유튜브 댓글의 내용분석 = Analysis of YouTube comments related to ‘self-harm’ using topic modeling 권경인, 신성미 p. 449-466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반 노인난청의 청능훈련프로그램 사례연구 = Case study of auditory training program for an presbycusis on virtual reality 탁평곤, 이상희, 김규종, 김주홍 p. 467-477

Evaluation of a fully online flipped teaching course = 플립러닝 기반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학습효과를 중심으로 Jeong, Hyojin p. 479-491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환자안전 역량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nursing students 박혜서, 오윤희, 정무상 p. 493-503
유아교사를 위한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유아놀이관찰 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observation model based on ‘criticis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김은정 p. 505-519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미술활동이 여성노인의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rt activities in the lifelong education on well-dying recognition of the elderly women 남지연 p. 521-536
대통령 취임사의 문법적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inaugural addresses :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grammatical elements and discourse purpose : 문법요소와 담화목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차명희 p. 537-555

임상간호사가 인식한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 안전분위기, 비판적 사고성향이 투약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t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urse manager, safety climat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in hospital nurse 윤숙희, 김현주 p. 557-566
학교 안전교육에 대한 조망과 지리 교과의 역할 고찰 = A study on school safety education and the role of geography subject 권은주, 최아수, 최재영 p. 567-580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중도장애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An autobiogrphical narrative inquiry on woman's experience of post-traumatic disability 전영아 p. 581-605
상담자의 핵심감정에 따른 역전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utoethnography of countertransferenc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counselor's nuclear feelings 남수경, 김명찬 p. 607-623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academic engagement in sixth-grade elementary children : the mediating effects of attention and cooperation : 주의집중 및 협동심의 매개효과 김영미 p. 625-636
예비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블렌디드 러닝 국악수업 설계 및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김민지 p. 637-650
한국판 온⋅오프라인 사회적 거부민감성 척도(O2S3)의 타당화 =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Sensitivity Scale 안정윤, 이지연 p. 651-664
아버지와 어머니의 문화성향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parents' cultural orientation on th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신건호 p. 665-675
아동의 미디어 이용 연구 = A study on children's media use : focusing on the ability to control media use and parents' media education effect : 미디어 이용 조절 능력과 부모의 미디어 교육을 중심으로 송원숙 p. 703-716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와 긍정심리자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etacogni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김주연 p. 717-727
중급 전임 남성상담사의 성역할 정체성 경험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gender role identity of intermediate full-time male counselor 하효석, 홍지선, 곽대호 p. 729-752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on global citizenship course = 세계시민교육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유형 분석 : 유네스코 학습영역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UNESCO’s conceptual framework Eunjin Lee p. 753-77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학교육의 과제와 방향 = Problems and direc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오영열 p. 773-787
제조업 엔지니어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ormal learning of manufacturing engineers 박지연, 김진모 p. 789-808
자연물을 활용한 흙 놀이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oil play with natural objects on young children's nature-friendly attitude and creativity 신애선 p. 809-823
부모의 자녀학대를 발견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아동학대 신고과정 경험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hild abuse reporting process of childcare center staff who discovered parents' child abuse 심진아, 정가윤 p. 825-840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주영주 p. 841-853
전문대학생의 학업부진 경험과 대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박민정 p. 855-873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가혜, 박연환 (2020). 한국사회의 웰다잉 하위범주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27(3), 229-237. 미소장
2 김수정, 김정석 (2011). 노인 부부가구의 빈곤: 성과 직업력의 효과. 가족과 문화, 23(3), 63-91. 미소장
3 김아영, 김효정 (2021).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6(4), 41-67. 미소장
4 김일빈, 안동현 (2014).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체성과 정신건강의 관계. 노인정신의학, 18(1), 9-18. 미소장
5 남순현 (2017). 노인의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5-29. 미소장
6 박선우, 유나현 (2021). 배우자 사별 독거노인의 애도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8(6), 1497-1518. 미소장
7 박소희 (2017). 중년 및 노년 여성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비교연구. 생명연구, 45, 135-169. 미소장
8 서윤아, 김형숙 (2023). 노인학습자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조형교육, 85, 47-66. 미소장
9 석덕순, 정명희 (2023).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명연구, 68, 299-322. 미소장
10 송현동 (2018). 대학생들의 죽음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300-310. 미소장
11 신민주, 주용국 (2017). 여성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평생학습사회, 13(1), 1-24. 미소장
12 안지언, 김향미 (2022). 미술관교육에서의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나이듦’ 개념고찰. 한국융합과학회지, 11(4), 269-282. 미소장
13 양원영 (2021). 하이데거의 예술사상에서 바라본 창의적 노화를 위한 Creative Art가 갖는 평생학습의 의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박영스토리. 미소장
15 유지영 (2022). 노인의 좋은죽음인식, 죽음불안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3(4), 2107-2120. 미소장
16 은영, 송경애, 박오장, 고성희, 박명화, 김진선, ... 이지현 (2010). 노인전문간호 총론 (2판). 서울: 현문사. 미소장
17 이근무, 김경희, 유지영 (2022). 말기암 노인 환자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현존재분석. 한국노년학, 42(4), 833-853. 미소장
18 이상복 (2019). 노인의 삶의 의미, 가족지지, 죽음불안 및웰다잉(well-dying)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263-1278. 미소장
19 이소희 (2014).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노인의 삶 연구- 성공적 노화와 주체성의 관점에서. 여성문학연구, 31, 213-248. 미소장
20 이연종 (2016). 노래를 활용한 유산소 운동이 홀로된 여성노인 우울증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201-208. 미소장
21 임서령, 김진숙 (2015). 평생교육에서 미술활동이 노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6(6), 83-108. 미소장
22 전리상, 조흥중 (2021). 노인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6), 225-232. 미소장
23 조남희, 정윤경 (2022).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간의 상관관계. 지식융합연구, 5(2), 267-283. 미소장
24 조명현, 남상희 (2023). 노년기 정서인식명확성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감성과학, 26(2), 85-102. 미소장
25 조은희 (2023). 웰다잉Well-dying: 존엄하고 행복한 ‘자기결정권’으로서의 조력존엄사법. 의료커뮤니케이션, 18(1), 1-5. 미소장
26 조춘희 (2016). 디마프에 나타난 여성노인의 정체성 연구. 배달말, 59, 219-247. 미소장
27 최명심, 손정락 (2007). 삶의 의미수준이 자존감, 문제해결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51-967. 미소장
28 통계청. www.nso.go.kr. 미소장
29 한소리, 김현정 (2022). 여성 독거노인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임상미술심리연구, 12(3), 111-133. 미소장
30 한재희, 남지연 (2020). 의미치료. 서울:학지사. 미소장
31 한지나 (2015). 노인의 연령정체성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5), 33-42. 미소장
32 홍희석, 곽미정 (2015). 노인의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에미치는 영향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개선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199-213. 미소장
33 Costa, P. T., Metter. E. J., & McCrae, R. R. (1994). Personality stability and its contribution to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y. 27(1), 41-59. 미소장
34 Butler, R. (1974). Ageism. In G. Maddox(Ed.). Encylopedia of aging (pp. 38-39).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미소장
35 Frankl. V .E. (1988).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이시형 역 (2005). 삶의 의미를 찾아서. 경기:청아출판사. 미소장
36 Heidegger, M. (1961). Nietzsche I. 김정현 역 (1991). 니체철학강의 1: 예술로서의 힘에의 의지. 서울: 이성과 현실. 미소장
37 Leitner, M. J., & Leitner, S. F.(1985).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Haworth Press. 미소장
38 Rosenberg, M. (1979). Components of Rosenberg’s self-esteem scale. In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39 Strauss, A., & Corbin, J. (1996). Grounded theory. 김수지, 신경림 역 (2000).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미소장
40 Tennen, H., & Herzberger, S. (1987). Depression, self-esteem, and the absence of self-protective attributional biases. J. of Personalty and Social Psychology, 52(1). 72-8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