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가혜, 박연환 (2020). 한국사회의 웰다잉 하위범주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27(3), 229-237. |
미소장 |
2 |
김수정, 김정석 (2011). 노인 부부가구의 빈곤: 성과 직업력의 효과. 가족과 문화, 23(3), 63-91. |
미소장 |
3 |
김아영, 김효정 (2021).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6(4), 41-67. |
미소장 |
4 |
김일빈, 안동현 (2014).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한 정체성과 정신건강의 관계. 노인정신의학, 18(1), 9-18. |
미소장 |
5 |
남순현 (2017). 노인의 은퇴 후 삶의 적응에 대한 Glaser의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5-29. |
미소장 |
6 |
박선우, 유나현 (2021). 배우자 사별 독거노인의 애도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8(6), 1497-1518. |
미소장 |
7 |
박소희 (2017). 중년 및 노년 여성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비교연구. 생명연구, 45, 135-169. |
미소장 |
8 |
서윤아, 김형숙 (2023). 노인학습자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조형교육, 85, 47-66. |
미소장 |
9 |
석덕순, 정명희 (2023).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명연구, 68, 299-322. |
미소장 |
10 |
송현동 (2018). 대학생들의 죽음교육 전과 후의 웰다잉 인식과 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300-310. |
미소장 |
11 |
신민주, 주용국 (2017). 여성노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평생학습사회, 13(1), 1-24. |
미소장 |
12 |
안지언, 김향미 (2022). 미술관교육에서의 시니어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창의적 나이듦’ 개념고찰. 한국융합과학회지, 11(4), 269-282. |
미소장 |
13 |
양원영 (2021). 하이데거의 예술사상에서 바라본 창의적 노화를 위한 Creative Art가 갖는 평생학습의 의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8).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박영스토리. |
미소장 |
15 |
유지영 (2022). 노인의 좋은죽음인식, 죽음불안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3(4), 2107-2120. |
미소장 |
16 |
은영, 송경애, 박오장, 고성희, 박명화, 김진선, ... 이지현 (2010). 노인전문간호 총론 (2판). 서울: 현문사. |
미소장 |
17 |
이근무, 김경희, 유지영 (2022). 말기암 노인 환자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현존재분석. 한국노년학, 42(4), 833-853. |
미소장 |
18 |
이상복 (2019). 노인의 삶의 의미, 가족지지, 죽음불안 및웰다잉(well-dying)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263-1278. |
미소장 |
19 |
이소희 (2014).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노인의 삶 연구- 성공적 노화와 주체성의 관점에서. 여성문학연구, 31, 213-248. |
미소장 |
20 |
이연종 (2016). 노래를 활용한 유산소 운동이 홀로된 여성노인 우울증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201-208. |
미소장 |
21 |
임서령, 김진숙 (2015). 평생교육에서 미술활동이 노년의 삶에 미치는 영향.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6(6), 83-108. |
미소장 |
22 |
전리상, 조흥중 (2021). 노인의 심리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분석: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6), 225-232. |
미소장 |
23 |
조남희, 정윤경 (2022).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간의 상관관계. 지식융합연구, 5(2), 267-283. |
미소장 |
24 |
조명현, 남상희 (2023). 노년기 정서인식명확성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감성과학, 26(2), 85-102. |
미소장 |
25 |
조은희 (2023). 웰다잉Well-dying: 존엄하고 행복한 ‘자기결정권’으로서의 조력존엄사법. 의료커뮤니케이션, 18(1), 1-5. |
미소장 |
26 |
조춘희 (2016). 디마프에 나타난 여성노인의 정체성 연구. 배달말, 59, 219-247. |
미소장 |
27 |
최명심, 손정락 (2007). 삶의 의미수준이 자존감, 문제해결인식도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51-967. |
미소장 |
28 |
통계청. www.nso.go.kr. |
미소장 |
29 |
한소리, 김현정 (2022). 여성 독거노인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임상미술심리연구, 12(3), 111-133. |
미소장 |
30 |
한재희, 남지연 (2020). 의미치료. 서울:학지사. |
미소장 |
31 |
한지나 (2015). 노인의 연령정체성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2(5), 33-42. |
미소장 |
32 |
홍희석, 곽미정 (2015). 노인의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에미치는 영향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개선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199-213. |
미소장 |
33 |
Costa, P. T., Metter. E. J., & McCrae, R. R. (1994). Personality stability and its contribution to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y. 27(1), 41-59. |
미소장 |
34 |
Butler, R. (1974). Ageism. In G. Maddox(Ed.). Encylopedia of aging (pp. 38-39).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
미소장 |
35 |
Frankl. V .E. (1988).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이시형 역 (2005). 삶의 의미를 찾아서. 경기:청아출판사. |
미소장 |
36 |
Heidegger, M. (1961). Nietzsche I. 김정현 역 (1991). 니체철학강의 1: 예술로서의 힘에의 의지. 서울: 이성과 현실. |
미소장 |
37 |
Leitner, M. J., & Leitner, S. F.(1985).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Y, Haworth Press. |
미소장 |
38 |
Rosenberg, M. (1979). Components of Rosenberg’s self-esteem scale. In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39 |
Strauss, A., & Corbin, J. (1996). Grounded theory. 김수지, 신경림 역 (2000).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40 |
Tennen, H., & Herzberger, S. (1987). Depression, self-esteem, and the absence of self-protective attributional biases. J. of Personalty and Social Psychology, 52(1). 72-8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