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유경⋅이창현⋅손산산(2008), “국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한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6(2), 35-55. | 미소장 |
2 | 김도희⋅박병진(2016), “한류콘텐츠 경험이 국가 이미지,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유럽 신한류잠재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9(12), 1871-1894. | 미소장 |
3 | 김도현(2019), “한류 선호도가 한국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베트남 중심으로 -”, 국제상학, 34(2), 265-282. | 미소장 |
4 | 김승철⋅김귀옥(2017), “한국 수출기업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한 수출활성화 방안”, 전자무역연구, 15(1), 1-23. | 미소장 |
5 | 강현철(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587-594. | 미소장 |
6 | 고정민(2005), 韓流 지속화를 위한 방안, 삼성경제연구원. | 미소장 |
7 | 박준우⋅여찬구(2021), “중력모형을 통한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무역패턴 분석”, 무역통상학회지, 21(6), 117-135. | 미소장 |
8 | 박철⋅유재현(2010),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연구에 대한 종합적 고찰”,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9(2), 31-50. | 미소장 |
9 | 송정은⋅김익기⋅장원호(2013), “동남아지역의 ‘경제한류’-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15(1), 57-90. | 미소장 |
10 | 송정은(2014), “경제한류와 문화한류가 한국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역할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류비즈니스연구, 1(1), 109-142. | 미소장 |
11 | 이운영(2006), “중국에서의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구매의사에 미친 영향”, 국제경영리뷰, 10(2), 107-136. | 미소장 |
12 | 이제홍(2015), “한류스타가 국가 브랜드 이미지와 한국 제품 구매력에 미치는 실증 분석”, 무역금융보험연구, 16(4), 189-208. | 미소장 |
13 | 이창현⋅김유경⋅이효복(2010), “한류경험의 유형이 국가브랜드 이미지와 기업 및 제품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87), 364-391. | 미소장 |
14 | 이현응(2014),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HRD연구, 16(3), 225-249. | 미소장 |
15 | 이학식(2020), 소비자행동, 집현재. | 미소장 |
16 |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22), 정보통신방송(ICT) 해외진출가이드,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미소장 |
17 | 정영규(2009), “한국-동남아시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에 따른 문화컨텐츠 산업협력 방안”, 무역학회지, 34(2), 51-72. | 미소장 |
18 | 정민지⋅정재은⋅양희순(2018), “한류 및 한국 화장품의 제품이미지가 해외 직접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학연구, 29(1), 55-82. | 미소장 |
19 | 장동석(2016), “경제한류와 문화한류가 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인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31(7), 45-63. | 미소장 |
20 | 장원호⋅김익기⋅조금주(2013), “‘문화한류’와 ‘경제한류’의 관계분석: 태국의 사례를 통한 시론적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182-197. | 미소장 |
21 | 천덕희(2017), “신(新) 한류 문화콘텐츠와 경제한류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觀光硏究, 32(5), 181-198. | 미소장 |
22 | 천덕희⋅최현묵(2017), “한국의 전통문화가 국가이미지와 한국여행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6(2), 121-134. | 미소장 |
23 | 한국무역협회(2020), 베트남+1, 말레이시아를 주목하라!, 한국무역협회. | 미소장 |
24 |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2),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미소장 |
25 | 황낙건⋅최형배⋅김영택(2012), “K-POP 과 K-POP 스타가 국가이미지와 한국 제품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5-14. | 미소장 |
26 | KOTRA(2008), 말레이시아 투자실무가이드,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미소장 |
27 | KOTRA(2009), 아세안 휩쓰는 경제한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미소장 |
28 | Ajzen, I. and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미소장 |
29 | Anastasiadou, E., Lindh, C. and Vasse, T. (2019), “Are consumers international? A study of CSR, cross-border shopping,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 among online consumers”, Journal of Global Marketing, 32(4), 239-254. | 미소장 |
30 | Choi, J. (2015), “Hallyu versus Hallyu-hwa: Cultural Phenomenon versus Institutional Campaign”, in S. J. Lee and A. Nomes(eds.). Hallyu 2.0: The Korean Wave in the Age of Social Media,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미소장 |
31 | Commission Factory. (2022), Malaysia Market Insight Report, Commission Factory. | 미소장 |
32 | Davis, F. (1986),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 Theory and results”, Sloan School of Managemen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octoral dissertation. | 미소장 |
33 | Davis, F., Bagozzi, R. and Warshaw, P.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 982-1003. | 미소장 |
34 | Fishbein, M. and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 미소장 |
35 | Google, Temasek, Bain & Company. (2022), E-CONOMY SEA 2022, Google, Temasek, Bain & Company. | 미소장 |
36 | Gefen, D., Karahanna, E. and Straub, D. W. (2003), “Trust and TAM in Online Shopping: An Integrated Model”, MIS Quarterly, 27(1), 51–90. | 미소장 |
37 | Gefen, D. (2003), “TAM or just plain habit: a look at experienced online shoppers”, Journal of End User Computing, 15(3), 1-13. | 미소장 |
38 | Hasan, B. (2010). Exploring gender differences in online shopping attitud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4), 597-601. | 미소장 |
39 |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New York, Guilford. | 미소장 |
40 | Hwang, J., Cho, S. and Kim, W. (2019), “Philanthrop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sumer attitudes, brand preference,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Older adult employment as a moderator”,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7(7), 1-10. | 미소장 |
41 | Benamati, J., Fuller, M. A., Serva, M. A., and Baroudi, J. (2010), “Clarifying the Integration of Trust and TAM in E-Commerce Environments: Implications for Systems Design and Management”,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 미소장 |
42 | Jarvenpaa, S. L., Tractinsky, N., and Vitale, M. (2000), “Consumer trust in an Internet sto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1, 45-71. | 미소장 |
43 | Koththagoda, K. C. and Herath, H. M. R. P. (2018), “Factors influencing online purchasing intention: The mediation role of consumer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42(2003), 66-74. | 미소장 |
44 | Laroche, M., Papadopoulos, N., Heslop, L. A. and Mourali, M. (2005), “The influence of country image structure on consumer evaluations of foreign product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2(1), 96-115. | 미소장 |
45 | Law, M., Kwok, R. and Ng, M. (2016), “An extended online purchase intention model for middle-aged online users”,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20, 132-146. | 미소장 |
46 | Lian, J. W. and Lin, T. M. (2008),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on their acceptance of online shopping: Comparisons among different product typ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1), 48-65. | 미소장 |
47 | Lkhaasuren, M., Nam, K. D., Bang, D. O. and Kim, D. C. (2018), “The effect of Korean country image and culture contents favor on Mongolian customers’ cross-border online purchase intention in Korean products”,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14(1), 1-21. | 미소장 |
48 | Mohr, L. A., & Webb, D. J. (2005),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price on consumer responses”,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39(1), 121-147. | 미소장 |
49 | Orbaiz, L. V., and Papadopoulos, N. (2003), “Toward a Model of Consumer Receptivity of Foreign and Domestic Products”,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15(3), 101. | 미소장 |
50 | Pavlou, P. A. (2003), “Consumer Acceptance of Electronic Commerce: Integrating Trust and Risk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7(3), 101–134. | 미소장 |
51 | Tse, D. K., Gorn and G. J. (1993), “An Experiment on the Salience of Country-of-Origin in the Era of Global Brand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1), 57–76. | 미소장 |
52 | Taylor, S. and Todd, P. A. (1995),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144-176. | 미소장 |
53 | Tyrväinen, O., and Karjaluoto, H. (2022), “Online grocery shopping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meta-analytical review”, Telematics and Informatics, 101839. | 미소장 |
54 | Wang, C. K. and Lamb, C. W. (1983), “The impact of selected environmental forces upon consumers’ willingness to buy foreign product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1, 71-84. | 미소장 |
55 | Wigley, S. (2008), “Gauging consumers’ responses to CSR activities: Does increased awareness make cents?”, Public Relations Review, 34(3), 306-308. | 미소장 |
56 | Yang, H., Jin, B. E. and Jung, M. (2020), “The influence of country image, the Korean wave, and website characteristics on cross-border online shopping intentions for Korean cosmetics: Focusing on US and Chinese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20(2), 38-49. | 미소장 |
57 | Yeo, A. C. M., Lee, S. X. M., and Carter, S. (2018), “The influence of an organisation’s adopt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nstructs on consumers’ intended buying behaviour: a Malaysian perspective”, Social responsibility journal, 14(3), 448-468. | 미소장 |
58 | 뉴스투데이(2022).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21104500205 | 미소장 |
59 | 이데일리(202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5136662894691 2&mediaCod | 미소장 |
60 | 중앙일보(202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9694#home | 미소장 |
61 | 월간조선(2014).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 umb=201411100038 | 미소장 |
62 | 한국경제(2008).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0805145823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