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사 이론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 Creative writing class using narrative theory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narrative, and text : 스토리, 서술,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희수 p. 1-10

한국어 학습자의 파생형태소 분리 학습이 향후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Korean learner's separate morphological learning on vocabulary learning in the future 김덕신 p. 11-22

창업가 특성이 관광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on tourism startup performance : entrepreneurship as a modulator : 기업가정신을 조절변수로 오성범 p. 811-826
<한국어교육실습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모의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 조사 =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mock class experience in <Korean Pre-Practicum> :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completed <Korean Practicum> : <한국어교육실습>을 마친 중국인 유학생 대상으로 신은경 p. 23-33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방문한국어교육의 실제와 과제 = The reality and task of home visiting Korean language tutoring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김현숙 p. 35-52
서구 탈다문화주의 시대의 초다양성(superdiversity) 개념의 함의 = The implications of superdiversity in the era of western transculturalism : a case study of the diversity index by the Körber Foundation in Hamburg, Germany : 독일 함부르크 소재 퀘르버 재단의 초다양성지수 연구를 사례로 김윤정 p. 827-838

협력학습에 기반한 한국어 교수·학습 연구 =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 focus on the designing Korean collaborative class through a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 학습자 인식 조사를 통한 수업 설계를 중심으로 손혜진 p. 53-63

대상관계이론 기반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based on the object relations theory : comparison of research subjects : 연구대상에 따른 비교 김상연, 지은, 송찬미 p. 65-79
상담전공 학부생의 진로멘토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areer mentoring experience of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이정아, 천성문, 유지혜 p. 839-852
앱북 콘텐츠의 문학적 이미지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literary image of appbook contents 한혜진 p. 81-90
일본의 한국 지역연구 동향 = Trends of Korea area studies in Japan : 2000년대 이후 한국 관련 학회를 중심으로 전지영, 현민 p. 853-862

초등학생의 게임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메타버스 기반 인지행동상담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metaverse-based CBT program to improve internet gaming liter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도연, 정여주 p. 91-111
계보학적 관점에서 본 부산의 대학 발레 = Busan's university ballet from the genealogical perspective : focused on police and gevernmentality : 내치와 통치성을 중심으로 정두순 p. 863-879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한 국내 대학생 상담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unseling program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using text mining methods 양순미, 김성봉 p. 113-122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과 건축의 융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이태현 p. 881-893
IT 통합예술치료 임상구조와 실행에 나타나는 신경과학적 관점에서의 심리변화 메커니즘 = The mechanism of psychological change in the IT Integrative Arts Therapy's clinical structure and practice from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이성현 p. 895-912
모바일 FPS 게임의 몰입도 증가를 위한 UI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UI design to increase immersion in mobile FPS games : Call of Duty: mobile focus : 콜 오브 듀티: 모바일을 중심으로 박채연, 김지윤 p. 123-131
K-pop이 한국 국가 브랜드와 관광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Exploring the impact of K-pop on Korean brand and tourism : a case study of BTS :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서문니, 전종우 p. 913-922
문제기반학습 수업이 협동적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 개발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 신명희 p. 133-140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특수학교 방과 후 미술활동 체험의 의미 = The significance of children's experieces of an afterschool art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이지현 p. 923-936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재정립을 위한 타당화 연구 = A validity study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extra curriculum system : the case of K University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미경, 오미자 p. 141-152
가족 내 성역할 태도와 배우자 만족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spouse satisfaction in the famil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혜원 p. 937-951
대학생 대상 공감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 Development research of empathy-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김진아, 김현지 p. 175-191

영유아교육기관의 산책 및 바깥 놀이에서 나타난 놀이 분석 = Analysis of play in walks and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 focusing on the ecology friendly daycare center in District Y : Y구 생태친화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이영자, 신근영 p. 953-967
신입생 대상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의 '취(창)업용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 방안 고찰 = A study on 'writing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startup)'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r freshmen : focusing on the case of long-term project using online space : 온라인 공간을 활용한 장기 프로젝트 진행 사례를 중심으로 심재욱 p. 193-208

중고령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활동 교육지원사업 참여 경험과 의미 = Experience and mean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retired professional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이은진 p. 969-980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 경험을 통한 건강실천 연구 = A study on health practices through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s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김향희 p. 981-992
"위씨오세삼난현행록" 이본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Wuissiosesamnanhyeonhaengrok" 이민호 p. 209-218
한국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Variables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 acceptanc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 meta-analysis 최문지, 박정은 p. 993-1004
간호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서지언, 한정원 p. 1005-1014
현대문학에 구현된 '복원 프레임(frame)' 연구 = A study of ‘the restoration frame’ in modern literature 김민옥 p. 219-230
안녕감 개념과 일상적 감정 경험 = The concept of well-being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 : the paradox of avoidance of negative experience and the positivity of self-development : 불쾌 회피의 역설과 자기개발의 긍정성 도은영, 이국희 p. 1031-1040
방기환 소설의 '순수' 연구 = Study of ‘Innocence’ in Bang Ki-hwan’s novels : focused on his short stories from the 1950s : 195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신은경 p. 231-240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 뮤지컬 참여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youth's participation in musicals to prevent school violence : focusing on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prohibition of sitting on the sidelines : 학교폭력 피해 및 방관 금지를 중심으로 전보경, 이대현, 전종우 p. 1041-1049
글로벌 K-드라마의 여성영웅 서사 = A study on the female hero narrative of global K-drama : focusing on the storytelling strategy of the Netflix drama series “My Name” : 넷플릭스 드라마 시리즈 “마이 네임”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중심으로 최영희, 문현선 p. 241-252
국내 한국어 교사의 교사 정체성 분석 연구 = Analyzing teacher ident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Korea 문영하, 오아림 p. 1071-1083
매체 문식력을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appreciation of Korean classical poetry using media literacy : 영화 <라라랜드>와 고려가요 <동동(動動)>을 중심으로 이지안 p. 253-270
섀도잉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Case studies of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shadowing : focus on changes in Korean language speaking efficacy of Myanmar learners : 미얀마인의 말하기 효능감 변화를 중심으로 윤해숙, 강소산 p. 1085-1097
초기인도대승불교의 다문화적 양상과 종교적 전개 = Multicultural aspects and religious development of early Indian Mahāyana Buddhism 최경아 p. 271-280

문화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문화 교육 방안 연구 = Enhancing cultural and linguistic competence in Korean education topic : Korean Food : '한국음식'을 바탕으로 김규인, 염정은 p. 1099-1113
주 태국 한국 문화원의 케이팝 아카데미 운영에 대한 고찰과 제언 = A study on and sugges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K-POP Academy at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Thailand 윤영삼, 전종우 p. 281-295
나무그림검사(Baum Test)에 관한 연구 동향 = Analyses of research of the Baum Test 김경남, 이지현 p. 1115-1125
다큐 영상자료에서 파악한 신안군 가거도의 소리풍경 = Soundscapes of Gageo-do in Sinan-gun identified from documentary videos 한명호 p. 1127-1144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ew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reality show : focusing on dating reality show :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임훈 p. 297-311
현대 알앤비(R&B) 음악의 경향 연구 = A study on the trend of modern R&B music : focusing on the Grammy Awards <R&B Song> : 그래미 어워드 <R&B Song>을 중심으로 손윤재 p. 313-325
산림재난 방제 분야 AI 인력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AI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forest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오춘식, 신윤호 p. 1185-1195
중국 재창작 뮤지컬 <팬레터>의 무대 미술에 나타난 현지화 양상 연구 = A study of localization in the stage art of the Chinese reimagined musical <Fan Letter> 부림자, 한경훈 p. 1197-1210
지역 예술지원사업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local arts support projects :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시훈 p. 339-351
메타버스 기반의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 학습의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f learner-centered learning using metaverse : based facilitation : 대학생 미디어 영어 수업을 중심으로 임주영 p. 1211-1226
임실 치즈의 지역상품화 과정 = The procedure of being regional products of Imsil Cheese 허나겸 p. 369-382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여성 연령대별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erobic and resistant exerciseon[실은 exercise] on women's body composition by age : the moderating effects of caffeine intake and nutritional restrictions : 카페인 섭취와 영양제한의 조절효과 서병진, 윤병섭 p. 1227-1240
SNS 콘텐츠 품질속성이 시청자의 긍정적 구전의도와 재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SNS content quality attributes on audience's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s and re-veiwing intentions : focusing on beauty influencer's contents : 뷰티 인플루언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이현정, 정재형 p. 383-396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대학생활 경험 = The experience of college lift during COVID-19 pandemic : targeting the nursing students : 간호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박정언 p. 1241-1251
도시환경 인식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n urban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박변갑 p. 397-406
지방의회 정책지원관의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y support officers in local councils : 직무만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홍상우, 오현규 p. 407-426

청소년상담자의 외상경험, 회복탄력성, 수퍼바이저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youth counselor's traumatic experience on their burnout : the roles of resilience and supervisor support 김옥환, 심호규 p. 427-435
어린 아동기 부정적 정서기질이 학령후기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al temperament in early childhood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late school-age children :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상미 p. 437-450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career identity in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주학, 김성봉, 이세자 p. 451-461
스마트폰 기반 미술치료에서의 라포 형성 요소 탐색과 적용방안 = Exploratory research for formation elements of rapport at art therapy based on smartphone 김승은 p. 463-472

고전산문 설(說)을 활용한 성찰적 글쓰기 교육 = Reflective writing education using classical prose : 이곡의 "차마설"을 중심으로 백지민 p. 473-482
실시간 화상 수업 기반 한국어 말하기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 A study on realtime video based Korean speaking class model development and its effect 이지은 p. 483-496

추천 및 예약 챗봇의 개인정보 요청 시 적합한 페르소나 유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ppropriate persona types for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in recommendation and reservation chatbots 김은솔, 오창훈, 장수용 p. 497-508
알파고에 대한 복기를 통해 고찰하는 인공지능의 예술적 가능성 = The artistic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sidered through review of AlphaGo 신홍주 p. 509-520
직업계고 관광과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 진로준비행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education service performance on educational satisfac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behavior intention for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tourism at vocational high school 김아라, 이승곤 p. 533-541
교양영어 수업에서 영어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학습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learning portfolio for English presentation in English classes 박정화, 차민영, 임희주 p. 543-551
대학 신임교원의 수업컨설팅 만족도에 대한 의미 분석 = An analysis of the meaning in the satisfaction with lecture consulting of newly appointed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 focusing on the network analysis of the case of University A : A대학교 사례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서용희, 이지영 p. 553-563
반중(反中) 정서의 확산 속 중국, 중국어, 중국어학습에 대한 대학생 인식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China, Chinese, and Chinese learning amid the rise of anti-China sentiment 임연정 p. 565-576
영화 "살인 연극(風中有朵雨做的雲 )"을 통해서 본 중국 도시화 인식 경향 연구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urbanization : focus on the movie The Shadow Play 왕밍지에, 손수연 p. 577-589
부산지역축제 콘텐츠로서 동해안 별신굿의 활용 가능성 =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East Coast Byeolsingut as a festival content in Busan 이선미 p. 591-601
근대전환기 명암가사 <태평책가>의 환상성과 그 의미 = The fantasy and meaning of Myongamgasa <Taepyeongchaekga>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조유영 p. 603-615
문학 속에 나타난 '냄새'의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 of ‘smell’ appeared in literature 심영덕 p. 635-647
중국 전통 곤곡 영역본의 트랜스크리에이션 양상 연구 = A study on transcreation in the English version of traditional Chinese Kunqu : focusing on Tang Xianzu’s The Peony Pavilion : 탕현조(湯顯祖)의 "모란정(牡丹亭)"을 중심으로 유일범, 마승혜 p. 649-658
모테트 태동에 영향을 준 Philip the Chancellor의 재조명 = Revisiting Philip the Chancellor's influence on the birth of the motet : focusing on the works of Philip the Chancellor included in major music manuscripts in the 13th century : 13세기 주요 음악 필사본에 수록된 Philip the Chancellor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주향 p. 659-673
비장소를 통한 초등미술교육의 확장 = Expans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rough Non-Places : centered on the program <Let’s go! Into the world> : <가자! 세계 속으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주현 p. 675-689
어포던스기반 만보기앱 UI 어플리케이션 마케팅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appearance based pedometer app UI application marketing design 김명미, 유성하 p. 691-699
공공디자인 연구를 위한 혼합연구방법론 탐색 = Exploration of mixed research methodology for public design research : based on critical realism : 비판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박변갑 p. 713-726
수정IPA를 이용한 관광 특성화고 재학생 교육만족도 연구 = A study on educa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ourism specialized high schools using Revised-IPA 김아라, 박영광, 김지혜, 최아미 p. 727-737
측정방법에 따른 정직성 효과의 차이 = Differences in effects of honesty measurement methods : situational judgment test format vs. Likert-type rating scale : 상황판단검사 형식과 Likert 식 평정형 척도 권은아 p. 739-753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reation of social value of village community media : focused on Pyeonghwa-dong Village Community Newspaper, Jeonju : 전주 <평화동마을신문>을 중심으로 강윤형 p. 755-769

문화관광상품의 디자인특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Aspects of the effect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맹양 p. 771-783
직업 생애 관점에서 본 명예퇴직 중등교원의 통과의례적 경험 = The rite of passage experience of an honorably retired secondary school teacher from professional perspective 함보연, 김영순 p. 785-797
국내 국·공립대학교의 교양교육 체계 및 전공 자유 선택 제도 탐색 연구 = A study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and major free choice : system of domestic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전종희 p. 153-173
한슬리크와 19세기 후반 독일 음악계 = Hanslick and the German music world in the late 19th century 이혜진 p. 327-338
법정 문화도시 사업의 지속가능성 고찰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legal cultural city project : focused on the ECoC of Lille, France and Liverpool, UK : 유럽문화수도 프랑스 릴과 영국 리버풀 사례를 중심으로 백지연, 김선영 p. 353-367
"동인도제도이야기(東印度諸島物語)"로 보는 전시기 트랜스 동아시아 문화의 발견 = Discovery of trans-East Asian culture in the wartime through The Story of the East Indies 한채민 p. 521-531
서지자료 분석을 통한 윤동주 시 연구 = A study on Yun Dong-ju's poetry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alysis. 1. 1 = "어린이", "아이생활"을 중심으로 김형태 p. 617-634
19~20세기 러시아의 만주 연구와 발해 인식 = Russia's researches on Manchuria and perceptions of Balhae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김봉숙 p. 701-712

간판 없는 카페의 브랜드 이미지 개선방안 = A plan to improve the brand image of cafes without signs 최예미, 김병진 p. 799-809
자녀를 사별한 부모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experiences of parents experiencing child bereavement : between 2003 and 2022 : 2003년부터 2022년을 중심으로 서미경, 두경희 p. 1015-1029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행복 증진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ing and applying a theatrical play group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children at a local children's center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ADDIE model : ADDIE 모형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천미현, 오정윤 p. 1051-1069
공공기관의 유튜브 운영이 지역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public institutions' YouTube operations on visit intention : focused on ChungTV : 충TV를 중심으로 손효은, 김선영 p. 1145-1159
자전적 기억의 현상학적 시 쓰기 = Write a phenomenological poem of autobiographical memory Park Ji-Young's poetry world : 박지영의 시 세계 김홍진 p. 1161-1171
해외입양 다큐멘터리에 나타난 트라우마 연구 = A study on trauma in documentary of inter-country adoption : focusing on "Side by Side: Out of a South Korean Orphanage and into the World" : "나란히: 한국의 고아에서 세계 속으로"를 중심으로 차민영 p. 1173-1183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정희(2016). 청소년의 우울사정도구로서의 나무그림검사의 활용가능성, 미술치료연구 23(3), 685-700. 미소장
2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2006).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동아문화사. 미소장
3 김종희(2015). 군 부적응 병사의 외래병동과 폐쇄병동 병사 간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비교연구, 미술치료연구 22(6), 1565-1585. 미소장
4 김태련, 송영혜, 우종태(1993). 나무그림검사. 중앙적성출판사. 미소장
5 낸시 맥윌리엄스, 권석만, 이한주, 이순희 역(2007).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학지사. 미소장
6 낸시 맥윌리엄스, 정남운, 이기련 역(2008). 정신분석적 진단, 학지사. 미소장
7 박연경(2001). 유아의 문제행동 유ㆍ무에 따른 나무그림검사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백혜정(1999). 나무그림 형태분석을 통한 특수학교정신지체아의 심리적 특성,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서강석(1994).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나무그림에 나타난 심리적 특성, 전주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서옥지(2011).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소현경, 김세영(2022). 투사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38(3), 285-304. 미소장
12 소현경, 이근매(2017). 풍경구성기법(LMT)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3(3), 43-62. 미소장
13 신수현(1982). 나무그림검사에 대한 한국 정상 아동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원주영, 문서현, 김갑숙(2023). 발테그검사(Wartegg Test)의 국내, 국외 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30(3), 667-684. 미소장
15 유경미(2019). 빗속의 사람 그림(DAPR)을 활용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26(2), 275-291. 미소장
16 유주현, 이근매(2022). 모자화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38(1), 103-123. 미소장
17 유혜정(1998). 아동의 그림검사에 나타난 자아개념에관한 연구 : 인물화 검사, 나무그림검사, 동작성 검사분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이근매(2008).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미소장
19 이명희(2010). 아동의 욕구좌절 및 분노표현에 따른나무 그림 반응특성,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0 이미옥(2019). 국내 동적가족화(KFD) 연구동향 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15(2), 27-50. 미소장
21 이선혜, 유경미(2017). 투사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4(6), 1509-1529. 미소장
22 이연주(2005). 초등학생 나무그림의 발달적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이지현(2012a). 인물화 검사의 국내 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19(2), 319-336. 미소장
24 이지현(2012b).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불안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19(3), 517-535. 미소장
25 이창재(2016). 프로이트와의 대화, 학지사. 미소장
26 이희경(2004). 나무그림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장선철, 이경순(2011). 동적가족화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18(1), 173-193. 미소장
28 정계영(2008).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따른 나무그림검사반응특성,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미소장
30 정영인(2021a). 자극 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의 국내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28(2), 543-564. 미소장
31 정영인(2021b).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문화와융합 43(7), 27-56. 미소장
32 조숙자(1983). 나무그림검사에 의한 정상아와 농아의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조염미(1988). 정신지체아의 성격 진단을 위한 나무그림검사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주정향(2011).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반응 차이 연구,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최진숙, 이근매(2014). 투사 그림검사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21(1), 1-19. 미소장
36 카도노 요시히로, 전영숙, 유신옥 역(2008). 미술치료에서 본 마음의 세계, 이문출판사. 미소장
37 허소임(2020). 언어로서의 미술 : 해석학적 관점의 미술치료,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황승영(2002). 아동들의 성격에 따른 나무그림의 특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Buck, J. N.(1948). The H-T-P Tes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151-159. 미소장
40 Koch, C., 林勝造, 國吉政一, 一谷彊 譯(1970). バウムテスト:樹木畵による人格診斷法, 日本文化科學社.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