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기정희(2016). 청소년의 우울사정도구로서의 나무그림검사의 활용가능성, 미술치료연구 23(3), 685-700. | 미소장 |
2 | 김동연, 공마리아, 최외선(2006). HTP와 KHTP 심리진단법, 동아문화사. | 미소장 |
3 | 김종희(2015). 군 부적응 병사의 외래병동과 폐쇄병동 병사 간의 나무그림 반응특성 비교연구, 미술치료연구 22(6), 1565-1585. | 미소장 |
4 | 김태련, 송영혜, 우종태(1993). 나무그림검사. 중앙적성출판사. | 미소장 |
5 | 낸시 맥윌리엄스, 권석만, 이한주, 이순희 역(2007).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학지사. | 미소장 |
6 | 낸시 맥윌리엄스, 정남운, 이기련 역(2008). 정신분석적 진단, 학지사. | 미소장 |
7 | 박연경(2001). 유아의 문제행동 유ㆍ무에 따른 나무그림검사 비교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백혜정(1999). 나무그림 형태분석을 통한 특수학교정신지체아의 심리적 특성,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서강석(1994). 교육가능 정신지체아의 나무그림에 나타난 심리적 특성, 전주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서옥지(2011). 중년남성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나무그림 반응특성,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소현경, 김세영(2022). 투사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38(3), 285-304. | 미소장 |
12 | 소현경, 이근매(2017). 풍경구성기법(LMT)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예술심리치료연구 13(3), 43-62. | 미소장 |
13 | 신수현(1982). 나무그림검사에 대한 한국 정상 아동의 반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원주영, 문서현, 김갑숙(2023). 발테그검사(Wartegg Test)의 국내, 국외 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30(3), 667-684. | 미소장 |
15 | 유경미(2019). 빗속의 사람 그림(DAPR)을 활용한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26(2), 275-291. | 미소장 |
16 | 유주현, 이근매(2022). 모자화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정서 행동장애연구 38(1), 103-123. | 미소장 |
17 | 유혜정(1998). 아동의 그림검사에 나타난 자아개념에관한 연구 : 인물화 검사, 나무그림검사, 동작성 검사분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이근매(2008).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양서원. | 미소장 |
19 | 이명희(2010). 아동의 욕구좌절 및 분노표현에 따른나무 그림 반응특성,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미옥(2019). 국내 동적가족화(KFD) 연구동향 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15(2), 27-50. | 미소장 |
21 | 이선혜, 유경미(2017). 투사그림검사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미술치료연구 24(6), 1509-1529. | 미소장 |
22 | 이연주(2005). 초등학생 나무그림의 발달적 특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이지현(2012a). 인물화 검사의 국내 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19(2), 319-336. | 미소장 |
24 | 이지현(2012b).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불안에 관한 연구, 미술치료연구 19(3), 517-535. | 미소장 |
25 | 이창재(2016). 프로이트와의 대화, 학지사. | 미소장 |
26 | 이희경(2004). 나무그림검사와 자기개념검사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장선철, 이경순(2011). 동적가족화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18(1), 173-193. | 미소장 |
28 | 정계영(2008). 고등학생의 자살사고에 따른 나무그림검사반응특성,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정여주(2003). 미술치료의 이해, 학지사. | 미소장 |
30 | 정영인(2021a). 자극 그림을 활용한 그림검사의 국내연구동향 분석, 미술치료연구 28(2), 543-564. | 미소장 |
31 | 정영인(2021b).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문화와융합 43(7), 27-56. | 미소장 |
32 | 조숙자(1983). 나무그림검사에 의한 정상아와 농아의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조염미(1988). 정신지체아의 성격 진단을 위한 나무그림검사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주정향(2011). 중년여성의 우울 증상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반응 차이 연구,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5 | 최진숙, 이근매(2014). 투사 그림검사에 대한 국내연구동향, 미술치료연구 21(1), 1-19. | 미소장 |
36 | 카도노 요시히로, 전영숙, 유신옥 역(2008). 미술치료에서 본 마음의 세계, 이문출판사. | 미소장 |
37 | 허소임(2020). 언어로서의 미술 : 해석학적 관점의 미술치료,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8 | 황승영(2002). 아동들의 성격에 따른 나무그림의 특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Buck, J. N.(1948). The H-T-P Test.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151-159. | 미소장 |
40 | Koch, C., 林勝造, 國吉政一, 一谷彊 譯(1970). バウムテスト:樹木畵による人格診斷法, 日本文化科學社.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