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변동론과 지속론 사이에서 = A review of Chung Doo-hee's study on the political history of early Joseon Dynasty : 정두희의 조선전기사 연구 김영두 p. 5-43
역사서술에서 繪畫性과 心理的 要因 = Prof. Chung Doo-hee's studies on historical figures : exploring new methodologies and value-oriented narrative : 鄭斗熙의 人物史 硏究: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과 가치지향성 남호현 p. 45-79
한국 역사학 지평의 확대 = Expanding horizon of Korean studies : the introduc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West and its significance : 구미 한국학 소개와 그 의미 허준 p. 81-107
교회사 연구의 새로운 관점 = New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church history : focused on Chung Doo Hee's achievement on the study of Catholic church history : 정두희의 천주교회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조한건 p. 109-142
1998년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가 폴 오스터(Paul Auster)의 방일과 일본의 폴 오스터 수용 = Japanese reception to American postmodernist writer Paul Auster and his 1998 visit to Japan : chance, minority, coexistence : 우연, 마이너리티, 공존 양아람 p. 143-185
소설 『호텔 사람들 Menschen im Hotel』에 나타난 1920년대 위기의 남성들 = Men in crisis in the novel Menschen im Hotel 조한렬 p. 188-213

한국에서 왜성(倭城)에 대한 인식과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hanges in perceptions and policies toward Japanese fortresses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role of anti-Japanese nationalism : 반일(反日) 민족주의의 역할을 중심으로 전재호 p. 215-249

개항 이후 독일 관료들의 눈에 비친 한국의 정치적 상황 1884/86년 =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in the eyes of German officials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1884/86 정상수 p. 251-284

토마스 홉스의 법 개념 = Thomas Hobbes's concept of law 이경민 p. 325-366

'환경결정론'을 넘어 = Beyond environmental determinism : revisiting the debates in U.S. environmental history : 미국 환경사 논쟁의 재검토 김상현 p. 285-324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 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성종・연산군・중종과 그 신하들』, 역사비평사, 2007. 미소장
2 계승범, 『중종의 시대: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2014. 미소장
3 배우성, 『독서와 지식의 풍경』, 돌베개, 2015. 미소장
4 정두희, 『朝鮮時代 人物의 再發見』, 一潮閣, 1997. 미소장
5 정두희, 『조광조: 실천적 지식인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아카넷, 2000. 미소장
6 정두희, 『내 안에 살아 숨쉬는 역사』, 청어람미디어, 2004. 미소장
7 정두희, 『왕조의 얼굴: 조선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미소장
8 정두희・계승범, 『유자광: 조선의 영원한 이방인』, 푸른역사, 2023. 미소장
9 정두희 외, 『장희빈, 사극의 배반』, 소나무, 2004. 미소장
10 정두희 편,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미소장
11 데이비드 로웬덜, 김종원・한명숙 역, 『과거는 낯선 나라다』, 개마고원, 2006. 미소장
12 자오위안, 홍상훈 역, 『생존의 시대: 명청 교체기 사대부 연구 2』, 글항아리, 2017. 미소장
13 퀜틴 스키너, 황정아・김용수 역, 『역사를 읽는 방법』, 돌베개, 2019. 미소장
14 김영두, 「中宗代 文廟從祀 論議와 朝鮮 道通의 形成」, 『사학연구』 85, 2007. 미소장
15 김윤선, 「정약전론의 전개과정과 쟁점: 정약전과 천주교 ⑴」, 『교회사연구』 61, 2022. 미소장
16 박현순, 「(서평) 조선후기 지성사를 다시 묻다」, 『역사와 현실』 100, 2016. 미소장
17 윤선자, 「“고통 속에 꽃피운 영성-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의 생애에 대한 재조명”에대한 논평」, 『신학전망』 147, 2004. 미소장
18 이규철, 「조선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19~2020년)」, 『역사학보』 251, 2021. 미소장
19 이기훈, 「발명왕 이순신과 잠수함이 된 거북선: 민족주의 신화의 형성과 확산」, 『역사비평』 121, 2017. 미소장
20 이승수, 「공자에 대한 사마천의 의문과 반어적 확신: 「伯夷列傳」의 讀法 散論」, 『한문교육연구』 42, 2014. 미소장
21 이정일, 「元均論」, 『역사학보』 89, 1981. 미소장
22 정두희, 「『史記』 伯夷列傳에 대한 一考察: 司馬遷의 思想的 傾向과 관련하여」, 『全海宗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一潮閣, 1979. 미소장
23 정두희, 「李重煥」, 『한국사 시민강좌』 3, 일조각, 1988. 미소장
24 정두희, 「천주교 신앙과 유배의 삶, 다산의 형 정약전」, 『역사비평』 13, 1990. 미소장
25 정두희, 「단종과 세조에 대한 역사소설의 검토: 세조의 찬탈을 찬양한 이광수와 김동인의 친일역사관」, 『역사비평』 18, 1992. 미소장
26 정두희, 「趙光祖의 道德國家의 理想」, 『한국사 시민강좌』 10, 1992. 미소장
27 정두희, 「李舜臣 硏究: 壬辰年 이후 그의 戰略과 丁酉再亂에 관한 再檢討」,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下)』, 一潮閣, 1994. 미소장
28 정두희, 「송시열의 숭명배청론 재평가」, 『역사비평』 37, 1996. 미소장
29 정두희, 「TV 사극 “용의 눈물”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 역사적 해석과 문학적 상상력」, 『중앙사론』 10・11, 1998. 미소장
30 정두희, 「이순신: 개인의 아픔을 넘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장군」, 『한국사 시민강좌』30, 2002. 미소장
31 정두희, 「고통 속에 꽃피운 영성: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의 생애에 대한 재조명」, 『신학전망』 147, 2004. 미소장
32 정두희, 「李舜臣에 대한 記憶의 歷史와 歷史化」, 『한국사학사학보』 14, 2004. 미소장
33 정두희, 「<단종애사>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명회>」, 『한국사 시민강좌』 41, 2007. 미소장
34 정만조, 「조선후기 인물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물사연구』 1, 2004. 미소장
35 한충희, 「조선전기 인물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물사연구』 1, 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