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 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성종・연산군・중종과 그 신하들』, 역사비평사, 2007. | 미소장 |
2 | 계승범, 『중종의 시대: 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역사비평사, 2014. | 미소장 |
3 | 배우성, 『독서와 지식의 풍경』, 돌베개, 2015. | 미소장 |
4 | 정두희, 『朝鮮時代 人物의 再發見』, 一潮閣, 1997. | 미소장 |
5 | 정두희, 『조광조: 실천적 지식인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아카넷, 2000. | 미소장 |
6 | 정두희, 『내 안에 살아 숨쉬는 역사』, 청어람미디어, 2004. | 미소장 |
7 | 정두희, 『왕조의 얼굴: 조선왕조의 건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 미소장 |
8 | 정두희・계승범, 『유자광: 조선의 영원한 이방인』, 푸른역사, 2023. | 미소장 |
9 | 정두희 외, 『장희빈, 사극의 배반』, 소나무, 2004. | 미소장 |
10 | 정두희 편,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 미소장 |
11 | 데이비드 로웬덜, 김종원・한명숙 역, 『과거는 낯선 나라다』, 개마고원, 2006. | 미소장 |
12 | 자오위안, 홍상훈 역, 『생존의 시대: 명청 교체기 사대부 연구 2』, 글항아리, 2017. | 미소장 |
13 | 퀜틴 스키너, 황정아・김용수 역, 『역사를 읽는 방법』, 돌베개, 2019. | 미소장 |
14 | 김영두, 「中宗代 文廟從祀 論議와 朝鮮 道通의 形成」, 『사학연구』 85, 2007. | 미소장 |
15 | 김윤선, 「정약전론의 전개과정과 쟁점: 정약전과 천주교 ⑴」, 『교회사연구』 61, 2022. | 미소장 |
16 | 박현순, 「(서평) 조선후기 지성사를 다시 묻다」, 『역사와 현실』 100, 2016. | 미소장 |
17 | 윤선자, 「“고통 속에 꽃피운 영성-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의 생애에 대한 재조명”에대한 논평」, 『신학전망』 147, 2004. | 미소장 |
18 | 이규철, 「조선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2019~2020년)」, 『역사학보』 251, 2021. | 미소장 |
19 | 이기훈, 「발명왕 이순신과 잠수함이 된 거북선: 민족주의 신화의 형성과 확산」, 『역사비평』 121, 2017. | 미소장 |
20 | 이승수, 「공자에 대한 사마천의 의문과 반어적 확신: 「伯夷列傳」의 讀法 散論」, 『한문교육연구』 42, 2014. | 미소장 |
21 | 이정일, 「元均論」, 『역사학보』 89, 1981. | 미소장 |
22 | 정두희, 「『史記』 伯夷列傳에 대한 一考察: 司馬遷의 思想的 傾向과 관련하여」, 『全海宗博士華甲紀念 史學論叢』, 一潮閣, 1979. | 미소장 |
23 | 정두희, 「李重煥」, 『한국사 시민강좌』 3, 일조각, 1988. | 미소장 |
24 | 정두희, 「천주교 신앙과 유배의 삶, 다산의 형 정약전」, 『역사비평』 13, 1990. | 미소장 |
25 | 정두희, 「단종과 세조에 대한 역사소설의 검토: 세조의 찬탈을 찬양한 이광수와 김동인의 친일역사관」, 『역사비평』 18, 1992. | 미소장 |
26 | 정두희, 「趙光祖의 道德國家의 理想」, 『한국사 시민강좌』 10, 1992. | 미소장 |
27 | 정두희, 「李舜臣 硏究: 壬辰年 이후 그의 戰略과 丁酉再亂에 관한 再檢討」, 『李基白先生古稀紀念 韓國史學論叢(下)』, 一潮閣, 1994. | 미소장 |
28 | 정두희, 「송시열의 숭명배청론 재평가」, 『역사비평』 37, 1996. | 미소장 |
29 | 정두희, 「TV 사극 “용의 눈물”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 역사적 해석과 문학적 상상력」, 『중앙사론』 10・11, 1998. | 미소장 |
30 | 정두희, 「이순신: 개인의 아픔을 넘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장군」, 『한국사 시민강좌』30, 2002. | 미소장 |
31 | 정두희, 「고통 속에 꽃피운 영성: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의 생애에 대한 재조명」, 『신학전망』 147, 2004. | 미소장 |
32 | 정두희, 「李舜臣에 대한 記憶의 歷史와 歷史化」, 『한국사학사학보』 14, 2004. | 미소장 |
33 | 정두희, 「<단종애사>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명회>」, 『한국사 시민강좌』 41, 2007. | 미소장 |
34 | 정만조, 「조선후기 인물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물사연구』 1, 2004. | 미소장 |
35 | 한충희, 「조선전기 인물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물사연구』 1, 20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