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경력단절 중년여성의 명리변수와 자기효능감 및 우울감 관계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mingli-variabl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discontinued career / 신순옥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이론적 배경 3
2.1. 명리변수 - 십성 3
2.2. 경력단절 여성의 자기효능감 4
2.3. 중년여성의 우울감 5
3. 명리변수와 자기효능감 및 우울감 6
3.1. 관계분석 연구모형 6
3.2. 분석 결과 7
4. 검증결과 및 결론 12
4.1. 검증결과 12
4.2. 결론 13
References 14
[저자소개] 1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기승(2011), 『사주심리치료학(개정증보)』, 서울: 창해. | 미소장 |
2 | 김배성(2006), 『사주심리와 인간경영』, 서울: 창해. | 미소장 |
3 | 김현미(1999), 『여성의 일 찾기 세상 바꾸기 : 2000년 한국, 여성은 노동자가 될 수 없는가『, 서울: 또 하나의 문화. | 미소장 |
4 | 김기승(2014) 「대학생의 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순안(2012), 「갱년기 여성의 발달현상에 대한 태도와 폐경증상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2(2). | 미소장 |
6 | 김연희(2011), 「중년기여성의 자아분화와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인선(2005), 「경력단절 여성 경력지원프로그램의효과연구 - 서울지역 14개 여성인력개발센터를 중심으로」, 경영연구, 1(12). | 미소장 |
8 | 박금자, 이경혜(2002), 「중년기 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1). | 미소장 |
9 | 박은영(2004), 「여성사회복지사의 직장 가정갈등이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송옥현(1977), 「정신과 외래환자의 T he Self- Rating Depression Scale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16(1). | 미소장 |
11 | 오복자(1994), 「위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예측모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유혜숙(2006), 「지역교회 중년여성의 영적안녕과 노화에 대한 태도 및 우울의 관계」, 고신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이안나(2014),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이희정, 김금미(2010),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장벽지각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2). | 미소장 |
15 | 차영란, 김기범, 전경숙(2007), 「중년여성의 일상생활속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2(3). | 미소장 |
16 | 최성희(2001), 「기혼여성의 성역할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Betz, N. E., & Hackett, G.(1983).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the selection of science-based college maj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3(3). | 미소장 |
18 | Nauta, M. M., Epperson, D. L., & Kahn, J. H.(1998). A multiple group analysis of predictors of high level career aspirations among women in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4). | 미소장 |
19 | Matsui, T., Matsui, K., & Ohnishi, R.(1990). Mechanism underlying math self-efficacy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