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방송 환경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과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방송 매체 및 관련 기술들이 공존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리얼리티’라는 방송연구의 오래된 주제를 탐구한다. 2020년 이후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의 복합체를 이용해 고인(故人)의 목소리나 외형을 복원하는 방송 콘텐츠가 증가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이 같은 프로그램에서 지금까지 방송연구에서 논의해 온 것과 결이 다른 리얼리티를 두 가지 층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첫번째는 ‘실재’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것의 리얼리티가 인공지능과 텔레비전 등 기계들의 연결망에 의해 구성되는 과정이고, 두 번째는 고인복원이라는 소재를 통해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라는 친숙한 방송 장르를 통해 매개됨으로써 획득하는 생소한 기술과 기계에 대한 리얼리티다. 이 연구는 tvN STORY 예능 프로그램 〈회장님네 사람들〉 중 2023년 1월 23일 방영된 고(故) 박윤배 복원 에피소드를 사례로 탐구하고, 사례에 나타난 ‘기계들의 연결망이 만들어내는 리얼리티 경험’과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통해 구성하는(새로운) 기계에 대한 리얼리티 감각’을 인공지능 기술과 함께 논의해야 할 리얼리티의 경계로서 서술한다.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기술 환경 안에서 방송 매체가 적응하고 진화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구성되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감각을 사례를 통해 가시화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명진 (2019).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상호텍스트성과 상호주관적 실재의 구성: <효리네 민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33권 3호, 5∼44. 미소장
2 김명진 (2020).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매체성 고찰. 《한국방송학보》, 34권 5호, 40∼77. 미소장
3 김미라 (2011). 리얼리티 오디션 쇼의 인지된 진정성 차원과 수용자 관여, 재미와의 관계 연구. 《한국방송학보》, 25권 6호, 88∼124. 미소장
4 김수정 (2011).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서구조와 문화정치학. 《방송문화연구》, 23권 2호, 37∼72. 미소장
5 김예란·박주연 (2006).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7∼48. 미소장
6 김현주 (2011). 《생활밀착형 휴먼 다큐멘터리 제작행태에 관한 연구: KBS 2TV ‘다큐멘터리 3일’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7 김훈순·김은정 (2000). 한국 멜로 영화의 장르 연구: 관습의 반복과 변형. 《한국방송학보》, 14권 1호, 113∼154. 미소장
8 류웅재·박진우 (2012).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론: 프로그램의 채택과 제작과정에 대한 생산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139∼165. 미소장
9 양진샘 (2016). 《‘관찰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일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나혼자 산다>의 텍스트와 수용자 분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미소장
10 원용진·김지만 (2012).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 현상. 《대중서사연구》, 28집, 319∼361. 미소장
11 유건식 (2022. 8. 3). 한국 TV드라마의 제작 환경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네이버 IP/구독/콘텐츠. URL: https://contents.premium.naver.com/big/highres/contents/220803132644139pc 미소장
12 윤태진 (2011). 정서적 참여와 실재(reality)의 재구성: 한국 리얼리티 텔레비전 쇼의 작동방식에 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23권 2호, 7∼36. 미소장
13 이동후 (2015). 뉴미디어의 이해: 미디어 생태학의 지적 실천화 함의. 《한국방송학보》, 29권 5호, 32∼66. 미소장
14 이동후 (2021). 《미디어는 어떻게 인간의 조건이 되었는가: 미디어 생태학적 통찰》. 서울: 컬처룩. 미소장
15 이설희·한희정 (2019). 외국인 여행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민족/국가 재현: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95호, 163∼193. 미소장
16 이종수 (2004). 《TV 리얼리티: 다큐멘터리,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서울: 한국. 미소장
17 이헌율 (2015). 한국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실제성 구현 연구: <1박 2일>에 나타난 제작진 노출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241∼272. 미소장
18 이희승 (2011). 지상파 리얼 버라이어티의 한국 지역적 특징과 수용의 쾌락. 《언론과학연구》, 11권 3호, 207∼237. 미소장
19 이희은 (2011).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언론과 사회》, 19권 2호, 2∼46. 미소장
20 장인철 (2023. 3. 8). “‘응삼이’ 버추얼휴먼, AI 가상인간의 미래 보여줬다”. 《한국일보》. URL: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30815370003006? did=NA 미소장
21 전규찬 (2012). ‘포스트텔레비전론’의 교차점. 한국방송문화연구회 (편), 《TV 이후의 텔레비전》 (85∼114쪽). 파주: 한울 미소장
22 정태섭 (2019). 시각특수효과의 드라마 적용사례에 관한 연구: <태양의 후예>, <미스터션샤인>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권 3호, 400∼406. 미소장
23 채희상 (2009). 디지털 영화의 ‘리얼리즘’ 재개념화에 관한 연구. 《영상예술연구》, 15집, 75∼94. 미소장
24 최성민 (2010).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인문콘텐츠》, 18호, 125∼146. 미소장
25 홍순구 (2005). 3D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 제작에 관한 연구: 3D 디지털캐릭터의 표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1권 2호, 147∼162. 미소장
26 홍지아 (2009).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우리 결혼했어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3권 2호, 567∼608. 미소장
27 Andrejevic, M. (2004). Reality TV: The work of being watched. Lanham, MD: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미소장
28 Benjamin, W. (2008). The work of art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London, UK: Penguin UK. 미소장
29 Berger, P. L., & Luckmann, T. (1966).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하홍규 (역) (2013). 《실재의 사회적 구성》. 서울: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30 Bolter, J. D., & Grusin, R (2000).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Cambridge, MA: MIT Press. 미소장
31 Couldry, N. (2005). Media rituals: A critical approach. London, UK:Routledge. 미소장
32 Elsaesser, T., & Buckland, W. (2002). Studying contemporary american film. London, UK: Arnold. 미소장
33 Killborn, R. (1994). How real can you get? Recent developments in “reality”televis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9(4), 421∼440. 미소장
34 Kittler, F. A. (1999). Gramophone, film, typewriter.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5 Murray, S. (2004). “I think we need a new name for it”: The meeting of documentary and reality TV. In S. Murray & L. Ouellette (Eds.),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pp. 65∼81). New York, NY:NYU Press. 미소장
36 Turnock, J. A. (2015). Plastic reality: Special effects,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1970s blockbuster aesthetics.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