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령 지역의 고대 사회와 백제 = Ancient society in the Boryeong region and Baekje 강유나 p. 5-46

666년~668년 전쟁에서 淵男生의 鄕導 역할에 대한 考察 = A study on the guiding role of Yeun Namsaeng(淵男生) in the war from 666 to 668 정원주 p. 47-95

고려전기 왕릉과 배릉 의례 = Ancestral rituals of the royal tombs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김아네스 p. 97-137

18세기 南龍萬의 천인이원적 사유와 현실 인식 = Nam Yongman's division of heaven from humans and his perception of reality in 18th-century Korea 조성산 p. 139-182

『임오유월일기』를 통해 본 명성황후의 피난 생활과 황후 호칭 再考 = Empress Myeongseong's life in refuge as seen from 『Im-O-Yu-Wol Diary』 and reconsideration of the title of the empress 장영숙 p. 183-212
러일전쟁기 고종의 콜브란&보스트윅사에 대한 전기·수도·광업 이권 허가 = “Concession issued under shadow of war” : the electricity, water, and mining concessions granted to Collbran & Bostwick Co.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 the contents of the contracts and suspicion around the background of three concessions : 계약 내용과 허가를 둘러싼 의혹을 중심으로 김희연 p. 213-250
『심상소학국사 보충교재』의 대한제국 시기 사건에 대한 서술 분석 = Korean Empire as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 of common school in the early 1920s : focusing on Simsangsohakguksa-bochungkyojae(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 김보림 p. 251-288
한국 부랑인 혐오의 계보학 = Genealogy of vagrant disgust in Korea : focusing on vagrant policy the 1930s :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대응을 중심으로 예지숙 p. 289-318

학습자 질문 중심의 역사수업 방안 모색 = Exploring history class courses centered on learner questions : focusing on the process of history class that selects the subject of inquiry : 탐구 주제를 선정하는 역사수업의 과정을 중심으로 김수미 p. 319-373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정정재판)』 卷一, 1920. 12. 15. 미소장
2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정정재판)』 卷二, 1921. 3. 25, 미소장
3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敎授參考書』 卷二, 1922. 12. 25, 미소장
4 오성철,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미소장
5 장신 편, 『조선총독부 교과서 총서(역사편)』 1, 청운, 2005. 미소장
6 한철호 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14. 미소장
7 旗田外, 『朝鮮人兒童に對する朝鮮總督府の歷史敎育: 第二次朝鮮敎育令下の歷史敎科書, 日本は朝鮮で何を敎えたか』, 東京:あゆみ出版』, 1987. 미소장
8 강명숙,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 연구」, 『교육사상연구』 23-3, 2009 미소장
9 기유정,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과 “조선의식”의 형성-3·1 운동 직후“내지연장주의”논의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6, 2011. 미소장
10 김서은, 「근대 일본의 朝鮮史 만들기와 역사왜곡 실태 분석」, 『일본어문학』 79, 2017. 미소장
11 문동석, 「일제 강점기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교과서 : 『보통학교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43-4, 2004. 미소장
12 박범희, 「일제시대 초등학교 역사교과서 내용 분석『보통학교국사와초등국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미소장
13 박제홍, 「4년제 보통학교를 통한 일제의 동화와 차별교육-조선총독부편찬 4년제 보통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日本語敎育』 83, 2018. 미소장
14 박찬교, 「조선총독부 편찬『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역사 인식, 『역사교육연구』 24, 2016. 미소장
15 박현옥, 「일제하 역사교과서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보통학교 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25, 2007. 미소장
16 佐野通夫, 「1910년대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역사」, 『교육한국독립운동사연구』 38, 2011. 미소장
17 윤태영,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조선 인식과 '제국의 꿈'」 , 『한국근현대사연구』 45, 2008. 미소장
18 이명화, 「지배이데올로기와 국사교과서: 일제총독부 간행 역사교과서와 식민사관」, 『역사비평』, 1991. 미소장
19 이명화, 「조선총독부 학무국 운영과 식민지교육의 성격」, 『서울과 역사』 69, 2007. 미소장
20 이명화, 「헤이그 특사가 국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한국독립운동사 연구』29, 2007. 미소장
21 장미경, 「일제강점기 초등<歷史敎科書>에 나온 ‘朝鮮王’ 과 ‘天皇’ 서술 비교 考察 -1920년〜1930년대의 ‘보충’과 ‘정식’ 교과서를중심으로-」, 『일어일문학』 91, 2021. 미소장
22 장 신, 「일제하 초등학교 교사의 조선사 인식」, 『정신문화연구』 31-2, 2008. 미소장
23 조성운, 「일제하 문화통치기 보통교육의 확대와 『보통학교국사』의한국근대사 서술 검토」, 『일본학』 39, 2014. 미소장
24 차유미, 「일제강점기 <國史>의 敍事 고찰 : -『普通學校國史』와『初等國史』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25 崔敭鎬, 「日帝 統治期 韓國에 있어서의 初等歷史敎育科程硏究」, 『歷史敎育』 48, 1990. 미소장
26 최혜주, 「식민지 조선과 대만의 역사교과서 비교 연구 -『普通學校國史』와 『公學校用 日本歷史』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7, 2022. 미소장
27 현명철, 「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한일 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40, 2011. 미소장
28 權五鉉, 「朝鮮總督府下における歷史敎育內容史硏究 : 國民意識形成論理を中心に」, 廣島大學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