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정정재판)』 卷一, 1920. 12. 15. | 미소장 |
2 |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정정재판)』 卷二, 1921. 3. 25, | 미소장 |
3 | 朝鮮總督府, 『尋常小學國史補充敎材敎授參考書』 卷二, 1922. 12. 25, | 미소장 |
4 | 오성철,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 미소장 |
5 | 장신 편, 『조선총독부 교과서 총서(역사편)』 1, 청운, 2005. | 미소장 |
6 | 한철호 외, 『고등학교 한국사』, 미래엔, 2014. | 미소장 |
7 | 旗田外, 『朝鮮人兒童に對する朝鮮總督府の歷史敎育: 第二次朝鮮敎育令下の歷史敎科書, 日本は朝鮮で何を敎えたか』, 東京:あゆみ出版』, 1987. | 미소장 |
8 | 강명숙, 「일제시대 제2차 조선교육령 개정 과정 연구」, 『교육사상연구』 23-3, 2009 | 미소장 |
9 | 기유정,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과 “조선의식”의 형성-3·1 운동 직후“내지연장주의”논의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76, 2011. | 미소장 |
10 | 김서은, 「근대 일본의 朝鮮史 만들기와 역사왜곡 실태 분석」, 『일본어문학』 79, 2017. | 미소장 |
11 | 문동석, 「일제 강점기 초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의 변천과 교과서 : 『보통학교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43-4, 2004. | 미소장 |
12 | 박범희, 「일제시대 초등학교 역사교과서 내용 분석『보통학교국사와초등국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미소장 |
13 | 박제홍, 「4년제 보통학교를 통한 일제의 동화와 차별교육-조선총독부편찬 4년제 보통학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日本語敎育』 83, 2018. | 미소장 |
14 | 박찬교, 「조선총독부 편찬『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의 편찬 배경과역사 인식, 『역사교육연구』 24, 2016. | 미소장 |
15 | 박현옥, 「일제하 역사교과서와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보통학교 국사와 초등국사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25, 2007. | 미소장 |
16 | 佐野通夫, 「1910년대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역사」, 『교육한국독립운동사연구』 38, 2011. | 미소장 |
17 | 윤태영, 「호소이 하지메(細井肇)의 조선 인식과 '제국의 꿈'」 , 『한국근현대사연구』 45, 2008. | 미소장 |
18 | 이명화, 「지배이데올로기와 국사교과서: 일제총독부 간행 역사교과서와 식민사관」, 『역사비평』, 1991. | 미소장 |
19 | 이명화, 「조선총독부 학무국 운영과 식민지교육의 성격」, 『서울과 역사』 69, 2007. | 미소장 |
20 | 이명화, 「헤이그 특사가 국외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한국독립운동사 연구』29, 2007. | 미소장 |
21 | 장미경, 「일제강점기 초등<歷史敎科書>에 나온 ‘朝鮮王’ 과 ‘天皇’ 서술 비교 考察 -1920년〜1930년대의 ‘보충’과 ‘정식’ 교과서를중심으로-」, 『일어일문학』 91, 2021. | 미소장 |
22 | 장 신, 「일제하 초등학교 교사의 조선사 인식」, 『정신문화연구』 31-2, 2008. | 미소장 |
23 | 조성운, 「일제하 문화통치기 보통교육의 확대와 『보통학교국사』의한국근대사 서술 검토」, 『일본학』 39, 2014. | 미소장 |
24 | 차유미, 「일제강점기 <國史>의 敍事 고찰 : -『普通學校國史』와『初等國史』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소장 |
25 | 崔敭鎬, 「日帝 統治期 韓國에 있어서의 初等歷史敎育科程硏究」, 『歷史敎育』 48, 1990. | 미소장 |
26 | 최혜주, 「식민지 조선과 대만의 역사교과서 비교 연구 -『普通學校國史』와 『公學校用 日本歷史』를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7, 2022. | 미소장 |
27 | 현명철, 「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한일 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연구』40, 2011. | 미소장 |
28 | 權五鉉, 「朝鮮總督府下における歷史敎育內容史硏究 : 國民意識形成論理を中心に」, 廣島大學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