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지역사회의식, 지역사회발전,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e experiential marine sport event on community consciousness,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김종백 ; 이재빈 1

Abstract 1

Ⅰ.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 가설 3

Ⅱ. 연구 방법 4

1. 연구 대상 4

2. 조사 도구 5

3. 조사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7

4. 자료처리 7

Ⅲ. 연구 결과 7

1.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분석 7

2.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지역사회의식에 미치는 영향 8

3.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지역사회발전에 미치는 영향 9

4.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10

Ⅳ. 논의 10

Ⅴ. 결론 및 제언 13

참고문헌 15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태권도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학생선수의 스포츠 능력믿음 및 의도적 연습의 인과적 관계 = The relationship of taekwondo coaches' feedback types, student-athletes' sport ability belief and deliberate practice 하정희, 윤상용 p. 1-17

보기
PageRank 알고리즘 활용한 태권도 선수들의 랭킹 산정 = Evaluation of taekwondo players' ranking using the PageRank algorithm 손해련, 이성노, 김만근 p. 19-34

보기
해양스포츠체험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가 지역사회의식, 지역사회발전,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of the experiential marine sport event on community consciousness,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김종백, 이재빈 p. 35-50

보기
요트대회 개최지의 지역 이미지가 지역발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egional image of sailing championship venue on regional developmen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이재빈 p. 51-62

보기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그릿 영향 요인 = Grit influencing factors in taekwondo college athlete : focusing on goal perception, perceptions of error, failure mindset : 목표인식, 실수인식, 실패마인드셋을 중심으로 신준하, 김송은, 윤상용 p. 63-77

보기
태권도 수련생의 운동몰입이 운동지속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ees' commitment to exercise on exercise continuation and life satisfaction 주진만 p. 79-94

보기
세계태권도한마당 경기의 활성화 방안 = Vitalization plans for the World Taekwondo Hanmadang Competition 정현도, 박동수 p. 95-109

보기
신경근 훈련이 태권도 시범선수의 순발력과 및 평형성 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neuromuscular training on power and balance in taekwoon-demonstration 박명수, 박우영 p. 111-122

보기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호석(2009). 지역축제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와 방문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어촌관광학회지, 16(2), 25-47 미소장
2 김도훈, 김진국(2014).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지역사회 기여도와 지역이미지, 스포츠경기 유치의사와의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9(3), 149-160. 미소장
3 김정락, 조태수(2014). 스포츠 이벤트 환경이 만족도, 경영성과, 재방문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6, 261-276. 미소장
4 김정희, 엄대영, 박상윤(2001). 해양스포츠관광을 통한 지역발전인식이 지역주민의식과 사회적 자본형성에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86, 123-133. 미소장
5 김종규(2013). 스포츠이벤트 레거시와 지역발전 및 주민협력과의 관계 -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지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8, 101-116. 미소장
6 김종백, 조우정(2014). 해양스포츠이벤트 평가속성이 도시마케팅 자산 및 도시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9(6), 1-15 미소장
7 김종백, 최의열, 조우정(2022). 해양레저관광 마케팅믹스 만족도가 관여도 및 재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0, 117-125. 미소장
8 김찬룡, 남용진, 변영선(2016). 「해양스포츠이벤트 관람자의 만족도가 도시이미지와 지역사회 의식에 미치는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5(1), 97-105. 미소장
9 김찬룡, 이재빈, 장승현(2017). 해양스포츠 이벤트 관람자의 이미지, 만족도가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5부산컵 세계여자매치레이스 요트대회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6(1), 53-65 미소장
10 남호성(2010). 메가 스포츠 이벤트 유치가 지역사회의식과 사회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1 문개성(2018). 국제스포츠이벤트의 지역발전 기대효과, 지역 지지도 및 행동의도 관계 - 무주 WTF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7(4), 479-494. 미소장
12 문화관광부(2019). 경제 성장을 이끄는 스포츠산업, 제3차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 계획(2019년-2023년). 미소장
13 양광호(2013). 스포츠이벤트 개최지 브랜드자산이 참여자 만족 및 참여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미소장
14 양종훈, 이인환(2015). 지역 스포츠이벤트 개최가 지역사회애착, 지역주민의식 및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3(1), 191-200. 미소장
15 양한빛, 김호철(2015).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효과: 인천아시안게임을 사례로. 한국도시재생학회지, 1(2), 51-73. 미소장
16 염두승(2016).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지역주민의 협력의사가 지역발전 및 스포츠문화에 미치는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1-12. 미소장
17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22). 국정목표 3. 풍요로운 어촌, 활기찬 해양.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 p. 126. 미소장
18 이유찬(2005). 지역사회 애착도와 스포츠이벤트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4 187-196. 미소장
19 이재빈(2017).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해양스포츠활성화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미소장
20 이태균, 김규순(2008). 지역 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람객 만족요인 연구-2007 전국 초등학교 축구대회를사례로-. 대한관광경영학회지, 22(4), 133-150. 미소장
21 임우택, 박용범(1999), 지역활성화를 위한 스포츠이벤트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8(2), 87-97. 미소장
22 장인석, 오연풍(2022). 중국의 동계스포츠이벤트가 지역발전, 스포츠관광, 주민협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0(3), 615-626. 미소장
23 정관함(1996). 지역활성화를 위한 이벤트와 지역축제 진흥방안 - 지역축제이벤트의 관광자원화를 중심으로 -. 지방행정연구, 11(3), 3059-3082 미소장
24 정윤덕(2023).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국내 스포츠이벤트의 핵심성공요인 분석: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체육학회지, 62(1), 359-379 미소장
25 전호문, 김현아, 김민환(2012). 지역스포츠이벤트에 대한 지역발전 기대요인이 지역주민의 협력효과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1(5), 447-456. 미소장
26 조우정(2011).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스포츠이벤트 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3, 327-336. 미소장
27 조우정(2013). AHP기법을 활용한 해양스포츠이벤트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52, 197-210. 미소장
28 지민준(2011). 스포츠이벤트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 고객충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벤션학회지, 11(1), 47-6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