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민담이 한국인의 가치, 세계관 등을 학습하기에 유용한 텍스트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민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속 가치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이를 한국어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구전되어 온 민담을 학습할 때는 과거의 가치가 현대에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야 함을 강조하며, 구전된 내용을 비교적 자세히 기록한 초기의 기록본과 이를 개작한 여러 출판사의 전래동화 및 초등 교과서 수록본을 함께 비교하여 가치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작품 분석 결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민담에는 모성애에 대한 가치, 호랑이에 투사된 가치로서 악한 자에 대한 응징, 지혜와 해학의 가치, 권선징악의 가치와 기복신앙, 남매의 우애에 대한 가치, 그리고 후대에 강조된 가치로 독립, 자립에 대한 가치 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치를 한국어 수업에 활용할 때에는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의 민담과 학습자 나라의 민담을 상호 비교하여 문화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하고 서로 간의 문화를 존중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통시적 관점에서 민담 속 가치의 현재성을 확인하여 가치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민담의 여백을 학습자들이 상상력으로 채워갈 수 있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민담의 가치 요소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Folktales are useful texts for learning about Korean values and worldvi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tail the themes and value elements in the Korean folktal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to suggest ways to utilize th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when learning traditional folktales, it's essential to consider how past values manifest in the modern context through a chronological lens. By comparing early written records that detailed the orally transmitted content and various adaptations in subsequent published version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s an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study identify the shifts and changes in valu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folktal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encompasses values related to maternal love, retribution against wrongdoers personified in a tiger, values of wisdom and overcoming challenges, the concept of righteous vengeance, loyalty and belief, sibling camaraderie, and the emphasized values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later generations. To incorporate these values effectively into Korean language classes, this study suggests a cross-cultural approach that involves comparing folktale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is approach fosters an understanding of both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cultures, promoting deep mutual cultural comprehension and respect through well-structured lessons.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s designing lessons that consider the contemporaneity of folktales' values within a temporal context. This involves allowing students to fill in the narrative gaps with their imagination, enhancing engagement and interpretation.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종철. 2007. 미래사회에서의 전문 활동과 국어능력 : 학문과 국어교육. 국어교육 122:23-44. 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2 | 교육부(200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 미소장 |
3 | 김기중(2007), 문학교육 방법에 관한 일 고찰: 『아기 돼지 삼형제』의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 미소장 |
4 | 김미진‧이지현(2007), 아기돼지 삼형제의 패러디 동화 분석:문학적 요소를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13, 1-24. | 미소장 |
5 | 김세진(2006), 설화의 전래동화적 변모양상과 교수-학습론 연구: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6 | 김열규(1971), 『한국민속과 문학연구』, 일조각. | 미소장 |
7 | 김용석(2000), 『미녀와 야수, 그리고 인간』, 서울: 푸른숲. | 미소장 |
8 | 김용환(1989), 어린이 한국의 동화 전집 중 『해님과 달님』, 계몽사. | 미소장 |
9 | 김진석(2015),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과 다문화 교육』,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0 | 김현숙(2021),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논문. | 미소장 |
11 | 김현주(2004), 호랑이 소재 민담과 민화의 유형 분류와 무의식 분석, 『구비문학연구』19, 57-85. | 미소장 |
12 | 김호경(2021), 전래동화의 문화적 각색과 역할: 디즈니 애니메이션 <아기돼지 삼형제>,『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제 10 권 제 3 호(2021), 275-292. | 미소장 |
13 | 나선희(2019), 패러디 그림책 읽기가 아동의 자기 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스토리&이미지텔링』18, 15-40. | 미소장 |
14 | 박미연(2014), 국어 교과서 소재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똥의 의미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5 | 박선영(2014), 며느리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 11-3, 121-149. | 미소장 |
16 | 박수진(2011),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책표지 그래픽의 표현과 해석 차이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7 | 박인하(2006), 『꿈과 환상을 만들어 파는 사업가 월트 디즈니 vs 인간 가치를 꿈꾸게 하는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서울: 숨비소리. | 미소장 |
18 | 박정세(199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민담에 투영된 역사적 현실과 민중의 희망,『신학사상』94, 192-211. | 미소장 |
19 | 박종성(200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유형들의 견주어 읽기 - 루마니아에서 동북아시아, 그리고 한국으로-. 『한국문학논총』44, 5-32. | 미소장 |
20 | 서대석(1989), 한국 신화와 민담의 세계관 연구, 『국어국문학』101, 5-26. | 미소장 |
21 | 성기열(1979), 『한일민담의 비교연구』, 일조각. | 미소장 |
22 | 성홍희(2020), 한국 전래동화 『빨간부채 파란부채』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방안 : 중도입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진주교육대학교 석사논문. | 미소장 |
23 | 손동인(1980), 전래동화의 교훈(해설), 『한국전래동화집 1』,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24 | 손동인(1984), 『한국 전래동화 연구』, 정음문화사. | 미소장 |
25 | 손동인‧이준연‧최인학 엮음(1991), 『<해님과 달님이 된 오누이>』, 사계절. | 미소장 |
26 | 손진태(1930), 『조선민담집』, 동경, 향토문화사. | 미소장 |
27 | 손진태(1947), 『한국민족설화의 연구』, 을유문화사. | 미소장 |
28 | 손열(2019), PP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해님 달님>설화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송병건(2017), 『세계화의 풍경들: 그림의 창으로 조망하는 세계 경제 2 천 년』, 파주: 아트북스. | 미소장 |
30 | 신수진‧최준식(2002) | 미소장 |
31 | 신은경(2014), 래동화 그림책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숨겨진 ‘역망’에 대한 의미와 표현에 관한 연구라칼릐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32 | 에드워드 홀‧최효선 역(2000),『문화를 넘어서』, 한길사, 2000. | 미소장 |
33 | 안미영(2008),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 『한국학』31-4, 107-130. | 미소장 |
34 | 염희경(2003),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타난 호랑이상-설화와 전래동화 비교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5, 5-38. | 미소장 |
35 | 오윤선(2016), 한국문화교육 제재로서 설화의 선정과 교재화 방향, 『고전문학과 교육』31, 113-143. | 미소장 |
36 | 오출세(1996), 민담에 나타난 호랑이 고찰-골계담을 중심으로-, 『동구어문논집』31, 257-275. | 미소장 |
37 | 왕매․민정호(2021), 전래동화 비교를 통한 상호문호교육 방안 연구:중국 한국어학과 대학생들의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10-5, 159-182. | 미소장 |
38 | 왕술영(2023),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39 | 윤여탁(2013),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한국언어문화학』10-2, 149-176. | 미소장 |
40 | 윤영(2014), 문학을 통한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 방안-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40, 207-243. | 미소장 |
41 | 윤영(2016), 국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재 개발 방향 - 상호문화주의 관점의 반영을 바탕으로 -, 『인문사회과학연구』50, 33-55. | 미소장 |
42 | 윤영(2019), 한국어교육에서 고전설화를 활용한 ‘효’의 가치 교육 방안 연구: 『삼국유사』「孝善」編의 효행 설화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25-1, 769-792. | 미소장 |
43 | 이명애(2013), 『교과서 속 전래동화 쏙쏙 뽑아 읽기 : 2 학년 개정교과서 수록』, 서울:풀빛. | 미소장 |
44 | 이부영(1973), 죽음과 구원의 상징, 『문학사상』제 5 호, 문학사상사, 1973 년 2 월호. | 미소장 |
45 | 이성희(1999), 설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한국어 교육』10-2, 257-271. | 미소장 |
46 | 이상아‧홍성철(2016), 동서양 웹 만화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 연구 : 한국 웹툰 <미생>과 미국 웹코믹스 <배트맨>의 내용분석을 바탕으로,『한국소통학보』15-1, 7-43. | 미소장 |
47 | 이수진(2014.), 변형과 확장의 스토리텔링: 『아기 돼지 삼형제』 패러디 그림책을 중심으로, 『근대 영미 소설』 21(3), 127-153. | 미소장 |
48 | 이완기・김진석・장은숙(2012), 『문화 속의 영어 영어 속의 문화』, 서울: 제이와이북스. | 미소장 |
49 | 이원수・손동인 엮음(1980), 『한국 전래동화집 1』, 창작과 비평사. | 미소장 |
50 | 이지영(2008),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전승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15, 171-215. | 미소장 |
51 | 이지영(2009),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의 동북아 지역 전승 양상과 그 특징, 『동아시아고대학』20, 275-311. | 미소장 |
52 | 임재해(2012), 설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다중적 상징과 민중의 권력 의식,『실천민속학연구』19, 187-232. | 미소장 |
53 | 장한업(2014),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다문화 사회의 교유적 대안』파주:교육과학사. | 미소장 |
54 | 정소영(2006),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전래동화의 설화수용의식과 교육적 의미,『새국어교육』73, 187-206. | 미소장 |
55 | 정운채(2007),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녀서사의 어머니, 문학치료연구 6, 231-252 | 미소장 |
56 | 조동일 외(2015), 한국문학강의(개정판), 길벗. | 미소장 |
57 | 최운식․김기창(1998),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 미소장 |
58 | 최운식(1999), 『한국의 민담』, 시인사. | 미소장 |
59 | 허정금(2007), 『‘해와 달이 된 오누이’형 옛이야기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60 | Collie&Slater(1987) | 미소장 |
61 | Gillian Lazar(1993), Literature and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62 | Hofstede, G. (1984). Culture’s Consequences. London, UK: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63 | Zong In Sob(1972), Folk Tales from Korea, LONDON Univ.,1952.(2nd ed, Seoul Korea:Hollym CORP).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