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원택(2002). 투표 불참과 정치적 불만족: 기권과제3당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보, 36집 2호, 153-174. | 미소장 |
2 | 권예지·이지영·양소은(2021). 소셜 뉴스 이용과뉴스 관여가 세대별 정치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5권 1호, 5-34. | 미소장 |
3 | 금혜성(2014). 18대 대통령 후보들의 뉴미디어 선거전략 평가. 21세기정치학회보, 24집 1호, 121-143. | 미소장 |
4 | 김대욱·이승종(2008). 정부신뢰의 참여에 대한 효과. 한국사회와행정연구, 18권 4호, 43-62. | 미소장 |
5 | 김동윤·박현식(2015). 관여도에 따른 트위터 이용자의 읽기와 쓰기 행위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9권 1호, 93-114. | 미소장 |
6 | 김용철·윤성이(2004). 제17대 총선에서 인터넷의영향력 분석: 선거관심도와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8집 5호, 197-216. | 미소장 |
7 | 김정기(1997). 대학생 유권자의 국회의원 선거뉴스시청과 시청 효과. 한국언론학보, 40호, 5-48. | 미소장 |
8 | 김정기·이정기(2011). 대학생 유권자의 텔레비전선거뉴스 시청 동기와 투표정보효과 및 투표참여효과에 관한 연구: 2010년 제5회 전국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21호, 121-164. | 미소장 |
9 | 문용필(2021, 4, 22). 서울시민 61% ‘4·7 보궐선거언론보도가 사회갈등 유발’. The PR Times,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 html?idxno=46781. | 미소장 |
10 | 문원기·이수범(2015). 소셜미디어가 정치참여에미치는 영향 :국내 문헌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보, 59권 4호, 133-162. | 미소장 |
11 | 민영·주익현(2007). 사회자본의 민주주의 효과: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이 정치적 관심과신뢰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190-217. | 미소장 |
12 | 박상호(2009). 포털뉴스 이용동기가 인터넷 자기효능감, 정치적 신뢰, 정치냉소주의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5), 153-175. | 미소장 |
13 | 박성희·최준호(2004).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간 상관관계에 대한 탐색적 비교 연구. 한국과 미국의 네티즌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8(4), 243-270. | 미소장 |
14 | 박정의(2002). 뉴스 미디어 연구에서 관여의 개념화와 유형화. 한국언론학보, 46권 6호, 5-32. | 미소장 |
15 | 박찬욱(2005). 한국인 정치참여의 특징과 결정요인: 2004년 조사결과 분석. 한국정치연구, 14권 1호, 147-193. | 미소장 |
16 | 송승환(2021, 3, 22). 40대만 서울·부산 모두 與우세…그들만 비껴간 정권심판론. 중앙일보, 5면. | 미소장 |
17 | 송종길·박상호(2006). 정치관여도, 미디어 중요성, 정치냉소주의와 정치효능감이 정치결정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권 3호, 166-197. | 미소장 |
18 | 송종길·이호영·박상호(2007). 선거보도 이용 동기가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7호, 157-198. | 미소장 |
19 | 심성욱·김운한(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2호, 342-376. | 미소장 |
20 | 안명규·류정호(2007). 인터넷 정치참여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이용자의 정치심리변수와 인터넷 사회자본(e-social capital)을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23호, 113-147. | 미소장 |
21 | 양정애·이현우(2013). 크로스플랫폼 뉴스소비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 격차: 정치지식, 정치효능감, 정치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7권 5호, 162-203. | 미소장 |
22 | 오영주(2020, 3, 6). 정보탐색 ‘네이버’ 압도적 1위, ‘유튜브’ 이용량 대폭 증가. 코스인코리아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 le.html?no=34894. | 미소장 |
23 | 유성진(2017). 촛불의 정치적 효과: 정치적 불만과참여의 활성화. 한국과 국제정치, 통권 99호, 1-25. | 미소장 |
24 | 유석진·이현우·이원태(2005). 인터넷의 정치적이용과 정치참여: 제17대 총선에서 대학생집단의 매체이용과 투표참여를 중심으로. 국가전략, 11권 3호, 141-169. | 미소장 |
25 | 이건혁(2002). 미디어 프레임이 부정 감정, 정치 냉소, 그리고 정치 효능성에 미치는 영향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46(3), 252-288. | 미소장 |
26 | 이원태(2004). 인터넷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2004년 한국의 17대 총선정국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7 | 이은주(2011).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댓글의 내용, 내용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 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보, 55권 3호, 179-198. | 미소장 |
28 | 이재신·이영수(2009). 정치정보 습득, 관여도, 정치적 불만과 정치참여 유형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53권 2호, 183-205. | 미소장 |
29 | 이준웅·김은미·문태준(2005). 사회자본 형성의커뮤니케이션 기초: 대중매체 이용이 신뢰, 사회연계망 활동 및 사회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9권 3호, 234-385. | 미소장 |
30 | 이창호·정낙원(2014). 소셜미디어 이용정도 및 이용동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개방형/폐쇄형 소셜미디어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65호, 5-26. | 미소장 |
31 | 이효성(2020). 유튜브의 정보추구 동기 및 이용이투표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21대 총선에서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통령 책임 변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통권 58호, 183-222. | 미소장 |
32 | 임혁백 (편)(2011). 한국 국민은 왜 정당을 불신하는가?. 서울: 한반도선진화재단. | 미소장 |
33 | 정낙원(2013).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의 정치참여 효과 매커니즘분석: “친구들”을 통한정보습득과 규범 인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권 2호, 273-294. | 미소장 |
34 | 조정현·반현(2006). 포털 뉴스 이용동기가 이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대 이용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17호, 193-232. | 미소장 |
35 | 조성동·나은경(2011). 매체의 이용 장르와 기능이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치참여에 대한정치심리 및 사회자본 변인의 역할을 고려하여. 한국방송학보, 25권 1호, 242-286. | 미소장 |
36 | 조진만(2011). 정보화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경험적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45권 5호, 273-296. | 미소장 |
37 | 최지향(2016). SNS 이용과 정치참여: 정치적 사회자본과 정보 및 오락추구 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권 5호, 123-144. | 미소장 |
38 | 하종원(2006). 대학생의 인터넷 정치참여에 관한연구: 정치효능감과 정치신뢰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32호, 369-405. | 미소장 |
39 | 홍원식(2011). 무엇이 대학생을 투표하게 하였는가?: 10.26 보궐선거를 통해 살펴본 대학생 투표의지 형성에 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23권, 327-359. | 미소장 |
40 | Abramson, R. R.(1983). Political attitudes in America. San Francisco, CA: W. H. Freeman. | 미소장 |
41 | Antil, J.(1984).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1), 203-209. | 미소장 |
42 | Bimber, B.(2001). Information and political engagement in America: The search for eff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individual level.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4(1), 53-67. | 미소장 |
43 | Cappella, J. N. & Jamieson, K. H.(1997). Spiral of cynicism: The press and the public goo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4 | Faber, R. J., Tims, A. R., & Schmitt, K. G.(1993). Negative political advertising and voting intent: The role of involvement and alternative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Advertising, 22, 67-76. | 미소장 |
45 | Farah, B. G., Barnes, S. H., & Heunks, F.(1979). Political dissatisfaction. In Samuel H. Barnes, Max Kaase, and others(433-439). Political action: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409-447. Beverly Hills:Sage. | 미소장 |
46 | Gil de Zúñiga, H., Jung, N., & Valenzuela, S.(2012). Social media use for news and individuals’ social capital, civic engagemen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7(3), 319-336. | 미소장 |
47 | Hirschman, A. O.(1970). Exit, voice, and loyalty:Responses to decline in firms, organizations, and states. Cambridge, MA; Harvra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8 | Jenning, K. M., & Zeitner, V.(2003). Politics and the virtual event: An overview of the Hill-Thomas hearings. Political Communication, 11(3), 263-275. | 미소장 |
49 | Johnson, B. T., & Early, A. H.(1989). Effects of involvement on persuas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Iletin. 106(2), 290-314. | 미소장 |
50 | Jung, N., Kim, Y., & Gil de Zúniga, H.(2011).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and efficacy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political participation.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14, 407-430. | 미소장 |
51 | Katz, E., Blumler, J. G., & Gurevitch, M.(1974). The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to mass communication. Beverly Hills, Calif. Sage. | 미소장 |
52 | Kaye, B. K., & Johnson, T. J.(2002). Online and in the know: Uses and gratifications of the web for political inform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6(1), 54-71. | 미소장 |
53 | Kim, J. Y., Shim, J. P., & Ahn, K. M.(2011), Social networking service: Motivation, pleasure, and behavioral intention to use.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s | 미소장 |
54 | Kim, J., & Rubin, A. M.(1997). The variable influence of audience activity on 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24(2), 107-135. | 미소장 |
55 | Kronsnick, J. A., & Brannon, L. A.(1993). The impact of the Gulf War on the ingredients of presidential evaluations:Multidimensional effects of political involvement.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7(4), 963-975. | 미소장 |
56 | Lo, V.(1994). Media use, involvement, and knowledge of the Gulf War. Journalism Quarterly, 71(1), 43-54. | 미소장 |
57 | Marien, S., Hooghe, M., & Quintelier, E.(2010). Inequalities in non-institutionalized forms of political participation. A multilevel analysis for 25 countries. Political Studies, 58(1), 187-213. | 미소장 |
58 | McLeod, J. M., & McDonald, D. G.(1985). Beyond simple exposure: Media orientations and their impact on political processes. Communication Research, 12(1), 3-33. | 미소장 |
59 | Norris, P., & Jones, P.(1998). Virtual democracy.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3(2), 1-4. | 미소장 |
60 | Pinkleton, B. E., & Austin, E. W.(2010). Individual motivations, perceived media importance, and political disaffection. Political Communication, 18(3), 321-334. | 미소장 |
61 | Putnam, R. D.(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Simon & Schuster. | 미소장 |
62 | Scheufele, D. A., & Tewksbury, D.(2007). Framing, agenda setting, and priming:The evolution of three media effects models. Journal of Communication, 57, 9-20. | 미소장 |
63 | Shah, D. V., Cho, J., Eveland Jr., W. P., & Kwak, N.(2005) Information and expressionin a aigital age: Modeling Internet effects on civic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earch 32(5), 531-565. | 미소장 |
64 | Sherif, M., & Cantril, H.(1947). The psychology of ego-involvements: Social attitudes and identifications. New York: Wiley. | 미소장 |
65 | Sherif, M., & Sherif, C. W.(1967). Attitude as the individual’s own categories: The social judgement involvement approach to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In C. W. Sherif and M. Sherif (Eds.), Attitude, ego-involvement, and change. New York: Wiley. | 미소장 |
66 | Siber, I.(2004). Interest in elections and electoral participation. Politicka misao, 41(5), 3-27. | 미소장 |
67 | Spiller, M. J.(2006). Race, class and the political behavior of African-American young adults, 1960-1998.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Montreal Convention Center, Montreal, Quebec, Canada. | 미소장 |
68 | Tolbert, C. J., & McNeal, R. S.(2003). Unraveling the effects of the Internet on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56(2), 175-185. | 미소장 |
69 | Wang, S. I.(2007). Political use of the Internet,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17(4), 381-395. | 미소장 |
70 | Weaver, D. H., Zhu, J. H., & Willnat, L.(1992). The bridging function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agenda-setting. Journalism Quarterly, 69(4), 856-867. | 미소장 |
71 | Zaichkowsky, J. L.(1994). Research notes: The personal involvement inventory: Reduction, revision, and application to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3(4), 59-70. | 미소장 |
72 | Zaichkowsky, J. L.(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341-352. | 미소장 |
73 | Zimmer, T. A.(1981). Media exposure to campaigns: Public anticipation and involvement in elections. Communication Research, 8(2), 189-2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