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진(2021). 아동권리측면에서 바라본 유아 미디어 이용과 교육. 육아정책포럼, 69, 15-22. | 미소장 |
2 | 김수지, 김영주, 이숙정, 박민규(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s://www.kpf.or.kr/synap/skin/doc.html?fn=1611041960998.pdf&rs=/synap/result/res earch/ | 미소장 |
3 | 김용숙, 강영식(2011). 유아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8), 3466-3471. https://doi.org/10.5762/KAIS.2011.12.8.3466 | 미소장 |
4 | 김은진(2021). ‘유튜브 육아’ 연구: 육아 과정에서어머니의 유튜브 이용과 통제.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5(3), 41-85. https://doi.org/10.47020/JLC.2021.08.25.3.41 | 미소장 |
5 | 김주련, 강설순(2010). 어머니의 TV시청 개입 유형에 따른 아동의 TV시청 조절 능력의 차이분석. 아동과 권리, 14(4), 585-607. | 미소장 |
6 | 김헌, 장병희(2022). 부모의 미디어 이용 중재가 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영향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알파 세대의 자기 통제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22(1), 126-163. http://dx.doi.org/10.14696/jcs.2022. 03.22.1.126 | 미소장 |
7 | 모아라(2017).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경험에 대한부모의 걱정 탐색.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4), 691-698. https://doi.org/10.9728/dcs.2017.18.4.691 | 미소장 |
8 | 박성우, 장지순(2021). 미디어 교육의 딜레마와 방향성 검토: 한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6(5), 109-134. https://doi.org/10.15815/kjcaes.2021.16.5. 109 | 미소장 |
9 | 변선주, 양혜련, 조경미(2022).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과 어머니의 디지털 페어런팅 실태및 경험: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9(2), 67-96. | 미소장 |
10 | 서은정, 마정미(2021). 유아의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양육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소통학보, 20(3), 123-160. https://doi.org/10.51652/ksmca.2021.20.3.4 | 미소장 |
11 | 안수빈, 홍예지, 박영아, 이강이(2020).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양육스트레스가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함께 사용여부의 매개효과 검증. 인간발달연구, 27(1), 185-205. http://dx.doi.org/10.15284/kjhd.2020.27.1.185 | 미소장 |
12 | 안정임(2003). 한국에서의 TV 시청중재 유형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7(6), 332-353. | 미소장 |
13 | 안정임(2008).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2(6), 230-266. | 미소장 |
14 |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2013).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절 인식간의 상관관계. 언론과학연구, 13(2), 161-192. | 미소장 |
15 | 양길석, 서수현, 옥현진(2021).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 행위 연구: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차이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59(0), 107-136. https://doi.org/10.17095/JRR.2021.59.3 | 미소장 |
16 | 이숙정, 전소현(2010).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6), 289-322. | 미소장 |
17 | 이순복(2021). 유아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화와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탐색. 아동교육, 30(4), 215-234. https://doi.org/10.17643/KJCE.2021.30.4.12 | 미소장 |
18 | 임경심, 김수향, 홍혜경(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자기조절력 및 자아존중감과의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203–221. | 미소장 |
19 | 조수선(2022). 어린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중재방식:전업어머니, 직장어머니, 아버지 집단의 차 이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24(1), 23-41. https://doi.org/10.15564/jeju.2022.3.24.1.23 | 미소장 |
20 | 조조수선, 김봉현(2021).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7), 45-57. https://doi.org/10.21184/jkeia.2021.10.15.7.45 | 미소장 |
21 | 진민정, 김반야, 박유신, 최숙(2020).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융합적 접근. 한국언론진흥재단. https://www.kpf.or.kr/synap/skin/doc. html?fn=1611279292115.pdf&rs=/synap/result/research/ | 미소장 |
22 | 최이숙, 김반야(2021).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육아 도우미’: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8), 515-525. https://doi.org/10.5392/JKCA.2021. 21.08.515 | 미소장 |
23 | Burroughs, B.(2017). YouTube kids: The app economy and mobile parenting. Social Media + Society, 3(2), 1-8. https://doi.org/10.1177/2056305117707189 | 미소장 |
24 | Cingel, D.P. & Krcmar, M.(2013) Predicting media use in very young children: The role of demographics and parent attitudes, Communication Studies, 64(4), 374-39. https://doi.org/10.1080/10510974. 2013.770408 | 미소장 |
25 | Clark, L. S.(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 미소장 |
26 | DTI & EAVI.(2011). Testing and refining criteria to assess media literacy levels in Europe–Final report. https://eavi.eu/wp-content/ uploads/2017/08/study_testing_and_refi ning_ml_levels_in_europe.pdf | 미소장 |
27 | Hobbs, R.(2010).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 미소장 |
28 | Kim, Y.K.. & Kim, C.(2022). Differences in preschooler selfregulation of media use by screen media use envrion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3(4), 441-454. https://doi.org/10.5723/kjcs.2022.43.4.441 | 미소장 |
29 | Kirwil, L.(2009).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in different European countries.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3(4), 394-409. https://doi.org/10.1080/17482790903233440 | 미소장 |
30 | Kucirkova, N., Messer, D., Sheehy, K.., & Panadero, C. F.(2014). Children’s engagement with educational iPad apps:Insights from a Spanish classroom. Computers & Education, 71, 175-184. http://dx.doi.org/10.1016/j.compedu.2013.10.003 | 미소장 |
31 | Livingstone, S., & Helsper, E. J.(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4), 581-599.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396 | 미소장 |
32 | Marsh, J.(2010). Young children’s play in online virtual world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8(1), 23-39. https://doi.org/10.1177/1476718X09345406 | 미소장 |
33 | Meeus, A., Eggermont, S., & Beullens, K.(2019). Constantly connected: The role of parental mediation styles and self-regulation in pre- and early adolescents’ problematic mobile device us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5(2), 119-147. https://doi.org/10.1093/hcr/hqy015 | 미소장 |
34 | Nathanson, A. I.(2001). Parent and child perspectives on the presence and meaning of parental television medi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5(2), 201-220.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502_1 | 미소장 |
35 | Rode, J. A.(2009). Digital parenting: Designing children’s safety. BCS-HCI ‘09Proceedings of the 23rd British HCI Group Annual Conference on People and Computers: Celebrating People and Technology Cambridge, UK: ACM Digital Library, 244-251. | 미소장 |
36 | Shin, W., & Huh, J.(2011). Parental mediation of teenagers’ video game playing:Antecedents and consequences. New Media & Society, 13(6), 945–962. https://doi.org/10.1177/1461444810388025 | 미소장 |
37 | Valkenburg, P. M., Krcmar, M., Peeters, A. L., & Marseille, N. M.(1999). Developing a scale to assess three styles of television mediation: “Instructive mediation,”“restrictive mediation,” and “social coviewing”. Journal of Broadcasting &Electronic Media, 43(1), 52-66. https://doi. org/10.1080/08838159909364474 | 미소장 |
38 | Warren, R.(2001). In words and deeds: Parental involvement and mediation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The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1(4), 211-231. https://doi. org/10.1207/S15327698JFC0104_01 | 미소장 |
39 | Warren, R.(2003). Parental mediation of preschool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7(3), 394-417. https://doi.org/10.1207/s15506878jobem4703_5 | 미소장 |
40 | Warren, R.(2005).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low-income families. Journal of Communication, 55(4), 847-863.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5.t b03026.x | 미소장 |
41 | Yelland, N.(2011). Reconceptualising play and learning in the lives of young children.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6(2), 4-12. https://doi.org/10.1177/183693911103600202 | 미소장 |
42 | Zaman, B., Nouwen, M., Vanattenhoven, J., de Ferrerre, E., & Van Looy, J.(2016). A Qualitative inquiry into the contextualized parental mediation practices of young children’s digital media use at hom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60(1), 1-22. https://doi.org/10.1080/08838151. 2015.112724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