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돈오김 소설의 소재 확장방식 = The topical extension method of Don'O Kim's novel / 윤정헌 1

차례 1

국문초록 1

Ⅰ. 서론 2

Ⅱ. 『내 이름은 티안』(My Name is Tian, 1968)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비정성 5

Ⅲ. 『암호』(Password, 1974)에 나타난 국제정치의 야누스적 생리 10

Ⅳ. 『차이나맨』(The Chinaman, 1984)에 나탁난 백호주의의 청산과제 14

Ⅴ. 『태극』(The Grand Circle, 2007)에 나타난 남북통일의 염원과 해법 18

Ⅵ. 결론 23

참고문헌 24

Abstract 26

필자소개 2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박일송 시 연구 = A study on Park Il-song's poetry 남기택 p. 1-27

보기
원주지역 시인의 작품에 나타난 장소성 연구 = A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the poetry of poets in Wonju area 정연수 p. 29-57

보기
한국현대소설 속 원주표상과 로컬리티 연구 = A study on Wonju representation and locality in Korean modern novels : focusing on Wonju native and resident writers : 원주 출신 및 거주 작가를 중심으로 이미림 p. 59-89

보기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농촌의 지역성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regional awareness of rural areas in Park Kyung-ri's “Toji” 장미영 p. 91-112

보기
면암 최익현의 공직자상(公職者像)과 가치 지향 = A study on Ik-Hyun Choi's public servants image and value-orientation 전성운 p. 113-137

보기
울릉도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인식 = The perceptions of the Ulreung Island among the Sadaebu of Joseon : consequences of the policy to empty the island accumulated until Ahn's visit to Japan : 안용복 도일 사건 이면에 누적된 공도화의 후과 남상권 p. 139-172

보기
유몽인의 「유두류산록」에 나타난 지명 = A study of place names recorded in the Yumongin's 「Yuduryusanrok」 곽재용 p. 173-207

보기
돈오김 소설의 소재 확장방식 = The topical extension method of Don'o Kim's novel 윤정헌 p. 209-235

보기
정찬의 「완전한 영혼」에 나타난 5·18의 의미 = The meaning of 5.18 in novel 「Complete Soul」 of Jung Chan 류희식 p. 237-263

보기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은혜, 「돈오 김 소설 연구; 다문화주의 창작경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미소장
2 김춘식, 「재외 한국인 문학의 탈근대적 자세」, <동악어문논집> 제31집, 동악어문학회, 1996, pp.453~472, 미소장
3 돈오 김, 김소영 역, 『내 이름은 티안』, 전원, 1991. 미소장
4 돈오 김, 김병익 역, 『암호』, 양우당, 1983. 미소장
5 돈오 김, 전경애 역, 『차이나맨』, 보리수, 1985. 미소장
6 돈오 김, 『태극 ; The Grand Circle』, 열음사, 2007. 미소장
7 윤정헌, 「<내 이름은 티안>을 통해 본 월남전의 의미」, <현대소설연구> 제57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pp.111~147. 미소장
8 윤정헌, 「돈오 김의 『암호』 연구」 <동북아문화연구> 제32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pp.95~111. 미소장
9 윤정헌, 「호주 한인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정체성」, <현대소설연구> 제4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pp.105~143. 미소장
10 윤정헌, 「돈오김 소설 연구」, 제12권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04, pp.1~24. 미소장
11 윤정헌, 「돈오 김 소설의 담론적 특성」, <동북아문화연구> 제38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pp.161~178. 미소장
12 윤준민, 「돈오 김 소설 <태극>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제29집, 국제한인문학회, 2021, pp.69~102. 미소장
13 윤준민, 「돈오 김 소설의 시간 불일치」, <국어국문학> 제197집, 국어국문학회, 2021, pp.223~258. 미소장
14 윤필립, 『시드니에는 시인이 없다』, 고려원, 1995. 미소장
15 이건종, 「돈오 김의 “연계 아시아 소설”」, 제22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pp.147~178. 미소장
16 이상갑・정덕준, 「재호주 작가 김동호의 소설 세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8집, 한국문학과 이론학회, 2010, pp.201~220. 미소장
17 정은경, 「돈오 김과 재호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양상」, <인문과학론총> 제38권 4호, 순천향대 인문과학연구소, 2019, pp.5~39. 미소장
18 정정호, 「개인의 양심과 역사의 집단적 광기 사이에서」, <21세기 문학> 18호, 이수, 2002, pp.85~99. 미소장
19 정정호, 「도노김의 전쟁소설 <내 이름은 티안>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 <국제한인문학>창간호, 국제한인문학회, 2004, pp.102~120. 미소장
20 C.A.Runcie, 「Don’o Kim」, 『Southely -A Review of Australian Literature-』, 1985. 미소장
21 Don’o Kim, 「Yearning to Go Hom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June 15. 2000. 미소장
22 L. Robert Kohls, 『Survival Kit for Overseas Living』, Intercultural press, U.S.A, 1979. 미소장
23 V.Maurice, 「A Symbol of Ruin」, 『Sydney Morning Herald』, 1969. 미소장
24 M. Wilding, 『Studies in classic Australian Fiction』, Shoestring Press, 199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