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돈오김 소설의 소재 확장방식 = The topical extension method of Don'O Kim's novel / 윤정헌 1
차례 1
국문초록 1
Ⅰ. 서론 2
Ⅱ. 『내 이름은 티안』(My Name is Tian, 1968)에 나타난 코스모폴리탄적 비정성 5
Ⅲ. 『암호』(Password, 1974)에 나타난 국제정치의 야누스적 생리 10
Ⅳ. 『차이나맨』(The Chinaman, 1984)에 나탁난 백호주의의 청산과제 14
Ⅴ. 『태극』(The Grand Circle, 2007)에 나타난 남북통일의 염원과 해법 18
Ⅵ. 결론 23
참고문헌 24
Abstract 26
필자소개 2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은혜, 「돈오 김 소설 연구; 다문화주의 창작경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미소장 |
2 | 김춘식, 「재외 한국인 문학의 탈근대적 자세」, <동악어문논집> 제31집, 동악어문학회, 1996, pp.453~472, | 미소장 |
3 | 돈오 김, 김소영 역, 『내 이름은 티안』, 전원, 1991. | 미소장 |
4 | 돈오 김, 김병익 역, 『암호』, 양우당, 1983. | 미소장 |
5 | 돈오 김, 전경애 역, 『차이나맨』, 보리수, 1985. | 미소장 |
6 | 돈오 김, 『태극 ; The Grand Circle』, 열음사, 2007. | 미소장 |
7 | 윤정헌, 「<내 이름은 티안>을 통해 본 월남전의 의미」, <현대소설연구> 제57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pp.111~147. | 미소장 |
8 | 윤정헌, 「돈오 김의 『암호』 연구」 <동북아문화연구> 제32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pp.95~111. | 미소장 |
9 | 윤정헌, 「호주 한인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정체성」, <현대소설연구> 제4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pp.105~143. | 미소장 |
10 | 윤정헌, 「돈오김 소설 연구」, |
미소장 |
11 | 윤정헌, 「돈오 김 소설의 담론적 특성」, <동북아문화연구> 제38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pp.161~178. | 미소장 |
12 | 윤준민, 「돈오 김 소설 <태극>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제29집, 국제한인문학회, 2021, pp.69~102. | 미소장 |
13 | 윤준민, 「돈오 김 소설의 시간 불일치」, <국어국문학> 제197집, 국어국문학회, 2021, pp.223~258. | 미소장 |
14 | 윤필립, 『시드니에는 시인이 없다』, 고려원, 1995. | 미소장 |
15 | 이건종, 「돈오 김의 “연계 아시아 소설”」, |
미소장 |
16 | 이상갑・정덕준, 「재호주 작가 김동호의 소설 세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8집, 한국문학과 이론학회, 2010, pp.201~220. | 미소장 |
17 | 정은경, 「돈오 김과 재호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양상」, <인문과학론총> 제38권 4호, 순천향대 인문과학연구소, 2019, pp.5~39. | 미소장 |
18 | 정정호, 「개인의 양심과 역사의 집단적 광기 사이에서」, <21세기 문학> 18호, 이수, 2002, pp.85~99. | 미소장 |
19 | 정정호, 「도노김의 전쟁소설 <내 이름은 티안>에 나타난 “기억”의 문제」. <국제한인문학>창간호, 국제한인문학회, 2004, pp.102~120. | 미소장 |
20 | C.A.Runcie, 「Don’o Kim」, 『Southely -A Review of Australian Literature-』, 1985. | 미소장 |
21 | Don’o Kim, 「Yearning to Go Hom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June 15. 2000. | 미소장 |
22 | L. Robert Kohls, 『Survival Kit for Overseas Living』, Intercultural press, U.S.A, 1979. | 미소장 |
23 | V.Maurice, 「A Symbol of Ruin」, 『Sydney Morning Herald』, 1969. | 미소장 |
24 | M. Wilding, 『Studies in classic Australian Fiction』, Shoestring Press, 19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