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센은 저와 잘 맞는 사람이죠. 그만큼 운명처럼 느껴졌어요." : 입센 희곡 전집 번역으로 노르웨이 왕실 공로 훈장 수상, 연극학자 김미혜 [인터뷰]
|
[인터뷰이]: 김미혜 ; 인터뷰: 김건표 ; 정리: 김상옥 ; 사진: 정유라
|
p. 12-15
|
|
보기
|
|
경쟁 사회 속 '관계'에 대한 질문 : 극단 신작로 <새빨간 스피도> [토론]
|
글·사회: 주하영 ; [토론]: 이영석, 임승태, 경지은, 김혜리, 박종현, 신유안 ; 사진: 강혜정
|
p. 16-20
|
|
보기
|
|
연극을 통해 삶과 사람(관객)에 대해 통찰하는 부녀 배우 : 스튜디오 반 <The Father> [좌담]
|
글·사회: 김향 ; [좌담]: 전무송, 전현아 ; 사진: 박창현
|
p. 21-25
|
|
보기
|
|
앤드씨어터 <유원> 작업노트
|
글: 전윤환
|
p. 26-29
|
|
보기
|
|
'국제 연극제' 뭐하니?
|
글: 이종훈
|
p. 32-33
|
|
보기
|
|
'제20회 부산국제연극제' 톺아보기
|
글: 이기호
|
p. 34-35
|
|
보기
|
|
김천의 명물 '김천국제가족연극제'
|
글: 노하룡
|
p. 36-37
|
|
보기
|
|
'고마나루국제연극제'의 성격과 의의
|
글: 박정석
|
p. 38-39
|
|
보기
|
|
공연예술축제의 국제성(Internationalism)과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새로운 국제이동성
|
글: 최석규
|
p. 40-42
|
|
보기
|
|
아동극과 '넌버벌' 형식 : 공감, 이해와 상상 : 2023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ASSITEJ KOREA) 초청공연 꽁빠니 스펙타빌리스(Compagnie Spectabilis) <작은 벽돌로 쌓은 집(La Maison en petits cubes)>
|
글: 김춘희
|
p. 44-45
|
|
보기
|
|
오래된 덕목을 위해 여전히, 아직도… : 테아터라움 철학하는 몸 <소시민의 칠거지악>
|
글: 서지영
|
p. 46-47
|
|
보기
|
|
비(B)의 비행 : 우란문화재단 <비 비 비(B BE BEE)>
|
글: 김옥란
|
p. 48-49
|
|
보기
|
|
'악의 평범성'을 소환한 연극적 상상력 : 극단 파수꾼 <아이히만, 암흑이 시작하는 곳에서>
|
글: 주하영
|
p. 50-52
|
|
보기
|
|
90허우 세대의 욕망으로 무대를 재현한 연출가 딩이텅(丁一滕). 1
|
글: 홍영림
|
p. 53-55
|
|
보기
|
|
국가에 죄를 묻다, 노다 히데키의 신작 <토끼, 파도를 달리다> : 일본
|
글: 야마구치 히로코 ; 번역: 김유빈
|
p. 56-57
|
|
보기
|
|
2023 에든버러 공연 축제 다이어리 : 영국
|
글: 김준영
|
p. 58-59
|
|
보기
|
|
건강한 연극 생태계를 위해선 일시적 금전 지원보다 인프라가 우선되어야… : 연극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오픈 토크 : 청년예술가 창작환경 설문을 중심으로
|
글: 김남언
|
p. 64-65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