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당이소저전>은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한글필사본 소설이다. 이 작품의 서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설화는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高麗史󰡕 世系 작제건 탄생 설화인데, 여기에 나타나는 중화귀인 결연 삽화는 중국에 대한 존주(尊周) 선망 의식을 기반으로 혈통의 고귀함과 정통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황위 계승 가능성이 없는 후궁 소생의 황자가 고난을 극복하고 황위에 오르고 조선의 여인을 황후로 삼아 행복을 누리는 애정 서사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 <연당이소저전>에는 연명설화 서사가 강하게 수용되었는데 그중에서도 경남 거제군 동부면에서 채록된 설화와 상당한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세 번째, 󰡔고려사(高麗史)󰡕 志第 권25, 樂2 <명주가(溟州歌)>에 나타나는 연화부인 설화를 수용하였다. <연당이소저전>에서는 특히 헤어진 연인을 다시 이어주는 잉어와 까막까치의 신이성이 강화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황제의 상을 가진 후궁 소생 황자’라는 상황으로 인해 두 번의 위험을 겪은 후에야 비로소 황자는 운명을 극복하고 명나라로 가서 태자가 되었는데, 그 위험을 극복하게 해 준 동력은 夫婦之義를 보여준 이소저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연당이소저전>에서 강조하려는 남녀 간 애정의 성격이 信義를 기반으로 한 부부애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해 여러 설화를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애정을 중심으로 서사를 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문과학의 과제와 전망 =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the humanities : using Cho Dong-il's academic "Equal Becoming-Overcoming Theory" as an example : 조동일 학문 "대등생극론"을 예증삼아 김헌선 p. 1-59
인문학 위기에 대한 진단과 한국어학을 위한 제언 = A diagnosis of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proposals for Korean linguistics : focusing on research objects, methodology, convergence and utility : 연구대상, 방법론, 융합, 효용성을 중심으로 박진호 p. 69-123
인문학의 미래와 전망 = Zukunft und Aussicht der Humanwissenschaft : in Bezug auf die Ansichtsveränderung über Menschen :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길웅 p. 131-146
현대 일본 문학의 그리운 미래 = The nostalgic future of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 a study on Tomihiko Morimi : 모리미 도미히코(森見登美彦)론 엄인경 p. 151-176
물질·상상·공감의 중국어문학 = Chinese literature of material, imagination and empathy 최진아 p. 183-201
생성형 AI 시대 인문학 선언 = Humanities manifesto in the age of generative AI : saving humanities in the posthuman condition : 포스트휴먼 조건에서 인문학 구하기 김기봉 p. 211-250

<연당이소저전>의 설화 수용 양상과 의미 = A study on <Yeondangisojeojeon> of the acceptance of folklore 조재현 p. 253-281
<향랑전>과 <서울역>에 드러나는 '집’의 장소성과 가부장제의 폭력성 = The placeness of 'home' and the violence of patriarchal system revealed in <Hyangnangjeon> and <Seoul Station> 이은우 p. 283-327

현대 중국어 Ce음절과 일본한자음의 대응 = Correspondence between modern Chinese Ce syllable and Sino-Japanese : focusing on Joyokanji table : 상용한자를 중심으로 양우, 이경철 p. 329-351

가톨릭 신앙의 정치적 차원에 관한 로메로 대주교의 사상 = Archbishop Romero's thoughts on the political dimension of the Catholic faith 김찬기 p. 353-378
인성회(仁成會)와 '인간적 발전’ = Insŏnghoe(仁成會) and 'human development' : the unfulfilled initiative : 미완의 기획 김상현 p. 379-417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高麗史』 世系 미소장
2 『高麗史』 권 71, 志第 권 25, 樂 2 「溟州歌」 미소장
3 『惺所覆瓿藁』 권 7, 「鼈淵寺古迹記」 미소장
4 「연당이소저전」,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한구 9685). 미소장
5 「연당이소저전」, 박순호 소장본 『한글필사본고소설자료총서』 29, 오성사, 1977, 744-776쪽. 미소장
6 「飮馬長城窟行」(정운채, 「정언묘선 소재 음마장성굴행의 번역 문제와 역주」, 『겨레어문학』 31, 겨레어문학회, 2003. 275-285쪽.) 미소장
7 「재덕이」(한국학중앙연구원 편, 『한국구비문학대계- 경상남도 거제군 동부면 설화32』, 1979.8.6. 윤복애기 채록본). 미소장
8 「사대장전」, 민족문화연구소 편, 『구활자본고소설전집』 4, 은하출판사, 1983, 425-458쪽. 미소장
9 김정석, 「활자본 사대장전의 단명담 수용과 그 의미」, 『동양고전연구』 8, 1997, 121-147쪽. 미소장
10 심은섭, 「강릉연화부인 설화의 역사적 맥락 고찰」, 『국제한인문학연구』 25, 국제한인문학회, 2019, 232쪽. 미소장
11 정규식, 「연화부인의 장르적 성격 고찰」, 『강원민속학』 22,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8. 690쪽. 미소장
12 정운채, 「정언묘선 소재 음마장성굴행의 번역 문제와 역주」, 『겨레어문학』 31, 겨레어문학회, 2003. 283-284쪽. 미소장
13 정재민, 「연명설화의 변이양상과 운명 인식」, 『구비문학』 3, 한국구비문학회, 1996, 371-372쪽. 미소장
14 조재현, 「임상국부자삼취기 연구」, 『어문연구』 40-4호, 2012, 251-276쪽. 미소장
15 조희웅, 『고전소설줄거리집성』 2, 집문당, 2002, 826-828쪽. 미소장
16 진 쿠퍼 (이윤기 옮김),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6, 53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