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위계담론으로서 〈훈민가〉의 전승과 유통방식 = The transmission and dissemination method of "Hunminga (訓民歌)" as hierarchical discourse / 김태웅 1
[목차] 1
국문초록 1
Ⅰ. 머리말 3
Ⅱ. 문집류에 전승된 〈훈민가〉 6
Ⅲ. 후대 가집에 전승된 〈훈민가〉 11
Ⅳ. 위계담론으로서의 〈훈민가〉 17
Ⅴ.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요약] 2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송강가사』 | 미소장 |
2 | 『송강전집』 | 미소장 |
3 | 『송강별집』 | 미소장 |
4 | 『송강속집』 | 미소장 |
5 | 『금옥총부』 | 미소장 |
6 | 김흥규 외, 『고시조대전』,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12 | 미소장 |
7 | 권두환, 「松江의 <訓民歌>에 대하여」, 『진단학보』 42, 1976, 151~166쪽. | 미소장 |
8 | 권두환, 「목소리 낮추어 노래하기:송강 정철의 <훈민가>」, 백영 정병욱 선생 10주기추모논문집 간행위원회 편,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2, 533~540쪽. | 미소장 |
9 | 권순회, 「동국명현가사집록」, 『고시조문헌해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2. | 미소장 |
10 | 박성의, 「경민편과 <훈민가> 소고」, 『어문논집』 10, 안암어문학회, 1967, 156~172쪽. | 미소장 |
11 | 서만수, 「鄭松江의 <訓民歌> 硏究」, 『동악어문논집』 7, 1971, 177~207쪽. | 미소장 |
12 | 신연우, 「주세붕에서 정철로 훈민시조의 변이와 그 의의」, 『온지논총』 4(1), 1998, 33~61쪽. | 미소장 |
13 | 윤덕진, 「송강가사 전승사실의 맥락」, 『열상고전연구』 26, 2007, 403~479쪽. | 미소장 |
14 | 정익섭, 「경민편과 훈민가」, 『한국언어문학』 3, 1965, 28~44쪽. | 미소장 |
15 | 정한기, 「이경의 <飜訓民歌十八章>에 나타난 <훈민가> 한역의 배경과 그양상」, 『고전문학과 교육』 11, 2006, 191~224쪽. | 미소장 |
16 | 정호훈, 「16 ․ 7세기 警民編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한국사상사학』 26, 2006, 119~158쪽. | 미소장 |
17 | 최재남, 「<훈민가> 보급의 경과와 그 의미」, 『고시가연구』 21, 2008, 319~343쪽. | 미소장 |
18 | 하윤섭, 「17세기 송강 시가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민족문학사연구』 37, 2008, 104~133쪽. | 미소장 |
19 | 하윤섭, 「조선조 ‘五倫’ 담론의 계보학적 탐색과 오륜시가의 역사적 전개 양상」,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20 | Foucault, M., Governmentality. In Burchell, G., Glodon, C. & Miller, P.(Eds.), The Foucault effect: Studies in governmentali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pp.87~1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