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그간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와 개입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저연령(만 9-12세) 학교 밖 청소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성 프로그램과 관련한 요구를 파악하여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연구와 관련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목표, 주제 영역, 활동 및 내용 구성 원리 등을 도출하고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저연령 학교 밖 청소년들이 또래관계에서 겪는 고유한 상황과 경험, 어려움과 요구를 반영한 총 6개의 주제 영역을 다루는 17개의 유닛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시범운영과 효과검증을 위해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2곳에서 총 11명의 참여자와 3명의 지도자를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와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 프로그램에 대한 지도자 평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비록 주도성, 협동공감, 주장통제 등 사회적 기술과 자아존중감을 측정한 사전-사후 점수는 센터별 참여자의 수가 적고, 영역 간 이질성이 크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지만, 참여자 프로그램 만족도와 지도자 평가에서는 모두 높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예비 역사교사의 현장학습 운영 경험에 대한 연구 = Engaging pre-service teachers in history field trip practices 허은철, 박지원 p. 251-279

초등학생의 ICT 활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CT utilization ability 한희진 p. 233-250

C.S. 루이스의 삶과 교육활동 = The life and educational activities of C. S. Lewis 최휘경, 김상현 p. 213-231

유아교육과에 입학한 어린이집 교사의 배움의 의미 = The meaning of learning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who entered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조규성 p. 193-211

이혼을 경험한 중년 남성 1인가구의 자기돌봄 실천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A narrative study on the self-care practices of middle-aged divorced men living alone 정여진, 오덕열 p. 157-192

활 쏘는 조선시대 문신 = A study on the archery test policy for literati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 문신삭시사(文臣朔試射) 제도 연구 이연진 p. 141-155

내러티브 모형에 기반한 유아 놀이·활동 중심 단원 개발 =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activities-centered unit based on narrative model 엄나현, 강현석 p. 115-139

기독교 아동 문학을 활용한 인성 교육의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of Christian children’s literature for character education : focusing on 『The Chronicles of Narnia』 by C.S. Lewis : C.S. 루이스의 『나니아 연대기』를 중심으로 송애리 p. 95-114

교직역량에 따른 교직적성인성검사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분석 = The classification of the teaching aptitude test variables in according to teaching competencies and analysis of its structural relationship 백승학 p. 75-94

해외 인성교육 정책 및 실천의 변화 동향과 시사점 = Changes in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in the US, UK, and Singapore and their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US, UK, and Singapore : 미국, 영국, 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경, 손경원 p. 49-74

중국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소양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core competencies of China's curriculum standards (2022 edition) 김애동, 김해영 p. 29-48

저연령 학교 밖 청소년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out-of-school youth in early adolescence 공윤정, 정애경, 김영화, 김혜랑, 김현령, 이주은 p. 5-27

참고문헌 (4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한아, 김아영 (2013). 대학생용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7(2), 263-283. G704-000199.2013.27.2.007 미소장
2 교육부 (2021). 교육통계연보. https://www.moe.go.kr/ 미소장
3 권지영 (2013). 학급차원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고립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G704-SER000003789.2013.6.2.004 미소장
4 김광수, 정종진, 공윤정 외 (2017). 아동과 청소년 인성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미소장
5 김미숙, 조춘범 (2014). 시설아동의 대인관계형성을 위한 나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한국아동복지학회, 45, 39-67. G704-000946.2014..45.002 미소장
6 김민정 (2018). 정서촉진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미소장
7 김성회, 최성식 (2009).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0(4), 2075-2098. 10.15703/kjc.10.4.200912.2075 미소장
8 김애화, 김의정, 유현실, 강은영, 박성희 (2017). 초등학생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개발 및 구인 타당성검증. 특수교육학연구, 52(3), 193-210. 미소장
9 김영화, 정진원, 인효연, 이자명, 이주영, 이아라 (2021). 원격화상상담의 전문적, 윤리적 실천의 어려움:기관 소속 상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6(2), 25-46. 10.15703/kjccsp.6.2.202112.25 미소장
10 김영희, 최보영 (2015).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한국청소년연구, 26(2), 145-175. 10.14816/sky.2015.26.2.145 미소장
11 김창대 (2002). 청소년 집단상담의 운영.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미소장
12 김현주, 박재연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업중단 이전, 당시, 이후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3), 119-130. 10.35873/ajmahs.2019.9.3.012 미소장
13 김희진, 임희진, 김정숙, 서고운, 김다인 (2021). 2021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14 김희진, 장근영, 이동훈, 윤철경 (2020).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Ⅲ: 질적 패널조사를중심으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15 박병금, 노필순 (2016). 학교 밖 청소년의 학교중단과정과 학교 밖 생활경험. 청소년학연구, 23(8), 47-78. 10.21509/KJYS.2016.07.23.8.47 미소장
16 박소현, 이수진 (2021). 학교 밖 위기청소년 개입에 대한 집단상담 연구 동향. 청소년학연구, 28(1), 277-310. 10.21509/KJYS.2021.01.28.1.277 미소장
17 송광성, 구정화, 이명아, 김소희 (1992). 정학·퇴학 청소년 선도방안 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18 성윤숙, 구본호, 김현수 (2020). 학교폭력 예방 어울림 프로그램의 효과적 적용방안 탐색. 청소년학연구, 27(2), 363-383. 10.21509/KJYS.2020.02.27.02.363 미소장
19 신순정, 김광수 (2018). 놀이를 활용한 현실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6(1), 387-411. 10.35151/kyci.2018.26.1.019 미소장
20 여성가족부 (2021).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 미소장
21 오혜영, 박현진, 공윤정, 김범구, 양대회, 최영희, 성벼리, 이정실 (2012). 학업중단청소년 유형별 상담 매뉴얼 개발. 서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미소장
22 위고운, 김민선 (2021). 온라인 집단상담을 이용한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학업적 꾸물거림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6(2), 47-70. 10.15703/kjccsp.6.2.202112.47 미소장
23 양윤란, 오경자 (2005).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개발: 초등학교 4 학년-중학교 3 학년 학생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961-971. G704-000007.2005.24.4.001 미소장
24 윤철경, 김승경 (2019). 서울시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25 윤철경, 성윤숙, 최홍일, 유성렬, 김강호, 박예슬, 윤효문 (2017). 학교 밖 청소년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대책연구 Ⅱ.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미소장
26 윤철경, 최인재, 김승경, 김성은 (2018). 2018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미소장
27 이삼순 (2000). 교우관계개선 프로그램이 피배척아동의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미소장
28 이혜원, 양옥승 (2006). 교사용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평가척도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69-93. G704-000049.2006.26.2.008 미소장
29 전명순, 권일남 (2012). 청소년의 대인관계역량 프로그램 개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6), 149-177. G704-000387.2012.19.6.015 미소장
30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7-129. 미소장
31 전주희, 박지연 (2014). 연극놀이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0(4), 45-69. G704-000501.2014.30.4.009 미소장
32 정옥분 (2002).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미소장
33 정은영 (2016).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미소장
34 정희원, 김경연 (2005).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척도개발 및 타당화 예비연구: 11, 12세 아동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6(3), 15-27. G704-000080.2005.26.3.004 미소장
35 조진옥, 명소연 (2016). 다시 맞이하는 결정적 시기 (critical period): 학교밖지원사업에 참여한 취약가정 학교밖 청소년에 관한 해석학적 근거이론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3(3), 375-406. 10.16983/kjsp.2016.13.3.375 미소장
36 주희헌, 서경현 (2013).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 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0(3), 187-207. G704-000387.2013.20.3.005 미소장
37 최주원, 이숙향 (2021). 온라인 협동학습을 통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사회성 기술과 학급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논총, 37(1), 117-143. 10.31863/JSE.2021.02.37.1.117 미소장
38 Berk, L. E. (2006). Child development (7th ed.). Boston, MA: Pearson. 미소장
39 Caldarella, P., & Merrell, K. W. (1997). Common dimensions of social skill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 taxonomy of positive behaviors. School Psychology Review. 26(2), 264-278. 10.1080/02796015.1997.12085865 미소장
40 Gresham, F. M., & Elliott, S. N. (1984).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social skills:A review of methods and issues. School Psychology Review, 13, 292-301. 미소장
41 Hay, D. F., & Cook, K. V. (2007). The transformation of prosocial behavior from infancy to childhood. In C. A. Brownell & C. B. Kopp (Eds.),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the toddler years: Transitions and transformations (pp. 100–131).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42 Rosenberg, M. (1965).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Database record]. APA PsycTest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