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교육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생태전환교육을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으로 대체하여 고시하였다. 오늘날 기후위기로 인한 인간성의 파괴는 사용가치를 좇는 자본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생태적 사고로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특히, 인류세는 온난화 등의 재난을 통해 확인된 전 지구적 생태 시스템의 붕괴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티머시 모턴의 내파적 전체론은 사물의 물러섬에 주목하는 객체지향 존재론과 나란히 인류 개념 속에 비인간적인 것을 포함시키는 생태적 사고를 추구한다. 인간이 다른 존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깨닫는 일은 상관주의에 입각한 근대적 사고와 인간상을 벗어나게 해준다. 우리는 생태적 사고에 입각한 근대교육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인류세 시대의 행성적 한계를 깨닫고 탈성장, 비인간, 창의성을 추구하는 생태전환교육에 동참할 필요가 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replaced with environment/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oday, the destruction of humanity due to the climate crisis calls for a shift from capitalistic thinking that pursues use value to ecological thinking. In particular, the Anthropocene began to be discussed as the collapse of the global ecological system, as confirmed through disasters such as global warming. Timothy Morton's implosive holism pursues ecological thinking that includes the inhuman in the concept of humanity alongside object-oriented ontology that focuses on the retreat of things. Realizing how humans are connected to other beings frees us from the modern thinking and human image based on correlationism. Based on the criticism of modern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thinking, we need to realize the planetary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e era and participate i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at pursues degrowth, inhumanity, and creativ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나 아렌트, 복수성(plurality) 개념의 교육적 의미 탐색 = The exploration of Arendt’s concept of plurality 박은주 p. 1-27

디지털시대의 시·공간 변화에 대한 교육철학적 이해 = A study of time and space changes in the digital ag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hilosophy 전숙경 p. 29-52

뒤르켐의 도덕교육론에 대한 피아제의 비판은 타당한가? = Is Piaget’s critique of Durkheim’s theory of moral education valid? 박찬영 p. 53-75

탈진실 시대, '개방적 허구’의 교육 가치 탐구 = 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open fiction’ in the era of post-truth : focusing on Haruki's novel theory : 하루키의 소설론을 중심으로 정철희 p. 77-99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에 나타난 좋은 삶과 고통의 문제 = The good life and suffering in Boethius’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 an educational perspective : 교육학적 관점 최은순 p. 101-127

칸트의 계몽 개념에 비추어본 교육의 자율성 재음미 = Education for autonomy considering Kant's concept of enlightenment 김현성, 김상섭 p. 129-150

'아우슈비츠 이후’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fter Auschwitz 홍은영 p. 151-177

인간 본성에 관한 교육철학적 고찰 = A study on human nature with philosophy of education : focusing on the concept of “nature” in ancient Greek thought : 고대 그리스 사상의 '자연’ 개념을 중심으로 차영주 p. 179-200

디지털 세계 내 인간 형성 과정으로서의 교육 = Bildung as a process of human formation in a digital world : an examination of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F. Stalder’s concept of digitality : 슈탈더(F. Stalder)의 디지털성(Digitalität) 개념의 교육학적 시사점 고찰 이주호 p. 201-225

루소의 교육과 종교 = Rousseau’s education and religion : focusing on pity and compassion : 연민과 동정을 중심으로 김재영 p. 227-262

자연과학적 지식 탐구를 통한 인간성 함양의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ultivating human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natural scientific knowledge : a focus on Whitehead's organic philosophy :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철학을 중심으로 안수진 p. 263-285

인류세 시대의 인간의 실존과 근대교육의 전환 = Human existence in the anthropocene and transformation of modern education 최승현, 서범종 p. 287-312

참고문헌 (8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내희(2019). 인류세와 자본의 가치 운동, 그리고 행성적 도시화. 『문화과학』 100. 88-129. 미소장
2 강명숙(2015). 『사립 학교의 기원: 일제 초기 학교 설립과 지역사회』. 서울: 학이시습. 미소장
3 강화정(2022). 생태전환교육과 인류세 그리고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 44. 105-142. 미소장
4 곽덕주(2006). 근대적 마음관, 내면적 근대성, 그리고 교육: 근대인식론에 대한 로티의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37. 111-133. 미소장
5 곽덕주(2013). 근대교육에서의 교육적 역설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철학연구』 35(4). 1-27. 미소장
6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세종: 교육부. 미소장
7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별책1].) 세종: 교육부. 미소장
8 김남준(2021). 도덕과에서 환경윤리교육의 내실화 방안: 생태 시민성 논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72. 251-283. 미소장
9 김대영(2016). 자연과 인간의 중간지대로서의 인류세 담론 고찰: 찰스 시버트의 『워커비: 도시의목가』를 중심으로. 『문학과 환경』 15(1). 7-42. 미소장
10 김도균・안소은・정우현 외(2022). 『인류세 도래에 따른 녹색전환의 가치와 중장기 전략 발굴 연구』. (KEI 연구보고서, 2022-01-01). 세종: 한국환경연구원. 미소장
11 김보림(2022). 기후위기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교육과정 총론, 우리의 삶을 지웠다. 『교육을 어떻게 전환할 것인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라진 생태전환교육』. (국회 긴급 토론회 자료집, 2022.9.29). 서울: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 외. 42-45. 미소장
12 김성학(2013). 『한국 근대교육의 탄생』.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13 김연철・이준석(2016). 행위자-연결망 이론(ANT)과 사변적 실재론(SR)의 접점: ‘해석적 유연성’개념으로 본 ‘책임 있는 연구와 혁신’. 『사회와 이론』 28. 105-152. 미소장
14 남종영(2022). 『동물권력: 매혹하고 행동하고 저항하는 동물의 힘』. 서울: 북트리거. 미소장
15 류지영(2019). 인류세 시대의 미술교육: 인간과 비인간 사이 관계성으로서의 예술. 『조형교육』71. 61-81. 미소장
16 박지형(2022). 『재난문명: 경제・환경・기후 복합위기와 탈성장 대안』. 파주: 나남. 미소장
17 박혜정(2022). 역사, 기후, 교육: 인류세 시대 기후사 연구와 교육. 『역사교육논집』 79. 175-209. 미소장
18 우정길(2018). 포스트휴머니즘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능과 욕망의 관점에서. 『교육철학연구』 40(2). 75-99. 미소장
19 윤호경・김정우(2021). 생태적 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청람어문교육』 79. 7-46. 미소장
20 이재영 외(2022). 『교육을 어떻게 전환할 것인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라진 생태전환교육』. (국회 긴급 토론회 자료집, 2022.9.29). 서울: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 외. 미소장
21 정성조(2022). 초등교육의 생태적 전환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선 방안. 『교육을 어떻게 전환할 것인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라진 생태전환교육』. (국회 긴급 토론회 자료집, 2022.9.29). 서울: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 외. 24-32. 미소장
22 정유성(1991). 환경교육 이론 정립을 위한 고찰: 새로운 교육이념으로서의 인간다운 생존을 위한환경교육. 『환경교육』 2. 84-91. 미소장
23 조우진(2012). 지속가능발전교육: ‘발전’ 비판과 대안을 위한 렌즈. 『국제이해교육연구』 7(1). 39-69. 미소장
24 조천호(2019). 『파란하늘 빨간지구: 기후변화와 인류세, 지구시스템에 관한 통합적 논의』. 서울:동아시아. 미소장
25 조효제(2022). 『침묵의 범죄 에코사이드』. 파주: 창비. 미소장
26 최명애(2022). 응답의 정치: 동물권 머너의 동물 정치. 『사회와 이론』 42. 87-132. 미소장
27 최병두(2022). 인류세인가, 자본세인가: 생태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균열. 『공간과 사회』 32(1). 115-165. 미소장
28 최승현(2023). 탈진실 시대에 진실 가르치기: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45(1). 99-124. 미소장
29 최훈(2019). 『동물윤리 대논쟁: 동물을 둘러싼 열 가지 철학 논쟁』. 서울: 사월의책. 미소장
30 天野郁夫(2017). 『帝国大学: 近代日本のエリート育成裝置』. 東京: 中公新書. 박광현・정종현 역 (2017). 『제국대학: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 서울: 산처럼. 미소장
31 駒込武(1996). 『植民地帝国日本の文化統合』. 東京: 岩波書店. 오성철・이명실・권경희 역(2008).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 조선・대만・만주・중국 점령지에서의 식민지 교육』. 서울: 역사비평사. 미소장
32 篠原雅武(2018). 『新人世の哲学: 思弁的実在論以後の人間の条件』. 東京: 人文書院. 조성환・이우진・야규 마코토・허남진 역(2022). 『인류세의 철학: 사변적 실재론 이후의 ‘인간의 조건’』. 서울: 모시는사람들. 미소장
33 篠原雅武(2020). 『人間以後の哲学: 人新世を生きる』. 東京: 講談社. 최승현 역(2023). 『인간 이후의철학: 인류세를 산다』. 서울: 이비. 미소장
34 大黒岳彦(2016). 『情報社会の哲学: グーグルビッグ・データ人工知能』. 東京: 勁草書房. 최승현 역(2021). 『정보사회의 철학: 구글・빅데이터・인공지능』.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35 大黒岳彦(2018). 『ヴァーチャル社会の哲学: ビットコインVR ポストトゥルース』. 東京: 靑土社. 최승현 역(2022). 『가상사회의 철학: 비트코인・VR・탈진실』. 부산: 산지니. 미소장
36 Affifi, R.(2020). Beauty in the Darkness: Aesthetic Education in the Ecological Crisi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1126-1138. 미소장
37 Bearn, G.(2020). A Pedagogy of Thing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1098-1109. 미소장
38 Besley, T., Peters, M. A.(2020). Life and death in the Anthropocene: Educating for survival amid climate and ecosystem changes and potential civilisation collaps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2(13). 1347-1357. 미소장
39 Bleazby, J., Thornton, S., Burgh, G. & Graham, M.(2022).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controversy’ in schools: Philosophy for Children, place-responsive pedagogies &critical Indigenous Pedagogy.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https://doi.org/10.1080/00131857.2022.2132933 미소장
40 Blenkinsop, S., Fettes, A. M.(2020). Land, Language and Listening: The Transformations That Can Flow from Acknowledging Indigenous Land.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1033-1046. 미소장
41 Bogost, I.(2012). Alien Phenomenology, or What It’s Like to Be a Thing. Minne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김효진 역(2022). 『에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서울: 갈무리. 미소장
42 Bryant, L. R.(2011). The Democracy of Objects. Michigan: MPublishing,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김효진 역(2021). 『객체들의 민주주의』. 서울: 갈무리. 미소장
43 Crutzen, P. J., Stoermer, E. F.(2000). The Anthropocene. IGBP Global Change Newletters 41. 17~18. 미소장
44 Diamond, J.(2005). Collapse: How Societies Choose to Fail or Succeed. New York: Penguin Books. 강주헌 역(2005). 『문명의 붕괴: 과거의 위대했던 문명은 왜 몰락했는가?』. 파주: 김영사. 미소장
45 Danowski, D., Castro, E. V.(2017). The Ends of the World. tr. Nunes, R. Cambridge: Polity Press. 미소장
46 Hamilton, C.(2017). Defiant Earth: The Fate of Humans in the Anthropocene. Cambridge: Polity Press. 정서진 역(2018). 『인류세: 거대한 전환 앞에선 인간과 지구 시스템』. 서울: 이상북스. 미소장
47 Haraway, D. et al.(2016). Anthropocene or Capitalocene?: Nature, History, and the Crisis of Capitalism. New York: Pm Press. 미소장
48 Harman, G.(2009). Prince of Networks: Bruno Latour and Metaphysics. New York: re.Press. 김효진 역(2019). 『네트워크의 군주: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 서울: 갈무리. 미소장
49 Harman, G.(2011). The Quadruple Object. New York: Zero Books. 주대중 역(2019). 『쿼드러플오브젝트』. 서울: 현실문화. 미소장
50 Hartmann, K.(2018). Die Grüne Lüge: Weltrettung als profitables Geschäftsmodell. Berlin: Karl Blessing Verlag. 이미옥 역(2018). 『위장환경주의: ‘그린’으로 포장한 기업의 실체』. 서울: 에코리브르 미소장
51 IPCC(2021).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Summary for Policymakers. 기상청(2021). 『기후변화 2021 과학적 근거: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 대전: 기상청. 미소장
52 Jarrige, F., Le Roux, T.(2020). The Contamination of the earth: a history of pollutions in the industrial age. Massachusetts: MIT Press. 조미현 역(2021). 『지구 오염의 역사: 산업혁명부터 현대까지』. 서울: 에코리브르. 미소장
53 Kim, J. S., Nahm, W. H., Lim, H. S.(2016). Anthropocene: on the starting poi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new geological epoch.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2). 163-171. 미소장
54 Kouppanou, A.(2020).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hildren’s Agency at the Time of the Anthropocen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944-959. 미소장
55 Laird, S.(2017). Learning to Live in the Anthropocene: Our Children and Ourselves. Studies Philosophy and Education 36. 265-282. 미소장
56 Meier B. M., Bustreo, F., Gostin, L. O.(2022). Climate Change, Public Health and Human Righ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21), 13744. https://doi.org/10.3390/ijerph192113744 미소장
57 Meillassoux, Q.(2008). After Finitude: An Essay on the Necessity of Contingency. New York: Continuum. 정지은 역(2010). 『유한성 이후: 우연성의 필연성에 관한 시론』. 서울: 도서출판b. 미소장
58 Morton, T.(2007). Ecology without Nature: Rethinking Environmental Aesthetics.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9 Morton, T.(2010). The Ecological Thought. Cambridge, Massachusetts,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0 Morton, T.(2013). Hyperobjects: Philosophy and Ecology after the End of the World. Minneapolis and Lond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미소장
61 Morton, T.(2013). Realist Magic: Objects, Ontology, Casuality. Ann Aabor: Open Humanities Press. 안호성 역(2023). 『실재론적 마술: 객체, 존재론, 인과성』. 서울: 갈무리. 미소장
62 Morton, T.(2017). Humankind: Solidarity with Non-Human People. New York: Verso Books. 김용규 역(2021). 『인류: 비인간적 존재들과의 연대』. 부산: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미소장
63 Morton, T.(2018). Being Ecological. New York: Penguin Books. 김대한 역(2023). 『생태적 삶』. 서울: 앨피. 미소장
64 Morton, T.(2018). All Art is Ecological. New York: Penguin Books. 미소장
65 Ojala, M.(2022). Climate-change education and critical emotional awareness(CEA):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https://doi.org/10.1080/00131857.2022.2081150 미소장
66 Orlov, D.(2013). The Five Stages of Collapse: Survivors’ Toolkit: Laying the Garoundwork for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Revolution. New York: Consortium Book Sales & Dist. 홍기빈 역(2018). 『붕괴의 다섯 단계: 금융 위기에서 문화 붕괴까지, 위기를 돌파하는 새로운 삶의 시나리오』. 파주: 궁리. 미소장
67 Rose, T.(2017). The End of Average : How to Succeed in a World That Values Sameness. New York: Penguin Books. 정미나 역(2018). 『평균의 종말: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 파주: 21세기북스. 미소장
68 Servigne, P., Stevens, R.(2015). Comment tout peut s’effondrer. Paris: Seuil. 강현주 역(2022). 『붕괴의 사회정치학』. 서울: 에코리브르. 미소장
69 Skilbeck, A.(2020). ‘A Thin net over an abyss’: Greta Thunberg and the Importance of Words in Addressing the Climate Crisi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960-974. 미소장
70 Steffen et al.(2015a). Planetary boundaries: Guiding human development on a changing planet. Science 347. n˚ 6223.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ence.1259855 미소장
71 Steffen et al.(2015b). The trajectory of the Anthropocene: The Great Acceleration. The Anthropocene Review 2(1). 81-98. https://doi.org/10.1177/2053019614564785 미소장
72 Standish, P.(2020). Exhausted: Education and the Response to the Planetary Crisi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927-943. 미소장
73 Stickney, J.(2020). Philosophical Walks as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1071-1086. 미소장
74 Toscano, M., Quay, J.(2022). “How dare you!” When an ecological crisis is impacted by an educational crisis: Temporal insights via Arendt.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https://doi.org/10.1080/00131857.2022.2082940 미소장
75 Tyack, D. B.(1974). The One Best System: A History of American Urban Education.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양성관・임경민 역(2017). 『최선의 교육제도: 도시학교를 중심으로 한 미국교육사』. 파주: 나남. 미소장
76 UK Student Climate Network(2019). A Manifesto for Tackling the Climate Change Crisis. In The Guardian, March 15. https://www.theguardian.com/commentisfress/2019/mar/15/uk-student-climate- network-manifesto-declare-emergency 미소장
77 UNESCO(2019). Framework for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beyond 2019. Document presented at UNESCO 40th General Conference, Paris. 미소장
78 UNFCCC(2021).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under the Paris Agreement: Synthesis Report. https://unfccc.int/documents/306848 미소장
79 van Poeck, K., Östman, L.(2020). The Risk Potentiality of Engaging with Sustainability Problems in Education: A Pragmatist Teaching Approach.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54(4). 1003-1018. 미소장
80 Varpanen, J., Saari, A., Jurvakainen, K., Kallio, J.(2022). The Uncanny Challenge of Self-Cultivation in the Anthropocene. Studies in Philosophy and Education 41. 345-362. 미소장
81 https://doi.org/10.1038/d41586-019-01641-5, 2022.12.23. 인출. 미소장
82 http://news.bizwatch.co.kr/article/consumer/2022/06/27/0016, 2023.1.4. 인출. 미소장
8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0884&cid=43667&categoryId=43667, 2023.1.8. 인출. 미소장
84 https://worldtop20.org/global-movement?gclid=CjwKCAiA8OmdBhAgEiwAShr40zh1Wf_PgVEthH2byD88Mv14h4490BIevkmsJ1rCM6qmQQdnY39vYhoCRY8QAvD_BwE 2023.1.8. 인출. 미소장
85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58714.html 2023.3.24. 인출. 미소장
8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63286632561144&mediaCodeNo=257&OutLnkChk=Y 2023.3.24. 인출. 미소장
87 https://blog.naver.com/nhrck/222940456239 2023.4.17. 인출. 미소장
88 <2023청주공예비엔날레> 팜플렛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