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유엔군사령관 직속 기구로서 미국의 대한원조를 집행했던 한국민사원조사령부(KCAC)의 조직과 보건의료 원조를 분석함으로써 전후 한국 공중보건의 ‘재건’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정전협정을 전후하여 탄생한 KCAC은 유엔원조와 구분되는 미국의 원조기구임을 표명하고 유엔군사령부의 민사 관계 기능을 일원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KCAC은 전후 약 2년 반 동안 한국에서 미국의 보건의료 원조를 총책임지며 한국 공중보건의 ‘재건’에 일정하게 기여했다. KCAC은 조직의 주요 임무였던 질병의 예방과 사회안정을 실현하기 위해 예방접종 대상을 확대하고 환경위생 사업을 강화했는데, 이는 단기적으로는 한국사회의 안정을, 장기적으로는 한국의 보건 환경을 개선하려는 것이었다. 보건 부문의 ‘재건’을 위해 한국인 공중보건 인력을 양성하고자 했던 KCAC은 공중보건원을 설치하여 기양성된 한국인 보건의료 인력에게 공중보건학을 학습시키고 이들의 전문성을 심화하고자 했다. KCAC이 추구했던 공중보건의 ‘재건’은 한국의 보건 부문을 전전 수준으로 복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전문 보건인력을 중심으로 한 보건 질서의 수립을 지향한 것이었다. KCAC의 보건원조 활동은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 보건의료 재건의 방향을 제시했으나, 조직 자체 역량에 의존한 결과 지속성을 갖지 못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전쟁 이후 정부식량정책의 변화 = Changes in food policy after the Korean War : 정부관리양곡 수급정책을 중심으로 김수향 p. 1-41
한국전쟁 전후(前後) 미군의 PX 운영과 암시장의 진화 = U.S. military PX operations and the evolution of the black market before and after the Korea 이동원 p. 43-80

전후 한국민사원조사령부(KCAC)의 보건의료 원조와 한국 공중보건의 '재건' = Postwar health assistance of Korea civil assistance command (KCAC) and the "rehabilitation" of public health in Korea 홍수현 p. 81-118
한국전쟁기 '잔류파' 문학인의 경험과 삶의 태도 변화 = The experience of a 'remaining group' writer on the Korean War and the his changing attitudes : a study on Park Gye-Ju's anti-communist memoirs and the Naval Military writers' group activity : 박계주의 반공수기 및 해군 종군작가단 활동에 대한 고찰 석영달 p. 119-158
일제시기 王子製紙 朝鮮工場의 운영과 신의주 제지업의 '성장’ = Operation of Co., Ltd.'s Joseon Plant and the 'growth' of the paper manufacturing industry in Shinuij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강정원 p. 159-198
1930년대 초 재만 조선인에 대한 『리튼 보고서』의 인식 = The perceptions of Koreans in Manchuria in the early 1930s in the Lytton Report 추경아 p. 199-242
1946년 부산·경남 지역의 콜레라 발병·만연과 아시아 = The 1946 cholera pandemic in Pusan and Kyŏngnam, and the post-Asian Pacific War regional politics of East Asia :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 동아시아 국제 정치 임종명 p. 243-317

1980년대 낙동강하구둑 건설사업과 '서부산’ 산업단지의 형성 = Construc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bank and the formation of 'Seobusan' industrial complex in the 1980s 최은령 p. 319-378
울산민족학교와 지역사회운동 = Ulsan Minjok Hakkyo and local social movement 원영미 p. 379-427
조리법 변화로 보는 중국 海鮮 식문화 = Chinese Haixian(海鮮) culinary culture : through changes in cooking methods : regarding the demand for Southeast Asian product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 18-19세기 동남아산 수요와 관련하여 민경준 p. 429-463

죽음을 길들이기 = Domestication of death : discourses and images of death after the black death in Western Medieval Europe : 흑사병 이후 중세 서유럽의 담론과 이미지 홍용진 p. 465-502
국가와 국경을 넘는 유럽 사회주의 형성의 또 하나의 길 = Another route of European formation of socialism : Benoît Malon (1871-1878) : 브누아 말롱 (1871-1878) 노서경 p. 503-538
자본주의의 탄생과 종말에 대하여 = On the origin and the end of capitalism : views of K. Marx and I. Wallerstein :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유재건 p. 539-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