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주검무와 통영검무가 지역적인 근접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상이함이 나타나 이에 대한 구성적 특징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춤사위와 무복 및 무구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주검무의 한삼춤은 궁중정재의 한삼춤과 유사하며, 통영검무의 한삼춤은 지역의 민속무용의 특색인 겨드랑 사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또한 통영검무는 작고 유연한 춤사위로 구성된 반면 진주검무는 남성적인 구도와 무무적인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다. 같은 남부지방이지만 통영검무의 협소한 연희공간의 영향과 통영 교방 기녀들의 내향적이고 극히 세련된 춤사위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통영검무의 맥임사위는 임진왜란 당시 왜군을 상대로 많은 크고 작은 해상전쟁을 치른 통영의 지역성이 표현된 춤사위이다. 반면, 진주검무만의 특징으로 자락사위를 꼽을 수 있다. 다양하게 펼쳐지는 자락놀이는 진주검무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민속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있는 승무의 복식과 진주검무의 복식의 술띠로 허리를 묶는데, 이로부터 진주검무의 민속적인 요소가 확실히 들어있다는 것을 복식에서 알 수 있다. 넷째, 진주검무에서 한삼의 색은 한국 전통 오방색이 아닌 일곱 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비해, 통영검무의 한삼은 아홉 가지의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내용 외에도 지역적 근접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차이를 보이는 진주검무와 통영검무의 고찰이 다양한 측면에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진주검무와 통영검무의 구성적 특징을 토대로 지역 전통춤의 미적 가치를 정립하는 보다 심화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60년대 부산 지역의 인물사적 연구를 통한 발레 활동 양상 = Aspects of ballet activities through a study on the dancers of Busan in the 1960s 김민교, 배귀영 p. 1-23

: with focus on 5 choreographers : 5인의 안무가를 중심으로"> <봄의 제전> 중 '희생의 춤’에 내재된 미적 특성 연구 =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sacrificial dance" in <Le Sacre du Printemps> : with focus on 5 choreographers : 5인의 안무가를 중심으로 김현숙 p. 25-50

향악정재 <선유락(船遊樂)>의 변천 양상 =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Hyangkjeonjae Seonyurak【船遊樂】 김혜영 p. 51-82

우리춤사위를 활용한 노인헬스요가 프로그램 개발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elderly health yoga program using traditional dance movements 박은지 p. 83-105

경남무형유산 전통무용 종목의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raditional dance in Gyeongnam's intangible heritage : focusing on Jinju Hanryangmu and Jinju Pogurakmu : 진주한량무와 진주포구락무를 중심으로 성지혜 p. 107-136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향상을 위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self-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이재정 p. 137-155

진주검무와 통영검무의 구성적 특징 고찰 =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Jinju Geommu and Tongyeong Geommu 이해원 p. 157-181

무용교사의 지도유형이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무용지속의도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 dance teacher's leadership type on the persistence of intention and dance performance of art high school student 윤예지, 정용철 p. 183-204

한국 여성국극(國劇)의 대중적 활성화 연구 = A study on the popular activation of Korean woman Gukgeuk : focused on comparison with Japanese Kabuki : 일본 가부키(歌舞技)와 비교를 중심으로 진환주 p. 205-223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과 일본의 무용현황 =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and Jappanese[실은 Japanese] dances register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최윤영 p. 225-262

한국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 선택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the career selec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현보람 p. 263-291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연진(2019).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3호 경기검무의 고유성: 검무의 구성과 역사적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243- 253. 미소장
2 국립국악원(2010). 국악용어사전. 서울: 국립국악원. 미소장
3 김미영(2022). 조선시대 문헌과 기록화를 바탕으로 한 <밀양검무> 춤사위의 역사성고찰. 한국무용연구, 40(4), 1-23. 미소장
4 김영란(2006). 평양검무와 진주검무의 비교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영희(2009). 한국 근대춤에서 검무의 변화 연구. 한국무용사학, 10, 257-278. 미소장
6 배계영(2010). 승전무 통영검무와 통영북춤에 내재된 미적특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백봉선(2019). 궁중검무와 진주검무의 비교분석.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백봉선, 송미숙(2019). 조선시대 진주검무와 현행 진주검무의 춤사위 비교연구. 한국무용연구, 37(31), 1-1. 미소장
9 서지연(2008).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손은형(2009). 조선후기의 시대적 변화가 궁중검무에 미친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송정은(1997). 진주검무에 내재된 미의식에 관한 연구. 움직임의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5(1), 165-182. 미소장
12 안병주, 민현주, 배수을(2002). 신무용(新舞踊) 계열의 남북한 검무 비교. 무용역사기록학, 3, 21-33. 미소장
13 이득춘(2023). 평양검무의 전승과 활성화 모색을 위한 분석연구. 한국무용과학회지, 40(1), 85-98. 미소장
14 이지현(2003). <통영검무> 춤사위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이화진(2020). 장자의 관점에서 본 한국춤의 예술관. 영남춤학회誌, 8(3), 211-230. 미소장
16 임수정(2007), 한국 여기검무(女妓劍舞)의 예술적 형식과 지역적 특성 연구.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임수정(2011). 한국의 교방검무. 서울: 민속원. 미소장
18 임수정(2012). 호남검무의 공연양식 비교. 우리춤과 과학기술, 8(39), 1-42. 미소장
19 임영순, 정은영(2015). 평양검무의 무용사적 가치. 움직임의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3(3), 183 -199. 미소장
20 엄옥자(2004). 승전무: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소장
21 엄옥자(2008). 승전무의 실상. 한컴디자인. 미소장
22 윤제명, 윤혜미(2023). 날뫼북춤 춤사위 연구. 영남춤학회誌, 11(1), 129-148. 미소장
23 조경아(2013). 일제 강점기 기록을 통해 본 검무의 계승양상. 한국음악사학보, 51, 119-153. 미소장
24 정병호, 이보형(1986). ‘통영검무’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169호. 문화재관리국. 미소장
25 정은영(2012). 진주칼춤의 제의적 특징과 상징. 움직임의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0(1), 231-247. 미소장
26 차옥수(2003). 진주검무의 무용학적 이해와 교육적 의미.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1(1), 223-246. 미소장
27 황미숙, 권오륜(2004). 진주검무의 현상학적 해석과 교육적 가치. 한국 스포츠 리서치, 15(2), 845-856. 미소장
28 『與猶堂全集』. 券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