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从类型学的角度初步考察汉语的宾语 : 主要藏缅语、韩语和汉语的比较 | 강선주 | p. 1-13 |
|
|
중국의 外國 地名 번역 방법에 관한 연구 | 강혜근 | p. 15-40 |
|
|
현대중국어 ‘S有NPVP’구문에 대한 연구 : NP와 VP가 주술관계인 경우 | 김홍실 | p. 41-64 |
|
|
漢語副詞“無非”在韓國語中的不對稱表現 | 單清叢 | p. 65-85 |
|
|
福淸方言 韻母 文白異讀의 歷史語音層次 | 이해우 | p. 87-104 |
|
|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 1,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 임지영 | p. 105-125 |
|
|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춤 | 이경미 | p. 127-149 |
|
|
論《詩經》園林詩發微 | 李胜超, 崔秢僔 | p. 151-167 |
|
|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중국 문학 스토리텔링 및 교육에 관한 제언 | 전가람 | p. 169-185 |
|
|
중국 직업교육 이러닝(E-Learning) 시장 발전과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방안 연구 | 김선진 | p. 187-215 |
|
|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 : 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 김형근, 최정석 | p. 217-235 |
|
|
양웅(揚雄)의 도통의식과 제자(諸子) 비판 | 이연정 | p. 237-255 |
|
|
王充의 천도무위자연 사상에 대한 연구 | 조원일 | p. 257-276 |
|
|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의 생태 철학적 함의 | 황종원, 지준호 | p. 277-300 |
|
|
신화와 프로파간다 : 중국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진영 | p. 301-318 |
|
|
당대 중국의 민족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중국 “민족식별(民族識別)”의 “민족의지(民族意愿)”와 “변통(變通)”을 중심으로 | 최승현 | p. 319-340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二程遺書》. | 미소장 |
2 | 《二程外書》. | 미소장 |
3 | 《莊子》. | 미소장 |
4 | 蒙培元, 《人與自然-中國哲學生態觀》, 北京: 人民出版社, 2004. | 미소장 |
5 | 牟宗三, 《心體與性體(二)》, 臺北: 正中書局, 1996. | 미소장 |
6 | 폴 테일러 지음, 김영 옮김, 《자연에 대한 존중-생명중심주의 환경윤리론》, 서울: 리수, 2020. | 미소장 |
7 | 張德麟, 《程明道思想硏究》, 臺北: 學生書局, 1986. | 미소장 |
8 | 안재호, 〈정호의 “생지위성”(生之謂性)설 비판〉, 《유교사상문화연구》 56집, 한국유교학회, 2014. | 미소장 |
9 | 연재흠, 〈정호의 리(理) 개념에 관한 이해〉, 《유교사상문화연구》74집, 한국유교학회, 2018. | 미소장 |
10 | 이규성, 〈정자(程子)에서 생산과 생명의 원리〉, 《철학연구》44집, 철학연구회, 1999. | 미소장 |
11 | 장승희, 〈‘인’(仁) 개념에 나타난 유학의 생태철학-명도 정호의 인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44집, 동양철학연구회, 2005. | 미소장 |
12 | 황종원, 〈정호의 생리(生理), 생의(生意), 인(仁)에 대한 생명론적 접근〉, 《대동철학》40집, 대동철학회, 200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