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从20世纪50年代初开始进行的中國“民族识别”工作原则及重点指标爲,根据少数民族的“实际”,尊重“民族意志”幷發揮“灵活性”。不过强調据于中國各种“实际”的“民族意志”和“灵活性”竟意味着主观因素的必然干扰,进而降低相应政策的效率性和可信度。最近对民族政策中国内部开展的批判性谈论都是基于此。但是考虑到中国天生的多样性以及与此相关的少数民族的战略地位,“民族意志”和“灵活性”的强調更加符合于中国共产党的根本的政治目標。由灵活政策而生长、凝聚、表露的“民族意志”,伴随着各族竞相参政,并带动了它们对中国共产党体制的主动顺应,最终促进了各族的“人民化”。这也是中国民族政策为应对诸多“实际”而从制度上灵活运用“变通”的根据。本文探讨了“民族识别”如何激发各民族的“民族意志”,以及由此成长起来的“民族意志”又是如何反映到“民族识别”,以及中国民族政策在两者关系中的作用。这不仅有助于对中国“民族识别”的合理解读,有助于了解中国民族政策的根源及其发展过程,也为分析今后中国民族政策的变化趋势提供有用的分析框架。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从类型学的角度初步考察汉语的宾语 : 主要藏缅语、韩语和汉语的比较 강선주 p. 1-13

중국의 外國 地名 번역 방법에 관한 연구 강혜근 p. 15-40

현대중국어 ‘S有NPVP’구문에 대한 연구 : NP와 VP가 주술관계인 경우 김홍실 p. 41-64

漢語副詞“無非”在韓國語中的不對稱表現 單清叢 p. 65-85

福淸方言 韻母 文白異讀의 歷史語音層次 이해우 p. 87-104

어기 부사 교학에 관한 소고. 1, 어기 부사의 범위와 종류 임지영 p. 105-125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춤 이경미 p. 127-149

論《詩經》園林詩發微 李胜超, 崔秢僔 p. 151-167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중국 문학 스토리텔링 및 교육에 관한 제언 전가람 p. 169-185

중국 직업교육 이러닝(E-Learning) 시장 발전과 우리나라 기업의 진출 방안 연구 김선진 p. 187-215

중국 문화산업의 전후방산업 연관성에 관한 연구 : 2017년, 2020년 중국산업연관표 비교를 중심으로 김형근, 최정석 p. 217-235

양웅(揚雄)의 도통의식과 제자(諸子) 비판 이연정 p. 237-255

王充의 천도무위자연 사상에 대한 연구 조원일 p. 257-276

정호의 천도론(天道論)과 물성론(物性論)의 생태 철학적 함의 황종원, 지준호 p. 277-300

신화와 프로파간다 : 중국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영 p. 301-318

당대 중국의 민족정책 변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중국 “민족식별(民族識別)”의 “민족의지(民族意愿)”와 “변통(變通)”을 중심으로 최승현 p. 319-340

참고문헌 (4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공봉진, <중국 ‘민족식별’과 소수민족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연구》7권, 2004. 미소장
2 이강원,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대한지리학회지》37권1호, 2002. 미소장
3 이진영, <중국의 소수민족정책>, 《민족연구》9호, 2002. 미소장
4 한상돈, <중국 소수민족법제의 변통제도>, 《중국법연구》12집, 2009. 미소장
5 《毛澤東選集》2卷, 北京: 人民出版社, 1991. 미소장
6 《毛泽东文集》2卷, 6卷, 北京: 人民出版社, 1993, 1999. 미소장
7 《孙中山全集》2卷, 北京: 中華書局, 1984. 미소장
8 《斯大林全集》2卷,北京: 人民出版社,1953. 미소장
9 廣西壯族自治區編輯組, 《廣西壯族社會歷史調査》七冊, 南寧: 廣西民族出版社, 1987. 미소장
10 贵州省民族事务委员会, 《贵州民族工作五十年》, 贵阳: 贵州民族出版社, 1999. 미소장
11 毛泽东生平和思想硏讨会组织委员会, 《毛泽东百周年纪念—全国毛泽东生平和思想研讨会论文集(中)》, 北京: 中央文献出版社, 1994. 미소장
12 中共中央编译局国际共运史研究所编, 《共产国际大事记》, 哈尔滨: 黑龙江人民出版社, 1989. 미소장
13 中共中央黨史研究室第一研究部, 《共产国际、联共(布)與中国革命文献资料选辑》2册(1917—1925),北京: 北京图书馆出版社,1997. 미소장
14 中共中央文献研究室·中央档案馆编, 《建国以来重要文献选编(1921—1949)》 一册,北京: 中央文献出版社,2011. 미소장
15 中共中央统战部編, 《民族問題文獻匯編》, 北京: 中共中央黨校出版社, 1991. 미소장
16 戴小明·盛义龙, <未识别民族法律地位探微:以民族平等为研究视角>, 《中南民族大学学报》5期, 2012. 미소장
17 戴小明·盛义龙·刘木球, <民族识别與法律认定—以亻革家人认定個案为研究样本>, 《中央民族大学学报》5期38卷, 2011. 미소장
18 杜玉亭, <基诺族识别四十年回识-中国民族识别的宏观思考>,《雲南社会科学》6期, 1997. 미소장
19 胡鞍钢·胡联合, <第二代民族政策:促进民族交融一体和繁荣一体>, 《新疆师范大学学报》32卷5期, 2011. 미소장
20 林耀华, <中国西南地区的民族识别>, 《雲南社会科学》2期, 1984. 미소장
21 马戎, <对苏联民族政策实践效果的反思—读萨尼教授(Ronald G. Suny)的‘历史的报复:民族主义、革命和苏联的崩溃’>, 《西北民族硏究》4期, 2011. 미소장
22 马戎, <關於“民族”定义>, 《雲南民族學院學報》17卷1期, 2000. 미소장
23 聂文晶, <新中国成立以来西南地区民族识别研究概述>, 《民族学刊》19期, 2013. 미소장
24 秦和平, <‘56个民族的来历’并非源于民族识别—關於族别调查的认识与思考>, 《民族學刊》19期, 2013.5.關於 미소장
25 王希恩,<中国民族识别的依据>, 《民族研究》5期, 2010. 미소장
26 杨泽龙·杨厚坤·龙秀, <試析未識別民族的文化遺産現狀, 問題及對策>, 《西部學刊》24期, 2021. 미소장
27 武保林·聂金甜, <夏尔巴人研究综述>, 《西藏研究》5期, 2017. 미소장
28 吴启讷, <人群分类与国族整合>, 《民族社會學硏究通讯》260期, 2018. 미소장
29 庾榮, <論紅軍長征時期黨的民族政策及其意義>, 《福建省社會主義學院學報》4期, 2011. 미소장
30 《解放日報》1943.5.28. 미소장
31 《新華月報》1949.11, 1952.9, 1954.10. 미소장
32 《百度》https://baike.baidu.com 미소장
33 《百度文庫》https://wenku.baidu.com 미소장
34 《北京法院法規檢索》http://fgcx.bjcourt.gov.cn 미소장
35 《南蒙古時事評論》https://smglnc.blogspot.com 미소장
36 《民族社会学研究通讯》http://www.shehui.pku.edu.cn 미소장
37 《國家統計局》http://www.stats.gov.cn 미소장
38 《全國人民代表大會》http://www.npc.gov.cn 미소장
39 《泉州市統計局》http://tjj.quanzhou.gov.cn 미소장
40 《西藏自治區人民政府》https://www.xizang.gov.cn 미소장
41 《中國法院網》https://www.chinacourt.org 미소장
42 《中國共産黨新聞》http://dangshi.people.com.cn 미소장
43 《中國民族網》https://www.56-china.com.cn 미소장
44 《中国新闻網》http://politics.people.com.cn 미소장
45 《中国政府门户網站》https://www.gov.cn 미소장
46 《中華人民共和國中央人民政府》https://www.gov.cn 미소장
47 《中文马克思主义文库》https://www.marxists.org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