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전통적으로 소련과 러시아의 외교정책은 ‘강대국주의(Greatpowerness)’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러시아의 아시아·태평양 정책에 종속되는 한반도 정책 역시 강대국주의에 근간을 두고 지정학과 전략적 이익 개념을 실현하려는 현실주의적인 정책을 구사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외교정책의 ‘예외주의적 강대국주의’ 성격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소련의 6·25전쟁 개입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러시아의 인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드러난 러시아의 한반도 정책의 특성은 첫째, 6·25전쟁을 스탈린이 소련의 유럽 전략과 아시아 공산주의의 공세라는 틀 속에서 미국과 중국을 끌어들이는 데 주력했다면, 한반도 평화체제 역시 미·러 관계 속에서 한반도를 인식하려는 사고가 중심적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둘째, 한반도 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역할을 확보하기 위해 동북아 다자안보 체제를 일관되게 주장해왔다. 이를 통해 러시아가 아시아와 접하는 국경지대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한다. 셋째, 20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소련과 러시아가 사실상 한반도 평화 구축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지금까지 한반도 평화에 그다지 기여하지 못했다고 해서 향후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단정할 필요는 물론 없다. 러시아는 잠재적으로 한반도 평화 체제 형성에 일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촉진자’가 될 수도 있다. 다만 러시아는 자신의 예외주의적인 강대국주의를 힘이 강할 때는 물론 약할 때도 포기할 의사가 없으며, 한반도에서 현실주의 원칙에 입각해 이익을 추구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변강 담론의 확산과 의미 = The diffusion of the China's Bianjiang discourse and it's implication : focusing on Xi Jinping era :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 張榮德 p. 7-48

시진핑 정부의 공동부유 추진 배경 = Behind the Xi Jinping government's common prosperity drive : economic inequality in China : 중국사회의 경제적 불평등 분석 延元鎬 p. 49-85

1980년대 중국 재정분권과 지방정부의 외교적 역할 연구 = A study on Chinese fiscal decentralization and the diplomatic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1980s : focusing o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Shandong province and Korean companies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ROK and PRC : 한중수교 이전 중국 산동성과 한국 기업 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徐秀禎 p. 127-156

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중 관계의 전개 = The Russo-Ukrainian War and Russia-China relations 張悳俊 p. 157-199

한러 천연가스 교역 증진을 위한 북동항로 운송 경제성 분석 = Economic analysis of the northern sea route for the import of Russian liquefied natural gas 金政煥 p. 201-227

중국의 문화산업정책에 따른 TV 드라마 산업 변화 = Changes in the TV drama industry according to China's cultural industry policy 崔元瑄 p. 87-125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탈달러화 국제통화 시스템 구축배경과 추진 방향 = Background and direction of Russia's de-dollarization after the Ukraine crisis 朴智園 p. 229-259

해방 후 북한의 소련군과 북한 주민의 루소포비아, 1945-1950 = The rise of Russophobia against the Soviet army in North Korea during the post-colonial years, 1945-1950 宋浚瑞 p. 261-302

6·25전쟁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의 러시아의 역할과 예외주의적 강대국주의 = Russia's role in the 6·25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structur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xceptional greatpowerness 禹坪均 p. 303-341

보리스 에이프만의 발레 <안나 카레니나> 읽기 = On the ballet of Boris Eifman Anna Karenina : an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s of eros and thanatos : 극대화된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문제를 중심으로 朴仙英 p. 343-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