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의 목표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우선, 본고는 서구 제1세계가 아닌 중국과 한국 사회가 산출한 대중서사 가운데 걸작의 칭호를 붙일만한 작품은 설령 매우 현란한 모더니즘의 외양을 띄고 있더라도 그 핵심 서사 구조는 내셔널 알레고리 독법이 수행될 수 있음을 비평적으로 증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임슨의 내셔널 알레고리 개념을 시기적으로 이어지는 다수의 중국과 한국 영화에 대한 독해에 적용해 봄으로써, 서구 제1세계와는 다른 역사와 사회 구조에서 산출된 중국과 한국의 문예 작품의 비교 분석에 적합한, 나름의 일관된 ‘정치적 독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에서는 박찬욱 작품 속 내셔널 알레고리 작동방식의 특징 및 그 의의를 중화권 영화 및 그 감독들과의 비교를 통해 간략히 검토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프레드릭 제임슨, 이경덕 외 옮김, 『정치적 무의식』, 민음사, 2015. | 미소장 |
2 | 프레드릭 제임슨, 김용규 외 옮김, 다국적 자본주의 시대의 제3세계 문학 (김용규 외 편, 『세계문학의 가장자리에서』), 현암사, 2014. | 미소장 |
3 | 프레드릭 제임슨, 신현욱 옮김, 『문화적 맑스주의와 제임슨』, 창비, 2014. | 미소장 |
4 | 신광현, 『주체 언어 총체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미소장 |
5 | 이언 뷰캐넌, 민현주 외 옮김, 『프레드릭 제임슨』, 책세상, 2023. | 미소장 |
6 | 이언 뷰캐넌, 이선주 외 옮김, 『교양인을 위한 인문학 사전』, 자음과모음, 2017. | 미소장 |
7 | 루시엥 골드만, 조경숙 역, 소설사회학을 위한 서론 ,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청하, 1984. | 미소장 |
8 | 조홍선, 「《重慶森林》深讀」, 『중국문학연구』제77집, 2019. | 미소장 |
9 | 조홍선, 「《花樣年華》의 政治的意味小考」, 『중국문학연구』제83집, 2021. | 미소장 |
10 | 임대근, 「경합하는 장: 웡카와이 王家衛영화의 독법들」, 『외국문학연구』제29호, 2008. | 미소장 |
11 | 임대근, 「아픈 현실의 ‘전주(前奏)’가 된 《중경삼림》」, 『프리즘오브 제15호: 중경삼림』, 2020. | 미소장 |
12 | 왕가위·존 파워스, 성문영 역, 『왕가위_영화에 매혹되는 순간』, 한겨레출판, 2018. | 미소장 |
13 | 신윤동욱, 「아시아에 흩어져 사는 중국인을 그린 《2046》」, 『씨네21』, 2004.11.11: http://www. cine21.com/news/view/?mag_id=27030 | 미소장 |
14 | 손인주, 「2019년 홍콩 민주화 시위의 기원」, 『한국정치연구』제29집 제1호, 2020. | 미소장 |
15 | 조재휘, 『시네마 리바이벌』, 두두, 2020. | 미소장 |
16 | 김형주·유경, 「장이모 영화 속에 보여지는 ‘중화주의(中華主義)’의 시대적 의미에 관한 고찰-<영웅 英雄>, <연인 十面埋伏>, <황후화 滿城盡帶黃金甲>을 중심으로 」, 『영화연구』 제34호, 2007. | 미소장 |
17 | 江風編, 『英雄: 製作全記錄』, 瀋陽: 遼寧教育出版社, 2003. | 미소장 |
18 | 「对话《英雄》主创人员( 1 ) _李冯:我的《英雄》」, 『城市晚報』, 2 0 0 3 . 0 1 . 1 2 :http://ent.sina.com.cn/m/c/2003-01-12/1606125253.html?from=wap | 미소장 |
19 | 「对话《英雄》主创( 3 ) _王斌:我和《英雄》在一起」, 『城市晚報』, 2 0 0 3 . 0 1 . 1 2 :http://ent.sina.com.cn/m/2003-01-12/1611125255.html?from=wap | 미소장 |
20 | 박남용, 「옌거링(嚴歌苓)의 『죄수 루옌스(陸犯焉識)』에 나타난 역사적 트라우마와 기억의서사 , 『세계문학비교연구』제54집, 2016. | 미소장 |
21 | 최재용, 『나의 할아버지가 탈옥한 이야기』와 <5일의 마중> 비교 연구-포스트 사회주의시기의 중국 영화 비평 전략 , 『중국문화연구』제46집, 2019. | 미소장 |
22 | 양중석, 치유될 수 없는 상흔에 관한 고발-영화 <5일의 마중> 속 미세흔적들 , 『인문과학연구논총』제41권 2호, 2020. | 미소장 |
23 | 박찬욱, 정서경, 『헤어질 결심 각본』, 을유문화사, 2022. | 미소장 |
24 | 이윤호, 박찬욱, 『헤어질 결심 스토리보드북』, 을유문화사, 2022. | 미소장 |
25 | 정서경·박찬욱, 『친절한 금자씨 각본』, 그책, 2016. | 미소장 |
26 | 박찬욱, 『박찬욱의 오마주』, 마음산책, 2005. | 미소장 |
27 | 박찬욱, 『박찬욱의 몽타주』, 마음산책, 2005. | 미소장 |
28 | 더 스크린, 『마침내, 박찬욱』, 스크랩북, 2022. | 미소장 |
29 | 하승우, 『비교의 항해술-보편과 특수 사이의 영화들』, 오월의봄, 2022. | 미소장 |
30 | 백문임, 『줌-아웃: 한국 영화의 정치학』, 연세대학교출판부, 2001. | 미소장 |
31 | 이다운, <헤어질 결심>의 다층성 연구 , 『어문논집』제91집, 2022. | 미소장 |
32 | 김홍중, 붕괴와 추앙 사이 , 『뉴 래디컬 리뷰』제8호, 2023. | 미소장 |
33 | 진성희, 한국 영화의 중국인 여성-영화 《헤어질 결심》의 여성 재현과 윤리 , 『중국어문논역총간』제52집, 2023. | 미소장 |
34 | 한상언, <친절한 금자씨>와 역사적 알레고리 ,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13(6), 2013. | 미소장 |
35 | 이주현, ‘헤어질 결심’ 박찬욱 감독 “소통의 시차에서 비롯된 영화적 체험” , 『씨네21』, 2022.06.29. | 미소장 |
36 | 임수연, ‘작은 아씨들’ 대담 , 『씨네21』, 23.03.17. | 미소장 |
37 | 감독 현장 인터뷰 녹취록, 2022.06.24: https://extmovie.com/movietalk/81661182 | 미소장 |
38 | 이주형, 탕웨이의 ‘마침내’, 박찬욱의 ‘동시에’ , 『SBS뉴스』, 2022.07.03: https://news.sbs.co. kr/news/endPage.do?news_id=N1006808412 | 미소장 |
39 | 문영훈, 마침내, ‘헤어질 결심’으로 돌아온 박찬욱 , 『여성동아』, 2022.07.21. | 미소장 |
40 | ‘친절한 금자씨’ 박찬욱 감독-아픔은 자신의 일부이다 , 『맥스무비』, 2005.07.23.: https://www.maxmovie.com/news/8939 | 미소장 |
41 | 백낙청, 『근대의 이중과제와 한반도식 나라만들기』, 창비, 2021. | 미소장 |
42 |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 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통일부, 2017. | 미소장 |
43 | 한홍구 외,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묻다』, 철수와영희, 2009. | 미소장 |
44 | 고재석, 『세습 자본주의 세대-88만원 세대는 어쩌다 영끌 세대가 되었는가?』, 인물과사상사, 2023. | 미소장 |
45 | 백경훈 외, 『밀레니엄 386세대를 전복하라』, 글통, 2019. | 미소장 |
46 | 김학준, 『보통 일베들의 시대』 , 오월의봄, 2022. | 미소장 |
47 | 이동관 외, 『평등의 역습』, 기파랑,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