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 PAPS 연구 295편의 115개 키워드를 활용하였다. 또한 시계열적 관점(2개 구간; 1구간: 1991년-2011년, 2구간: 2012년-2022년)에 따른 PAPS 연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키워드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탐색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KrKwic 프로그램과 Ms-Excel 프로그램, Netminer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내 PAPS 연구는 ‘체력’, ‘건강’, ‘평가’, ‘학생’, ‘초등학생’, ‘비만’ 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학교체육’, ‘학교체육진흥법’, ‘체육활동’, ‘교육적 의미’ 정책적연구도 국내 PAPS 연구의 주요 연구주제임을 확인하였다. 시계열적 관점에서 분석한 국내 PAPS 연구는 PAPS가 전면 확대 실시된 2012년 이후(2구간) 연구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주제 및 연구대상이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PS가 전면적으로 실시되기 전 1 구간(1991년-2011년)의 네트워크 구조에서는 ‘초등학생’, ‘건강체력’, ‘체격’, ‘체력’, ‘신체조성’, ‘건강생활습관’ 등의 키워드가 주요 상위 키워드로 나타났으나, PAPS가 전면적으로 실시된 2구간(2012년-2022년)에서는 ‘학생건강체력평가’, ‘초등학생’, ‘청소년’, ‘체육수업’, ‘비만’, ‘신체적자기개념’, ‘인식’ 등의 키워드가 주요 상위 키워드들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대상이 초등학생에서 청소년(중학생, 고등학생)으로 범위가 넓어졌으며, 연구주제 또한 체격, 체력, 신체조성 중심에서 비만, 신체적 자기개념, 인식 등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PAPS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향후 연구 및 정책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3D 프린팅 개인맞춤형 노 손잡이 보조 그립이 장애인 조정 선수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3D-printed customized oar assistive grip on the performance of rowers with disabilities 노형규, 배건환 p. 11-19

12주간 코어강화운동이 지적장애청소년의 보행패턴 및 정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 12-week cor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the gait patterns and static balance ability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기훈, 윤석민 p. 21-27
기합의 유형과 방법이 태권도 뒤차기의 충격 가속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type and method of shouting on the impact acceleration of back kick in taekwondo 류시현, 길호종 p. 37-42

동계 훈련 시 생리학적 지표 모니터링이 엘리트 중장거리 사이클 선수들의 주행시간 및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on riding time and heart rate in elite endurance cyclists during winter training 박득수, 구본재 p. 43-48
일회성 카페인 섭취가 로윙 에르고미터 2,000m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ute caffeine intake on rowing ergometer 2,000m performance 황우석, 김현태 p. 49-56
배드민턴에서 롱 서비스 리시브의 정확성과 외 발 수직 점프의 운동역학적 변인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racy of long service receive in badminton and biomechanical variables of single-leg vertical jump 정영근, 이영성, 하성희, 박상균 p. 29-36
12주간 양방향 온라인 요가 운동이 노인 여성의 건강 체력, 낙상 효능감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2-week bidirectional online yoga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fall efficacy,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김수향, 윤진호, 박한수, 오재근 p. 57-64
복합 운동과 오메가-3(Ω-3PUFA) 보충이 비만 여성의 체성분, 혈청 지질 프로필, 염증 매개체, 근육 성능 및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mega-3 (Ω-3PUFA) supplementation in combination with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 profile, inflammatory mediators, muscular performance, and cognition capacity in obese women 유민우, 조준용 p. 65-74
경량급 조정선수의 경기력에 따른 유·무산소 체력 비교 = The comparison of aerobic/anaerobic fitness by performance level of lightweight rowers 박소영, 홍영표 p. 75-80
파워종목 스포츠 선수의 등속성 무릎 동측근력비율이 최대근력 및 경기력 예측 지표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sokinetic hamstrings to quadriceps strengh ratio on maximum strength and sports performance predictive indicators in power athletes 이지영, 서태범 p. 81-85
부상 예방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소프트볼 선수의 등속성 하지 및 허리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njury prevention programs on lower extremity and trunk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high-school softball players 박소영, 강민석 p. 87-94
최대운동상황에서 스포츠음료(DBD)가 젖산수준과 염증반응 및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ports beverage(DBD) on lactic acid levels, inflammatory reaction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in maximum exercise situations 염동철, 조인호, 박노환, 남정훈 p. 95-101
제 51회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마루운동 결승경기의 연기동향 분석 = The analysis of exercise content on the men's floor exercise in the 51st World Gymnastics Championships 한윤수, 남승구, 박현권 p. 103-108
2022 부다페스트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혼성 혼계영 경기력 분석 = Analysis of mixed medley relay performance in 2022 Budapest World Swimming Championship 이승재, 최규웅, 김응준, 김효식 p. 109-116
오픈워터 수영의 훈련과 경기 전략 = Training and competition strategies for open water swimming 김효식 p. 117-125
중국 남자 탁구 선수 랭킹 산정에 대한 페이지 랭크 알고리즘의 적용 = An application of page rank algorithms to Chinese male table tennis player ranking 성금환, 탕무림, 마천방 p. 127-135
3D 신체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지적장애인 체지방률 추정식 개발 = Development of a formula for estimating the body fat percent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led using 3D body data 한민규 p. 137-144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연구동향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in Korea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조은혜, 최영탁, 김혜진 p. 145-153
대학운동선수에 대한 코치-선수 의사소통 척도의 적합도 검증 = A psychometric item goodness-of-fit of the coach-athletes communication style scale for athletes 김성은 p. 155-162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활용한 장애인체육 관련 법 분석과 함의 = Analysis and implication in Disability Sport Act & bill using word cloud method 박명규, 한민규 p. 163-172
유도선수들의 경기 방해요인과 대처방안 = Disturbance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judo players in competitive situation 이혜인, 김한별 p. 173-187
테니스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상호작용이 훈련관여행동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erceived coach-athlete interaction on training engagement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tennis players 최관용, 장나라 p. 189-196
동호인 테니스대회에 대한 참여감정, 신뢰 및 타이틀 스폰서 브랜드 구매의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emotion, trust, and title sponsor brand purchase intention for club tennis tournament 배슬아, 김일광 p. 197-206
양궁선수가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archers 이영은, 김진호, 김동국 p. 207-215
사격선수의 사격기술과 체력적 요소에 대한 서술적 고찰 = A descriptive study of elite shooters' marksmanship and fitness factors 황수영, 박지혜 p. 217-228
필라테스 지도자의 전문성 강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 The grounded theory on the professionalization process of Pilates instructors 장영진, 빙원철 p. 229-237
주짓수 온라인수업에 따른 수련생의 운동만족도와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online jiu-jitsu class on exercis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n jiu-jitsu trainees 유진안, 최관용 p. 239-246
유튜브 골프레슨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시청몰입, 시청만족 및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golf lesson influencers on viewing flow viewing satisfaction and viewing continuity 윤소원, 김자영 p. 247-254
운동선수의 스트레스와 완벽주의성향의 상관관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perfectionism among athletes 윤상진 p. 255-264
스포츠 선수의 상황별 열등감 요인탐색 = Exploring factors of inferiority in sports players by situation : a mixed method research : 혼합연구방법론적 접근 강영구, 김용규 p. 265-274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분석 및 정책제안 = Analysis of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survival swimming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systematic review and policy proposal 최주현, 육현철 p. 275-283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또래동기분위기가 자아존중감 및 라이프스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er motivation on self-esteem and life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sports activities 채유리, 조건상 p. 285-291
로이드 뉴슨의 댄스필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의미 = The meaning of heterotopia in Lloyd Newson's dance film : focusing on the cost of living : 「삶의 대가」를 중심으로 김현남 p. 293-300
MZ세대 러닝크루 참여자의 브랜드트라이벌리즘과 브랜드동일시 및 브랜드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tribalism, brand identification & brand commitment of MZ generation running crew participants 김주영, 김일광, 박종철 p. 301-310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진, 박기득, 이안수 (2013). 학생건강체력평가제 (PAPS) 에 대한중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2), 35-49. 미소장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 매뉴얼. 미소장
3 교육부 (2023). 제 3차 학교체육진흥종합계획. 미소장
4 국립특수원 (2013).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 개발 종합보고서. 미소장
5 권선영, 박은정 (2015).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직업건강간호학회지논문의 지식구조 분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4(2), 76-85. 미소장
6 김경오, 김미예 (2017). 초등학생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 의 심폐지구력 측정 종목 동등화.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5(3), 31-39. 미소장
7 김도형 (2020). 학생건강체력평가 (PAPS) 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전략적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837-857. 미소장
8 김민철 (2023.01.06.). 공 제대로 던지는 학생 드물고 비만, 과체중이30%... ‘저체력’ 방치 언제까지.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opinion/2023/01/06/R464JRA665EHBOBHUMYBSKI5QI/ 미소장
9 김선주 (2013). 초등학생의 PAPS 건강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과의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0 김신, 제갈윤석 (2014). 초등학생의 체력수준 및 비만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9(1), 193-201. 미소장
11 김영석 (2011).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운영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2 김용익, 신승윤 (2017). 평가등급 동등화를 통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의 재조명.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9(3), 25-41. 미소장
13 김태훈, 김기진 (2019). 맨발리듬트레이닝이 청소년의 신체조성 및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141-163. 미소장
14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미소장
15 박형길 (2021). 학생건강체력시스템 (PAPS) 의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7), 87-96. 미소장
16 배소라, 엄우섭 (2014). 초등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따른신체적 자기 개념.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9(4), 165-178. 미소장
17 송영미, 이종형 (2014). 학생건강체력평가시스템(PAPS) 운영인식에따른 개선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2(1), 87-99. 미소장
18 양정모 (2016). 학생건강체력평가제 (PAPS) 의 실제에 관한 초등 교사들의 신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449-473. 미소장
19 윤지운 (2017). 지식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특수체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5(1), 121-133. 미소장
20 이석희, 이창진 (2014). 중학교 남·여 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등급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6(1), 47-65. 미소장
21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방법론 , 서울: 논형. 미소장
22 이숙향, 안혜신, 정정은, 김건화 (2021). 발달장애인의 건강 관련 국내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 고찰. 특수교육, 20(2), 31-61. 미소장
23 이양구, 오수학 (2012). 청소년의 비만도와 건강체력의 관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4(1), 29-43. 미소장
24 인천광역시교육청 (2007). 맞춤형 학생체력평가시스템 구축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미소장
25 임병윤 (2012).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 시행에 대한 고등학교 담당교사의 운영 경험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교육대학원. 미소장
26 조용인 (2007). 학생체력검사제도의 변천과정과 학생체력 변화추이연구. 미간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조은혜, 김수연, 김혜진 (2021). 뉴스에 나타난 여성스포츠선수 관련이슈의 변화: 키워드네트워크 활용. 스포츠사이언스, 39(2), 311-320. 미소장
28 천은영 (2014).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를 활용한초등학교고학년 학생들의 체력요인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9 최명신(2023). 코로나 이후 저체력 청소년 증가... 체력평가 1,2등급45%→40%. YTN. https://www.ytn.co.kr/_ln/0103_202304240935173574 미소장
30 최지아, 오수학, 권영문, 김영욱 (2018).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대한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6(3), 75-83. 미소장
31 최창환 (2022). 장애인 신체활동 관련 뉴스 기사의 이슈: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의 적용.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4(4), 39-50. 미소장
32 최창환, 이재봉 (2017). 국내 태권도학 연구의 지식구조 탐색: 키워드기반 지식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한국체육학회지, 56(3), 627-644. 미소장
33 Danowski, J. A. (1993). Network analysis of message content.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12, 198-221. 미소장
34 De Wever, B., Schellers, T., Valcke, M., & Van Keer, H. (2006). Content analysis schemer to anlyze transcripts of online asynchronous discussion group: A review. Computers &Education. 46(1), 6-28. 미소장
35 Freeman, L.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미소장
36 Galunic, D. C., & Rodan, S. (1998). Resource recombinations in the firm: Knowledge structures and the potential for Schumpeterian innov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12), 1193-1201. 미소장
37 Lee, S. E., Kim, H. R., & Choi, C. H. (2021). Explor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physical activity research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Men's Health, 17(4), 37-43. 미소장
38 Pritchard, M., (2009). Does Self-Esteem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Weight Preoccupation in Undergradu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48(2): 224-22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