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 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PSKC) 13차년도(2020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1,355명과 어머니이며, SPSS Statistics 22와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셋째, 아동기 자아존중감과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전반적 행복감과 집행기능 곤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제시하였고,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2). 2022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https://www.msit.go.kr/에서 2023년 6월 12일 인출 | 미소장 |
2 | 권희경, 김원경(2020). 아동의 심리적 요인, 부모의 양육 행동, 부모의 심리적 요인과 아동 집행기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1), 143-162. | 미소장 |
3 | 김동수, 채원식(2012). 스마트폰 사용 자세에 따른 운동역학적 변인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22(2), 253-259. | 미소장 |
4 | 김민경(2012).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 부모애착이 인터넷게임 중독과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4), 1-22 | 미소장 |
5 | 김병년, 고은정, 최홍일(2013).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독 위험군 분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4(3), 67-98. | 미소장 |
6 | 김영미, 박윤조(2021).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7), 480-487. | 미소장 |
7 | 김윤화(2019). 어린이와 청소년의 휴대폰 보유 및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https://www.kisdi.re.kr/report/view.dokey=m2101113025790&arrMasterId=4333447&masterId=4333447&artId=554166에서 2023년6월11일 인출 | 미소장 |
8 | 김은주(2015). 초등학생의 우울, 불안, 스트레스, 인터넷 게임중독이 자아존중감과 비행에 미치는 직·간접효과. 초등교육연구, 28(3), 95-122 | 미소장 |
9 | 김은주, 이시자(2015).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281-300. | 미소장 |
10 | 김종민, 최은아(2019).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애착,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8(4), 197-225. | 미소장 |
11 | 김진옥(2022). 아동의 실행기능곤란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석사학위 논문, 동신대학교. | 미소장 |
12 | 김현정, 이태상(2019).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관계에서 아동의 자존감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723-742. | 미소장 |
13 | 김형지, 김정환, 정세훈(2012).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 요인과 이용 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9(4), 55-93 | 미소장 |
14 | 노석준(2013). 고등학생의 환경 및 개인심리요인, 스마트폰 이용동기,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4), 659-691. | 미소장 |
15 | 민미희(2018).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91-121. | 미소장 |
16 | 민미희(2020).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2(3), 149-166. | 미소장 |
17 | 박라진(2016).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울산대학교. | 미소장 |
18 | 박보경, 노지운(2019).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3), 87-103. | 미소장 |
19 | 박상규, 조혜선(2018). 행복 및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4), 1095-1102. | 미소장 |
20 | 박예슬, 이지혜(2019). 부모의 방임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0(3), 13-26 | 미소장 |
21 | 서혜전, 노성향(2018).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55-70. | 미소장 |
22 | 송현주(2014).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1), 121-137. | 미소장 |
23 | 연은모, 최효식(2019).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교환경, 자아존중감, 행복감 간 관계: 집행기능곤란, 성별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121-140 | 미소장 |
24 | 연합뉴스(2023). 온라인 수업 끝났지만…초·중학생 인터넷 중독 늘어(2023.05.29.).https://www.yna.co.kr/view/AKR20230526110000530?input=1195m에서 2023년 6월12일 인출 | 미소장 |
25 | 우수정(2018).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771-786. | 미소장 |
26 | 유설희, 박보경, 도현심(2015).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아동학회지, 36(2), 55-74. | 미소장 |
27 | 윤미승, 김경은, 윤정진(2022). 아동이 지각하는 학교 환경 및 자아존중감과 행복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31(3), 317-329. | 미소장 |
28 | 이경님(2021). 아동의 자아존중감, 미디어기기 중독과 학교적응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925-949. | 미소장 |
29 | 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2008).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4), 111-133. | 미소장 |
30 | 이상신, 유병국, 김양태, 김희숙(2007). 안와전두피질의 기능. 생물치료정신의학, 13(1), 36-44. | 미소장 |
31 | 이시자(2012). 유아의 인지 양식에 따른 마음이론 습득과 자아개념 형성. 유아교육연구, 32(4), 161-180. | 미소장 |
32 | 임혜림, 김서현, 정익중(2018). 가정 및 학교 내 대인관계와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 학교급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0(2), 145-170. | 미소장 |
33 | 임효진(2022). 그릿이 매개하는 학교환경과 초등학생 집행기능의 관계에서 학업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국초등교육, 33(4), 249-264. | 미소장 |
34 | 장신재, 양혜원(2015). 부모의 방임과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관계에 미치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1(2), 133-156. | 미소장 |
35 | 전미경, 장재숙(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 미소장 |
36 | 최지수, 최나야(2019). 초등 3학년생의 디지털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집행기능곤란, 화용능력, 행복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629-651. | 미소장 |
37 |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2012).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3(5), 1005-1015. | 미소장 |
38 | 한국미디어패널조사(2022). 미디어통계포털. https://stat.kisdi.re.kr/kor/board/BoardList.html?board_class=BOARD15에서 2023년 6월 11일 인출 | 미소장 |
39 | 한기표(2019).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정서표현억제와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홍예지, 이순형(2016). 남녀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양방향적 관계. 인간발달연구, 23(3), 221-241. | 미소장 |
41 | 홍은비, 정은숙, 노성향(2021). 아버지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 - 아동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어머니 취업유무 조절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3(4), 99-114. | 미소장 |
42 |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 미소장 |
43 | 황덕미(2016). 스마트폰 SNS에서의 초등학생 사이버 언어폭력 실태.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 미소장 |
44 |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 미소장 |
45 | Gioia, G. A., Isquith, P.K., & Guy, S.C.(2001).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neuroological impairment. In R. J. Simeonsson & S. L. Rosenthal(Eds.). Psychological and develipmental assessmen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ronic conditions. New York: Guilford. 317-356. | 미소장 |
46 | Gupta, T.(2019). Smart generation with smartphone hooked to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Indian Associ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15(3), 90-98. | 미소장 |
47 | Hayes, A. F.(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48 | Holder, M. D., & Klassen, A.(2010). Temperament and happiness in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An Interdisciplinary Forum on Subjective Well-Being, 11(4), 419-439. | 미소장 |
49 | Jose, P. E., Ryan, N., & Pryor, J.(2012). Does social connectedness promote a greater sense of well‐being in adolescence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2(2), 235-251. | 미소장 |
50 | Kamp Dush, C. M., Taylor, M. G., & Kroeger, R. A.(2008). Marital happi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ross the life course. Family Relations, 57(2), 211-226. | 미소장 |
51 | Knox, M., Funk, J., Elliot, R., & Bush, E. G.(1998). Adolescents possible 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to global self-Esteem. Sex Roles, 39(2), 61-80. | 미소장 |
52 | Luna, B., & Sweeney, J. A.(2004). The emergence of collaborative brain function: fMRI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response inhibi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21(1), 296-309. | 미소장 |
53 | MCS(2008).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http://www.cls.ioe.ac.uk/page.aspx?&sitesectionid=957&sitesectiontitle=Surveys+and+documentation에서 2015년 1월 21일 인출. | 미소장 |
54 | MCS(2012).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https://cls.ucl.ac.uk/wp-content/uploads/2017/07/MCS5_MS_Child-Self-Completion-Questionnaire_CORE_ESNI_FINAL_PRINT.pdf 에서 2021년 7월20일 인출. | 미소장 |
55 | Melnick, M. J., & Mookerjee, S.(1991). Effects of advanced weight training on body-cathexis and self-esteem. Perceptual an Motor Skills, 72(3), 1335-1345. | 미소장 |
56 |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7 | Skoric, M. M., Teo, L. L. C., & Neo, R. L.(2009). Children and video games: addiction, engagement, and scholastic achievement. Cyberpsychology & Behavior, 12(5), 567-572. | 미소장 |
58 | Szeto G. P., & Lee R.(2002). An ergonomic evaluation comparing desktop, notebook, and sub notebook compute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4), 527-532. | 미소장 |
59 | Takao, M., Takahashi, S., & Kitamura, M.(2009). Addictive personality and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5), 501-507. | 미소장 |
60 | Tarullo, A. R., Obradovic, J. & Gunnar, M. R.(2009). Self-control and the developing brain. Zero to Three, 29(3), 31–37. | 미소장 |
61 | Welsh, M. C., &Pennington, B. F.(1988).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3), 199-230. | 미소장 |
62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 56-75). New 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