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건축기획 교육 인프라 구축 필요성 연구 : 건축 설계사무소의 건축기획 업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ed of building infrastructure for architectural planning education amid changing construction market conditions :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works at design office / 전희정 ; 강태웅 ; 임재우 ; 마정근 1

Abstract 1

1.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방법 및 절차 2

2. 이론적 고찰 2

2.1. 건축기획 업무의 정의 및 내용 2

2.2. 국내 건설 시장의 현황 3

3. 설계사무소의 건축기획 업무 현황 및 분석 4

3.1. 설문조사 방법 및 내용 4

3.2. 본 연구에서 참고한 선행연구 설문조사의 일반사항 4

3.3. 본 연구의 일반사항 5

3.4. 건축기획 업무 현황 5

3.5. 설문 분석 종합 10

4. 국내 대학의 건축기획 교육 실태 10

5. 결론 -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건축기획 교육에 대한 제언 11

REFERENCES 12

초록보기

건설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건축기획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 사무소의 건축기획 업무 현황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건축기획 업무에 대한 시대적 변화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1998년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또한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전반적인 국내 건설시장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각 건설시장 주체들의 대응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였고, 국내 대학의 건축기획 교육 실태를 파악해 보았다. 그 결과 그 결과 사전 기획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건축기획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높게 나타났고, 관련법에 건축기획의 업무내용이 추가되었으며 공공기관 발주사업은 건축기획 업무 수행을 의무화하여 사업 참여자의 기획역량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건축기획 교육 이수 현황조사에서는 학교 및 회사 교육과정에서 교육을 이수한 경우는 19.4%에 불과했고, 31.6%의 응답자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국 110개 대학의 건축기획 교육 실태 조사에서 단지 9개 대학만이 건축기획 강의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건축기획 업무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매뉴얼개발 등 각각의 건설업계 주체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건축기획 업무를 수행할 역량이 있는 인재가 없다면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건축기획 업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기획 전문가 양성을 위한 건축기획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명확히 하였고, 이러한 교육을 위한 교재 제작의 필요성과 정규 학교 교육의 필요성 등 건축 기획 교육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건축 매스생성 자동화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데이터 통합화 및 구축에 관한 연구 = The integration and construc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data for automation of building mass generation in pre-design phase 김동욱, 구형모, 추승연 p. 3-14

보기
가설건축물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temporary buildings 배선혜, 이여경, 김민지 p. 15-24

보기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건축기획 교육 인프라 구축 필요성 연구 = A study on the need of building infrastructure for architectural planning education amid changing construction market conditions :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works at design office : 건축 설계사무소의 건축기획 업무를 중심으로 전희정, 강태웅, 임재우, 마정근 p. 25-36

보기
복지시설의 통합적인 분류를 통한 돌봄분야 생활SOC 복합화방안 = A complexation planning for care section living SOC through integrative classification of welfare facilities 김예건, 이상훈 p. 37-47

보기
국내 주거복지센터의 주거복지서비스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examining housing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housing welfare 황규홍, 권현주, 오지영 p. 49-56

보기
Google Street View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위치기반 가로공간 보행자 데이터 수집 방법 개발 = Developing geo-coded street-level pedestrian volume data using Google Street View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김영우, 황용하, 정은석, 강범준 p. 57-68

보기
오피스 건물 등급 설정을 위한 세부 시설계획 평가 방안 제안 = Develop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detailed facility planning in office building grade assessment 김덕현, 예성준, 이경태, 임진빈, 김주형 p. 69-80

보기
알바로 시자 주택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varo Siza house 이덕종, 김봉애 p. 81-92

보기
재난에 대응하는 병원 업무연속성의 설계요소 조사 = A survey on the facility design elements for hospital business continuity in disaster response : focused on healthcare architects : 병원건축 전문가를 중심으로 김영애, 이현진 p. 93-104

보기
딥러닝 기반 공간 프로그램 및 디자인 요소 분석 = Analyzing spatial programs and design elements using deep learning : focused on Instagram images of lifestyle hotels :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인스타그램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유진, 이현수 p. 105-114

보기
최근 보행공간 입체화 현황 및 연계 특성에 관한 연구 = Exploring recent multi-level pedestrian spaces in the sky and their design feature related to connectivity : a case study of Sejong City’s elevated walkaway and Pangyo New Town’s connecting passage :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방축천 공중가로, 판교 알파돔 시티 공중보행로를 중심으로 이지은, 서보슬 p. 115-126

보기
일제강점기 기상관측시설 청사 내 지진계실 계획의 유형과 특징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ismograph room planning in weather observation facil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허유진, 주상훈 p. 127-136

보기
김수근 공간언어의 내재적 의미와 현상학적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manent meaning and phenomenological differences of Kim Swoo-Geun's spacial language : focu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East Asian architec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office 'SPACE' : 한·중·일 동아시아 건축과 공간사옥 비교연구 중심으로 이정훈, 김원필 p. 137-148

보기
도시묘지 관련 법제도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legal systems related to urban cemeteries : focusing on whether the laws directly or indirectly regulate cemeter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 법령이 묘지를 규정하는 방식과 층위를 중심으로 기세호, 백진 p. 149-160

보기
정동적 브랜드스케이프로서의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비평적 고찰 = Delving critically into the flagship store as the affective brandscape 백승한, 이재영 p. 161-172

보기
공주시 도심지역 가로환경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street environment satisfaction in the downtown area of Gongju City : empirical analysis using space syntax and computer vision : 공간구문론과 컴퓨터비전 활용을 중심으로 정연준, 이경환 p. 173-184

보기
공동주택 구조형식에 따른 바닥충격음 특성 분석 =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noise depending on structural types of multi-family residential buildings 김태민, 박시현, 김민준, 곽병창 p. 185-193

보기
강관비계의 안전성 검토를 위한 해석적 연구 = An analytical study for safety check of steel pipe scaffolding : analysis of wind load and load combinations : 강관비계의 풍하중과 하중조합에 대한 분석 김수나, 노영숙 p. 195-203

보기
토르마린을 혼입한 시멘트 및 무시멘트 경화체의 성능평가 = Performance evaluation of cement and non-cement matrices mixed with tourmaline 권형순, 이상수 p. 205-212

보기
수산화알루미늄과 제2인산암모늄의 첨가율에 따른 기능성 오일스테인의 방염성능 평가 = Assessing flame retardant performance in functional oil stain with varied Al(OH)3 and (NH4)2HPO4 ratios 이주원, 이상수 p. 213-220

보기
이 방향 탄소섬유로 전단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탄소섬유 부착성능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FRP bond performance of shear reinforced RC beams with BI-directional CFRP 김다영, 남궁경욱, 김창혁 p. 221-228

보기
건축 설계인력의 역량 수준 분석 및 향상방안 = Analyzing competency level of architectural designer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신원상, 이준용, 손창백 p. 229-23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