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85세 이상 치료 병력이 없는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들 중 진단 당시 85세 이상이었고,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 가능하였던 대상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 기간 동안 유리체강 내 주사 횟수와 주사 약제의 종류를 조사하였다. 치료 전과 후의 최대교정시력과 빛간섭단층촬영 결과를 조사 및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초진 시 반대안의 시력도 수집하였다.

결과: 총 40명 40안이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 연령은 87.5 ± 2.4세였다. 초진 시 연구안의 평균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최대교정시력은 0.85 ± 0.57이었고, 반대안의 경우 평균 0.93 ± 0.99였다. 유리체강 내 주사 치료 후 시력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심망막두께의 경우 치료 후 모든 시기에서 치료 전에 비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결론: 초진 시 나이가 85세 이상의 환자에서도 유리체강 내 주사 치료를 통해 시력의 악화를 막을 수 있었고 성공적인 해부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반대안의 시력이 나쁜 경우가 많아 시력의 유지가 의미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고령에서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건성안에서 폴리디옥사논 눈물점 마개의 선택적 폐쇄 방법에 따른 눈물층과 눈물배출 = Tear film and drainage after selective punctal occlusion using polydioxanone plugs in dry eye patients 임성은, 이희철, 김상수 p. 759-767

회절형 다초점인공수정체에서 단초점인공수정체로 교환술 시행 후 임상 결과 = Clinical outcomes after exchange of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with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임상은, 이정민, 이성진 p. 768-776

치료 병력이 없는 85세 이상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들의 치료 결과 = Treatment results of treatment-naïve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patients over 85 years of age 권지민, 황성수, 방종욱, 김현웅, 임재완, 이상준, 김동근, 곽현덕, 박강윤 p. 777-783

Aggressive 및 1형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베바시주맙과 라니비주맙 주사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intravitreal bevacizumab and ranibizumab injections in aggressive and type 1 retinopathy of prematurity 강규민, 장지혜 p. 784-792

1형 미숙아망막병증의 유리체 내 라니비주맙 첫 주사 치료 후 재치료의 예측인자 = Predictive factors for retreatment after intravitreal ranibizumab injection to treat type 1 retinopathy of prematurity 박수환, 변익수, 권한조 p. 793-802

탈구된 인공수정체의 고리모양 지지부를 이용하여 네 개의 플랜지를 만들어 재고정한 공막고정술 = Four-flanged technique for scleral fixation of a dislocated four-eyelet intraocular lens 임병수, 권준수, 원재연 p. 803-810

얇은 중심각막두께를 가진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중심각막두께 보정 안압의 임상적 의의 = Implications of central corneal thickness-corrected intraocular pressure in normal-tension glaucoma with reduced central corneal thickness 이상묵, 백성욱 p. 811-818

원발개방각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에서 오미데네팍이소프로필 0.002%의 단기간 효과와 안전성 = Short-term efficacy and safety of omidenepag isopropyl 0.002% w/v therapy for patients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김정수, 김정림 p. 819-824

갑상샘눈병증과 연관된 사시의 안정성과 갑상샘자극호르몬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과의 연관성 = Relationship between thyrotropin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and strabismus-associated thyroid eye disease stability 황재율, 성재연, 김민수, 이연희 p. 825-831

간헐외사시에서 측정 거리와 한 눈 가림에 따른 사시각의 변화 = Changes in angle of exodeviation according to distance after monocular occlus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박문영, 신현진 p. 832-837

장기간 추적 관찰한 굴절조절내사시와 영아내사시 환자들의 임상 양상 비교 =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infantile and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신혜미, 하석규, 서영우, 김승현 p. 838-844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보툴리눔독소 주사 후 각막형태검사 변화 = Corneal topographic changes after botulinum toxin-A injection in patients with essential blepharospasm 김상윤, 안정효 p. 845-850

안쪽눈구석 부위에 발생한 털주머니종 1예 = Trichofolliculoma in the medial canthal area 정인석, 김성재, 서성욱 p. 851-853

젊은 남성에서 단안 눈꺼풀 부종을 동반한 일차 국소아밀로이드증 = Unilateral eyelid swelling secondary to local palpebral conjunctival amyloidosis in a young patient 신혜은, 서유정, 정지원 p. 854-858

신생혈관녹내장으로 첫 발현된 안구 결핵 = Neovascular glaucoma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ocular tuberculosis 조용운, 권정우, 서진석, 김규남, 유웅선, 정인영 p. 859-863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ongdon N, O'Colmain B, Klaver CC, et al. Causes and prevalence of visual impairment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rch Ophthalmol 2004;122:477-85. 미소장
2 Statistics Korea. 2020 Life Table Press Releas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21 [cited 2022 Jul 16].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900&bid=208&act=view&list_no=415300. 미소장
3 Rim TH, Kang SW, Shin JP,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J Retin 2018;3:34-48. 미소장
4 Rosenfeld PJ, Brown DM, Heier JS, et al. Ranibizumab for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 Engl J Med 2006;355:1419-31. 미소장
5 Dugel PU, Koh A, Ogura Y, et al. HAWK and HARRIER: phase 3,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masked trials of brolucizumab for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Ophthalmology 2020;127:72-84. 미소장
6 Heier JS, Brown DM, Chong V, et al. Intravitreal aflibercept (VEGF trap-eye) in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Ophthalmology 2012;119:2537-48. 미소장
7 Lee YG, Han SY, Han JW, et 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older than 90 years diagnosed with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444-50. 미소장
8 Statistics Korea. Future Population Estimates: 2020-2070 Press Release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21 [cited 2022Jul 16].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20600&bid=207&act=view&list_no=415453. 미소장
9 Hong T, Mitchell P, Burlutsky G, et al. Visual impairment and the incidence of falls and fractures among older people: longitudinal findings from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4;55:7589-93. 미소장
10 Klein BE, Klein R, Lee KE, Cruickshanks KJ. Performance-based and self-assessed measures of visual function as related to history of falls, hip fractures, and measured gait time.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1998;105:160-4. 미소장
11 Lee DJ, Gómez-Marín O, Lam BL, Zheng DD. Visual acuity impairment and mortality in US adults. Arch Ophthalmol 2002;120:1544-50. 미소장
12 McCarty CA, Nanjan MB, Taylor HR. Vision impairment predicts 5 year mortality. Br J Ophthalmol 2001;85:322-6. 미소장
13 Rajala U, Pajunpää H, Koskela P, Keinänen-Kiukaanniemi S. High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subjects with visual impairment caused by diabetic retinopathy. Diabetes Care 2000;23:957-61. 미소장
14 Thompson JR, Gibson JM, Jagger C. The association between visual impairment and mortality in elderly people. Age Ageing 1989;18:83-8. 미소장
15 Wang JJ, Mitchell P, Simpson JM, et al. Visual impairment, age-related cataract, and mortality. Arch Ophthalmol 2001;119:1186-90. 미소장
16 Lee SB, Oh JH, Park JH, et al. Differences in youngest-old, middle-old, and oldest-old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department. Clin Exp Emerg Med 2018;5:249-55. 미소장
17 Escourrou E, Laurent S, Leroux J, et al. The shift from old age to very old age: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aging among older people. BMC Prim Care 2022;23:3. 미소장
18 Park KH, Song SJ, Lee WK, et al. The results of nation-wide registry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516-23. 미소장
19 Ryu SY, Kim J, Hong JH, Chung EJ.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cataract surgery in South Korea from 2011 to 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Clin Exp Ophthalmol 2020;48:319-27. 미소장
20 Subhi Y, Sørensen TL.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the very old (≥90 years): epidemiology, adherence to treatment, and comparison of efficacy. J Ophthalmol 2017;2017:7194927. 미소장
21 Chatziralli I, Regan SO, Mohamed R, et al. Intravitreal aflibercept for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patients aged 90 years or older: 2-year visual acuity outcomes. Eye (Lond) 2018;32:1523-9. 미소장
22 Ueta T, Iriyama A, Francis J, et al. Development of typical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in fellow eyes of Japanese patients with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 J Ophthalmol 2008;146:96-101. 미소장
23 Yanagi Y, Mohla A, Lee SY, et al. Incidence of fellow eye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unilateral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JAMA Ophthalmol. 2018;136:905-1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