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측정 거리에 따른 사시각의 변화와 한 눈 가림 후 사시각이 증가하는 환자군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02명의 기본형 간헐외사시 환자들이 포함되었으며 33 cm, 3 m, 6 m, 12 m, 거울을 이용한 6 m에서 사시각을 측정한 후, 1시간 동안 비우세안을 가린 후에 33 cm와 3 m에서 사시각을 측정하였다. 가림 후 근거리사시각이 증가한 그룹을 ‘increased group’, 그렇지 않은 그룹을 ‘stationary group’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 비율은 46:56, 수술 시 평균 나이 9.23세였다. 3 m, 6 m, 12 m, 거울을 이용한 6 m의 사시각은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3 cm에서 측정한 사시각은 가림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01). 근거리 입체시 평균 log값은 ‘increased group’ 의 경우 1.96 ± 0.35였으며, ‘stationary group’의 경우 2.16 ± 0.41이었다. ‘Increased group’에서 근거리 입체시가 유의미하게 좋았고(p=0.01), 근거리 W4D 검사에서 ‘good’ 항목이 유의미하게 많았다(p=0.03).
결론: 융합 상태가 좋은 기본형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1시간 단안차폐 후 사시각을 측정하는 것은 잠재되어 있는 사시각을 찾아주어 수술 성공률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Rah SH, Jun HS, Kim SH. An epidemiologic survey of strabismus among school-children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1997;38:2195-9. | 미소장 |
2 | Chia A, Seenyen L, Long QB. Surgical experiences with two-muscl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J AAPOS 2006;10:206-11. | 미소장 |
3 | Jeoung JW, Lee MJ, Hwang JM.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versus unilateral recess-resect procedure for exotropia with a dominant eye. Am J Ophthalmol 2006;141:683-8. | 미소장 |
4 | Maruo T, Kubota N, Sakaue T, Usui C. Intermittent exotropia surgery in children: long term outcome regarding changes in binocular alignment. A study of 666 cases. Binocul Vis Strabismus Q 2001;16:265-70. | 미소장 |
5 | Kushner BJ. The distance angle to target in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rch Ophthalmol 1998;116:189-94. | 미소장 |
6 | Burian HM, Smith DR. Comparative measurement of exodeviations at twenty and one hundred feet. Trans Am Ophthalmol Soc 1971;69:188-99. | 미소장 |
7 | Kushner BJ, Morton G. Diagnostic occlusion in strabismus management. J Ocul Ther Surg 1983;2:194-200. | 미소장 |
8 | Hardesty HH, Boynton JR, Keenan JP.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Arch Ophthalmol 1978;96:268-74. | 미소장 |
9 | Parks MM. Ocular Motility and Strabismus. Hagerstown, MD:Harper & Row, 1975;113-22. | 미소장 |
10 | Burian HM, Spivey BE. The surgical management of exodeviation. Am J Ophthalmol 1965;59:603-20. | 미소장 |
11 | Stager DR, Everett ME, Birch EE. Comparison of crowding bar and linear optotype acuity in amblyopia. Am Orthopt J 1990;40:51-6. | 미소장 |
12 | Roy RR. A standardized technique for the prolonged occlusion test. Optom Vis Sci 1969;46:450-6. | 미소장 |
13 | Hatt SR, Mohney BG, Leske DA, Holmes JM. Variability of stereoacuity in intermittent exotropia. Am J Ophthalmol 2008;145:556-61. | 미소장 |
14 | Shippman S, Weintraub D, Cohen KR, Weseley AC. Prisms in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intermittent exotropia. Am Orthopt J 1988;38:101-6. | 미소장 |
15 | Fleming JK, Cassin B. Indoor and outdoor far distance measurements in intermittent exotropia. Am Orthopt J 1989;39:98-101. | 미소장 |
16 | Ohtsuki H, Hasebe S, Okano M, Furuse T. Comparison of surgical results of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to the prism adaptation test in intermittent exotropia. Acta Ophthalmol Scand 1997;75:528-31. | 미소장 |
17 | Cooper J, Medow N. Major review: intermittent exotropia basic and divergence excess type. Binocul Vis Eye Muscle Surg Q 1993;8(3 suppl):185-216. | 미소장 |
18 | Jang SY, Lee JY, Park SH, Kim SY. The meaning of monocular occlusion on preoperative evaluation in basic intermittent ex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371-6. | 미소장 |
19 | Arnoldi KA, Reynolds JD. Assessment of amplitude and control of the distance devi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008;45:150-5. | 미소장 |
20 | Kore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Current Concepts in Strabismus, 4th ed. Seoul: Naewae Haksool, 2018;106-8. | 미소장 |
21 | Scobee RG. The Oculorotary Muscles, 2nd ed. St Louis, MO: CV Mosby Co, 1952;17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