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에서는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이 중학교 과학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학교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과정중심평가 운영 지표 또는 진단 도구를 제시한 6개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과정중심평가의 특징에 대한 분석 관점 (수업과 평가의 통합,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피드백 내용과 시기, 학습자의 성장 관리)을 추출하였다. 그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운영한 7개 중학교의 과정중심평가 연구학교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과 평가의 통합 측면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운영할 때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기반하여 수업과 평가 계획이 잘 구현되고 있 었으며, 모든 보고서에서는 과정중심평가를 수행평가로 인식하고 있었다. 평가 요소와 평가 방법 측면에서는 지식에 대한 평가 요소가 주를 이루고 있고, 역량을 계획 단계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나 수업 실행에서는 다루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평가 방법은 교사 중심의 관찰 평가와 보고서 평가에 치우쳐져 있고, 각 평가 요소에 대해 채점 기준의 설정이 미흡했다. 피드백 내용과 시기 측면에서 피드백은 주로 성취도 확인 측면에서 제공하였으며 학습과정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비계를 적절한 시기에 제공한 사례는 찾지 못하였다. 학습자의 성장 관리 측면에서 과학 수업을 통해 함양된 역량은 생활기록부의 과목별 세부 특기사항에 기재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의 역량 성장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의 결과를 교사의 수업 개선에 반영하는 내용은 보고서에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과학 교과서의 교육과정 시기별 탐구 성향 비교 분석 = The analysis on inquiry tendency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period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sing Romey's method : Romey 분석법을 이용한 선행 연구 결과 비교를 중심으로 장명덕 p. 166-181

연구학교 보고서에 나타난 중학교 과학과 과정중심평가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science classes from the research middle school reports 김종희, 박지영, 유난숙, 주민선 p. 182-195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김진욱, 이종진, 백영경, 안유민 p. 196-209

지역자원을 활용한 과학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 subjects using local resources 문병찬 p. 210-223

EBS 프로그램을 활용한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책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lass using EBS program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l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정지현, 김순식 p. 224-233

Gagne의 DMGT 모형을 통한 장영실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 A study of the giftedness expression mechanism of Young-sil Jang through Gagne's DMGT model 최지영, 채동현 p. 234-246

3차원 데이터 활용 웹기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web-based STEAM program using 3D data : focused on the geology units in Earth Science Ⅰ textbook : 지구과학Ⅰ의 '지질 단원’을 중심으로 김호연, 박기락, 김형범 p. 247-260

탄소중립에 관한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개념 이해 연구 = A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n carbon neutral : focused on eye tracking system : 시선추적시스템을 중심으로 허윤정, 한신, 김형범 p. 261-275

성공적인 과학 수업 구성 요소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uccessful science classes' components 김성운, 임성만 p. 276-290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 분석 = Analysis of STEAM elements of creative and convergent activitie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textbooks. 2, Focusing on the 5th and 6th grade group. 2, 5~6학년군을 중심으로 신애경 p. 291-301

초등학생의 계절별 별자리 학습에서 SBF 질문이 개념성취와 시선이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BF question on conceptual achievement and eye movement in seasonal constellation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김재선, 양일호, 임성만 p. 302-318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헌(2019).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1137-1164. 미소장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미소장
3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연구자료, ORM 2017-19-2. 미소장
4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초·중학교 교사별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연구보고. 미소장
5 김석우(2021). CBAM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527-549. 미소장
6 김석우, 김형란, 배가나, 장재혁(2022). 중학교 교사용 과정중심평가 전문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 411-428. 미소장
7 김석우, 장카이, 서원석(2021).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429-441. 미소장
8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231-251. 미소장
9 김유정, 이경건, 장원형,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T-PEC)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99-121. 미소장
10 김유정, 이경건,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중·고등학교 과학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교육학회지, 39(6), 695-706. 미소장
11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미소장
12 박정(2019).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 32(3), 421-440. 미소장
13 박지현, 조지민, 진경애, 김수진, 이재봉, 배주경, 김현정, 박종임, 이상아, 배화순, 이소연, 이동욱(2018). 초·중학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KICE RRE 2018-5. 미소장
14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2020). 단위학교의 과정 중심평가 운영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2), 157-181. 미소장
15 반재천, 김선, 박정, 김희경(2018).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105-130. 미소장
16 손준호(2018). 과정중심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90-106. 미소장
17 신정윤, 박상우(2021). 초등 과학과 과정중심평가문항 예시 자료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40(2), 191-209. 미소장
18 신혜진, 안소연, 김유원(2017).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 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2), 135-162. 미소장
19 유선아, 곽영순, 양성호(2018). 학습발달과정에 근거한 과정중심 STEAM 역량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2(2), 132-147. 미소장
20 이경화, 고은성, 신보미, 이동환, 김선희, 강현영, 이환철 (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미소장
21 이현주, 백종민, 곽영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2), 133-144. 미소장
22 임은영, 이인화, 김유향, 심현표(2018). 교사별 학생평가 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75-104. 미소장
23 임종헌, 최원석(2018). ‘과정중심평가’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자유학기제 ‘과정중심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5(3), 31-59. 미소장
24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KEDI CP-2016-02-4. 미소장
25 전성수(2019).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 중심평가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38(1), 16-30. 미소장
26 전현욱, 이형연(2019).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경기도 초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123-154. 미소장
27 정수경(2017).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5(3), 249-269. 미소장
28 최상호, 이동근, 김동중(2017). 과정중심평가 친화적 교사 교육과 평가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33(2), 1-23. 미소장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중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이렇게 하세요(과학과). 미소장
30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