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근대전환기 일본과 한국의 열전형식 여자교과서, 『부녀감(婦女鑑)』(1887)과 『여자독본』(1908)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에 대한 여성인물의 대처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비일상 체험’의 형상화와 ‘일상’으로의 회복을 여성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각국이 상상했던 비일상성과 사건 해결방식을 검토했다. 또한 각 교과서를 학습한 여학교를 추적하고, 해당 텍스트에 영향 받았을 대표적 여성의 사회진출까지 살폈다. 이것은 근대기에 들어서 증가한 여성교육담론이 여성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주체성 확립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에 대한 대답으로 기능한다.
『부녀감』의 여성인물은 비일상적 상황에서 타자와 연대하며 공동체를 만들어 위기를 극복한다. 즉, 사적공동체와 위계구도를 넘어 신뢰관계를 통한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이밖에 사건 해결을 위해 과감하게 지리적 경계를 넘나드는데, 이러한 모험담은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주체적인 삶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여자독본』의 여성인물은 일상으로의 회복을 위해 지배체제를 전복시키고자 한다. 직접 군사를 진두지휘하며 체제에 저항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데, 이들은 마치 혁명을 꿈꾸는 자들과 같다.
또한 두 교과서에 제시되는 비일상 표상은 각국의 실제 상황과 어울리며 등장인물의 대처양상은 한일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연관성을 가진다. 이렇듯 격변기 한일 여성교육에서 비일상성은 주요 테마였고, 이는 각국의 사회상과 오버랩되는 것이었다. 공통적으로 두 교과서에는 용감하고 주체적인 여성상이 상당수 제시되는데, 이러한 표상체계는 실제 여성들의 사상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本稿は、近代転換期の日本と韓国の列伝型式女子教科書、『婦女鑑』(1887)と『女子読本』(1908)に現れた「非日常体験」に対する女性人物の対処の様相を比較分析した。「非日常体験」の形象化と「日常」への回復を女性の立場から把握し、各国が想像した非日常性と事件の解決方法を検討した。 また、各教科書を活用した女子学校を追跡し、当該テキストに影響を受けたであろう代表的な女性の社会進出まで調べた。これは、近代に入って増加した女性教育言説が女性の積極的な社会参加と主体性の確立に影響を与えたという評価の答えとして機能する。
『婦女鑑』の女性人物は非日常的な状況で他者と連帯して共同体を作り、危機を克服する。つまり、私的共同体と階層構造を超えて信頼関係を通じた結束力を強化させる。また、事件解決のために果敢に地理的境界を越えるが、こうした冒険談は学習者に新しい世界への好奇心を呼び起こし、主体的な生活を模索させる。一方、『女子読本』の女性人物は、日常を取り戻すために支配体制を転覆させるために先頭に立つ。直接軍隊を指揮して体制に抵抗するなど積極的な行動を見せるが、彼らはまるで革命を夢見る者たちのようだ。
また、両教科書に提示された非日常の表象が各国の実際の状況と一致し、その人物の対処様式と日韓女性の社会進出との関連性を明らかにした。激変期の日韓女性教育において、非日常性は主要なテーマであり、これは各国の社会像と重なるものであった。また、両教科書には共通して勇敢で主体的な女性像が提示されており、このような表象体系は実際の女性たちの思想形成に影響を与えた。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부적(符籍)에 나타난 도식, 의미, 형태 = お守りに現れる図式、意味、形態 | 양종승 | p. 9-42 |
|
|
재해 은폐와 공포 조장으로 본지식 권력의 비정상성 한일 비교 = 災害隠ぺいおよび恐怖の助長からみる知識権力の非正常性の韓日比較 | 금영진 | p. 47-73 |
|
|
大正刑事訴訟法制定時の公訴時効制度改正経緯に関する検討 = 다이쇼(大正) 형사소송법 제정시 공소시효제도 개정 경위에 관한 검토 | 高橋孝治 | p. 75-94 |
|
|
우애회 지도자가 지향하는 여성상과 여성노동자의 의식 = 友愛会指導者が志向する女性像と女性労働者の意識 : 『友愛婦人』を中心に : 『우애부인』을 중심으로 | 김경옥 | p. 95-115 |
|
|
恋愛結婚した日本人移住女性の韓日関係に関する認識 = 연애결혼한 일본인 이주여성의 한일 관계에 관한 인식 : 한국 근현대사에 관한 지식 정도에 따른 사례연구 : 韓国近現代史への知識の程度による事例研究 | 朴エスター, 及川ひろ絵 | p. 117-142 |
|
|
여성 교육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과 주체성 = 女性教育における 「非日常」の体験と主体性 : 日韓の女子教科書『婦女感』と『女子読本』の比較を中心に : 한일 여자교과서 『부녀감』과 『여자독본』 비교를 중심으로 | 박시언 | p. 143-178 |
|
|
교쿠테이 바킨의 실명(失明)과 집필 활동 = 曲亭馬琴の失明と執筆活動 | 홍성준 | p. 181-198 | ||
『味覚』を表す形容詞述語文の文型と用法 = 「味覺」을 나타내는 형용사술어문의 문형과 용법 | 朴海煥 | p. 201-222 |
|
|
코퍼스를 활용한 유의어 분석 연구 = コーパスを活用した類似語分析研究 : '旅行’と '観光’を中心に : '旅行’와 '観光’를 중심으로 | 김혜연 | p. 223-244 |
|
|
日本語と韓国語におけるやわらかさを表す擬態語のプロトタイプ的意味の考察 = 일본어·한국어 부드러움을 나타내는 의태어에 관한 프로토타입적 의미의 고찰 | 澤田信恵 | p. 245-263 |
|
|
섭취 오노마토피어에 관한 일한 대조 연구 = 摂取オノマトペ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은수희 | p. 265-285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기전여학교(1983) 『紀全八十年史』, p.131・137. | 미소장 |
2 | 김미경(2000) 「한국의 구전문학에 나타나는 여성의 저항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p.235. | 미소장 |
3 | 김민재(2013) 「근대계몽기 여학생용 초등 수신서의 특징과 한계 연구」, 『초등도덕교육』43,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p.38. | 미소장 |
4 | 박시언(2021) 「청일전쟁 시기 쇼켄(昭憲) 황후의 총후(銃後) 표상―또 다른 전쟁 이미지의 탄생―」, 『인문과학』 80,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원, pp.158-159. | 미소장 |
5 | 박이진(2013) 「귀환체험담의 ‘비극’ 재현 담론 속 ‘반전평화주의’」, 『일본사상』 25, 한국일본사상사학회, p.121・p.125. | 미소장 |
6 | 박이진(2022) 「19세기 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수신 교과서 『婦女鑑』의 인물 구성 연구」, 『大東文化硏究』 117, 대동문화연구원, p.341・p.343・p.344・p.372・ p.365. | 미소장 |
7 | 박이진・박시언(2022) 「수신 교과서 『부녀감(婦女鑑)』의 텍스트성―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 표상의 다양성―」, 『史叢』 105,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pp.220-222. | 미소장 |
8 | 베네딕트 앤더슨, 서지원 역(2021) 『상상된 공동체』, 도서출판 길, p.51. | 미소장 |
9 | 서유석(2013) 「연대(solidarity) 개념에 대한 철학적 성찰」, 『철학논총』 72, 새한철학학회, p.394. | 미소장 |
10 | 와카쿠와 미도리(2007) 『황후의 초상』, 소명출판, p.183. | 미소장 |
11 | 이정민(2019) 「장지연의 『여자독본』, 그 성격과 지향: 새로운 여성상의 제시」, 『韓國思想史學』 63, 한국사상사학회, pp.101-130. | 미소장 |
12 | 이현재(2005) 「여성주의적 연대의 가능성―조니 딘의 “반성적 연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5, 한국여성철학회, pp.39-40. | 미소장 |
13 | 이현진(2021) 「전주 3.1운동 기록을 통해 본 사료교차검증의 필요성―기전여학교 참여자를 중심으로―」,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pp.132- 134. | 미소장 |
14 | 장지연(1908) 『여자독본』 上, 廣學書舖, pp.1-130. | 미소장 |
15 | 장지연(1908) 『여자독본』 下, 廣學書舖. pp.1-138. | 미소장 |
16 | 장지연 저, 문혜윤 역(2012), 『여자독본』, 경진, pp.111-113. | 미소장 |
17 | 정형(2018) 「일본 고전문학 속 비일상 체험의 형상과 일상성 회복의 메타포」, 『일본학연구』 54,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p.10. | 미소장 |
18 | 최지현(2008) 「해방기 공창폐지운동과 여성 연대(solidarity) 연구―김말봉의 『화려한 지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9, 한국여성문학학회, p.284. | 미소장 |
19 | 한일여성공동역사교재 편찬위원회(2005)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한울, p.26. | 미소장 |
20 | 허윤(2007) 「여성들의 여행」, 『여/성이론』 17, 도서출판여이연, p.204. | 미소장 |
21 | Elizabeth Starling(1864) Noble Deeds of Woman: Or, Examples of Female Courage and Virtue, 7th ed., London: Henry G. Bohn, pp.69-88. | 미소장 |
22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1,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64. | 미소장 |
23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2,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40. | 미소장 |
24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3,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49. | 미소장 |
25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4,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62. | 미소장 |
26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5,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43. | 미소장 |
27 | 西村茂樹(1887) 『婦女鑑』 券6, 宮內省御藏版 1쇄판, 吉川半七, pp.1-54. | 미소장 |
28 | 西村茂樹(1926) 『婦女鑑』, 宮內省御藏版 7쇄판, 郁文舍, pp.1-335. | 미소장 |
29 | 越後純子(2016) 『近代敎育と『婦女鑑』の硏究』, 吉川弘文館, p.50・pp.87-92・pp.138-141・pp.257-259・pp.262-263・p.271. | 미소장 |
30 | 深谷昌志(1966) 『良妻賢母主義の教育』, 黎明書房, p.12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